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음주문제 행동이 보호관찰 위반행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eenage Drinking Problem Behavior Effects On Probation Viol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7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음주라는 고전적인 청소년의 일탈과 범죄의 주요한 영향요인을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일 경우, 보호관찰 위반 행위에 미치는 요인인지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 증하고, 소년 보호관찰대상자들을 관리・감독을 하는데 있어 강화 요인으로 보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소년원생의 안정적 사회정착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지원 방안 연구’의 2차 데이터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최종적으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년원 출소 후 보호관 찰 대상 청소년의 음주 문제행동이 보호관찰 기간 동안의 경고 또는 위반 행위 등의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보호관찰 기간 동안 준수사항 위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 여, 보호관찰 소년대상들의 음주 위험 수준에 대한 교육 및 지도 강화를 통해 비행, 문제 행동 및 범죄를 예방하는 정책적 방안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ether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classical youth deviance and crime of drinking affect probation violations in adolescents subject to probation, and to see it as a reinforcing factor in managing and supervising juvenile probation subjects. To this end, the second data of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al Policy's "Status Survey and Policy Support Plan for Stable Social Settlement of Juvenile Students" were used,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finally conduct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tudies have shown that drinking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subject to probation after release from juvenile deten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xperiences such as warnings or violations during the probation period, and female adolescents have a higher level of compliance during the probation period than male adolescent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measures to prevent delinquency, problematic behavior, and crime through strengthening education and guidance on the level of alcohol risk for probation juvenile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보호관찰 청소년 현황 및 준수사항
    2. 청소년 음주문제 관련 현황 및 관련 자료
    3. 청소년 음주문제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분석 방법
    2. 변수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 소년 보호관찰 대상의 특성에 따른 보호관찰 경고처분 경험의 차이
    3. 청소년 음주 문제 수준이 보호관찰 경고처분 경험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저자
  • 이소담(동국대학교(서울) 경찰행정학과 박사 수료) | Lee So Dam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Police and Criminal Justice, Dongguk University-Seoul)
  • 신소라(전주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 Shin So Ra (Professor, Department of Police Science, Jeon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