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양식산업에 발전을 위한 유전체 분석 기술 적용 KCI 등재

The Application of Genome Research to Development of Aqua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0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수산업은 수산물의 남획, 국가 간의 제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수산물 개체 수 감소 등으로 전 세계 수산물 생산량이 정체되면서, 양식업은 항상 세계 식량 소비를 위해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패러다임을 뒤집고 인류가 바다, 호수, 강의 풍부함을 새로운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푸른 혁명'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양식산업은 이제 인간 소비를 위한 해산물의 원료 로서 해양에서 얻는 어업생산량의 절반이상을 넘어섰다. 지속 가능한 양식산업의 발전을 위하 여 다양한 최신 생물학적 연구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유전체학은 2011년 대서양 대구의 염 기서열이 규명된 이래 최근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더 많은 종의 유전체가 해독되어 우수 형질의 육종 및 번식 기술, 질병 저항성 품질 개량, 양식 사료 및 사료방식의 최적화 등 양식산 업을 위한 보다 견고하고 생산적인 지식 기반을 제공한다. 본 리뷰는 수산양식종의 유전체 연 구를 위한 유전체 분석 기술과 수산양식종의 유전체 연구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유전체 분석 기술과 유전체학의 발전은 수산양식산업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하며 지속 가능한 어업과 양식에 도움을 줄 것이다.

In the fishery industry,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has stagnated due to overfishing of aquatic products, restrictions between countries, and climate change. The aquacultur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blue revolution that can be expanded in a new way. The aquaculture industry now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fishery products from the sea as a raw material for seafood for human consumption. Various latest biological research methods are being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aquaculture industry. Genomics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recent years. Since the genome sequence of Atlantic cod was sequenced in 2011, the genomes of more species have been sequenced. The genome information is providing a more robust and productive knowledge base for the aquaculture industry, including breeding and breeding of superior traits, improving disease resistance quality, and optimizing aquaculture feed and feed methods. This review looked at the status of genome analysis technology and the current status of genome research of aquaculture species. The development of genome research technology and massive genomic information is important in solving the challenges of the aquaculture industry and will help sustainable fisheries and aquaculture.

목차
1. 서론
2. 유전체 연구 방법
3. 양식산업의 유전체 연구
4. 결론
저자
  • 이승재(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Seung Jae Lee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김진무(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Jinmu Kim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최은경(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Eunkyung Choi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조은아(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Euna Jo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조민주(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Minjoo Cho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박현(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Hyun Park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