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테러판단기준에서 있어서의 테러방지법의 제정경과, 한계점, 그리고 개선사항에 대한 제안 KCI 등재

Legislative Process, Limitations, and Proposed Improvements in the Counter-Terrorism Act's Criteria for Terrorism Judg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323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2016년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하 테러방지법)』이 제정 되었다. 동법은 제정 당시에 일부 국회의원들과 시민사회세력들로부터의 강 력한 반대에 부딪혀 태생적으로 내재적인 한계점을 가진 채 법률로 탄생하 였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테러방지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법안이 통과된 그 자체로 의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생래적 문 제는 결국 현행 테러방지법의 실효성에 큰 제한으로 이어졌다. 법안통과 이 후에도 테러방지법을 개정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여러 실무자 및 전문가들의 강한 의견개진과 주장들이 있어왔다. 특히 테러방지법과 관련해서 가장 심 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테러행위 판단에 있어 유엔이 지정한 테러 단체와 그 조직원, 지지자, 추종자들에 국한시킴으로서 한국의 실정과 상황 에 맞는 테러판단기준으로서 그 효용성이 매우 미흡하다는 점이다. 이 같은 현행 테러방지법 상 테러판단정의는 지속적으로 진화되고 변화되고 있는 오 늘날의 테러행위의 양상과 테러행위자들의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 다. 이러한 상황에 비춰볼 때, 현행 테러방지법 상의 테러개념규정은 지나치 게 경직되어 있고 현실성이 없다. 또한 테러행위의 판단 역시 특정행위들의 나열로 구성되어 있어 테러행위 일반적 개념이 무엇인지도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테러 개념에 대한 법적 정의의 필요성도 대두된다. 이와 같은 테러 행위자와 테러행위 판단에 대한 테러방지법 상의 경직성과 비현실성은 테러 방지법의 자체의 효용성을 상당히 저해하는 부정적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 서 현행 테러방지법의 테러판단기준을 다시 살펴보고 테러판단기준이 되는 테러개념을 한국의 안보현실에 맞게 보다 유연하고, 실효성 있게 개선함으로서 테러방지법을 수정, 보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현행 테러방지법의 테러판단기준에 있어서의 제정경과와 한계점을 살펴보고 그리 고 한계점을 보완하기 방안을 제안한다.

In 2016, the "Counter-Terrorism Act for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Safe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unter-Terrorism Act)" was enacted. The law faced strong opposition from som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civil society groups at the time of its enactment, resulting in inherent limitation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passage of the Counter-Terrorism Act was consider ed significant in itself. However, these inherent issues eventually led to significan t constraint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Counter-Terrorism Act. Even after the passage of the legislation, there have been strong opinions and argumen ts from various practitioners and experts about the need to amend the Counter-T errorism Act. One of the most serious criticisms related to the Counter-Terrorism Act is its limitation in determining terrorist acts, as it restricts itself to UN-designa ted terrorist organizations and their members, supporters, and followers. This limitation makes the criteria for terrorist judgments inadequate for the realities and situations in Korea. The current definition of terrorism under the Counter-T errorism Act is overly rigid and lacks realism, reflecting neither the evolving nature of terrorism nor the characteristics of terrorists today.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e conceptual provisions of terrorism in the current Counter-Terroris m Act are overly rigid and unrealistic. Furthermore, the determination of terrorist acts is composed of a listing of specific actions, making the general concept of terrorism unclea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egal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terrorism. The inflexibility and unreality in the Counter-Terrorism Act concerning terrorists and the determination of terrorist acts negatively impac t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law.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criteria for terrorist judgments under the current Counter-Terrorism Act, proposing ways to make them more flexible and effective, in line with the security realities of Korea. This article explores the enactment proces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Counter-Terrorism Act's criteria for terrorist judgment s and suggests way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테러방지법의 제정경과 및 의의
    1. 현행 테러방지법의 제정경과
    2. 테러방지법 제정의의
Ⅲ. 테러방지법상 테러판단기준의 한계점
    1. 최근 테러리즘의 진화양상과 현행 테러방지법 사이의 불일치
    2. 테러판단기준에 있어서 테러 개념정의의 한계점
Ⅳ. 개선사항 제안
【참 고 문 헌】
저자
  • 윤민우(가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정교수) | Yun Minwoo (Professor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Gach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