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병사의 스트레스 정도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mpact of Soldiers Stress level on Job Compet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4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병사의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282명이며, 설문조사는 2022년 3월 7일부터 18일까지 실시하였다. 병사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파 악하기 위하여 DASS-21스트레스 척도로 분석한 결과, 과다한 신경 항목이 모든 계급에서 가장 높게 평 가되었다. 예민함 항목에서만 계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계급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경향 을 보였다. 병사들의 멘탈파워 유형은 내향적 몰두형, 정서적 참여형, 활동적 참여형 및 외향적 몰두형의 비율이 약 3:3:3:1로 분포되었으며, 내향적 몰두형은 모든 항목에서 여타 유형에 비하여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나 멘탈파워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종합적인 스트레스는 계급 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이병과 나머지 계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멘탈파워별로는 내향적 몰두 형이 가장 높았고 활동적 참여형이 가장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종합적인 스트레스에는 예민성과 불안함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사들의 스트레스 발생주기는 약 6일이며, 이병과 병장집단이 일병과 상병집단에 비하여 발생주기가 더 짧았다. 스트레스 해소 기간은 약 2일이며, 이병과 상병집단이 일병과 병장집단보다 짧은 경향을 보였다. 멘탈파워 유형별로는 활동적 참여형은 스트레스 받는 주기가 길면서 해소 소요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아 스트레스 대처에 가장 강한 멘탈 유형 으로 파악되었다. 스트레스로 인한 병사들의 직무역량에서는 개인 직무역량, 팀원 직무역량, 생활관 공 동체 역량 등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계급별, 멘탈파워 유형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개인 직무역량에서는 질적, 양적측면 모두에서 개인역량의 저하를 초래하였고 팀원 직무역량 에서는 최선을 다함, 팀워크를 위해 노력함, 팀원에게 도움주기 정도 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관 공동체 역량에서는 개인생활보다 단체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level of stress in soldiers and the impact of stress on job performance. The study object was 282 soldi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7 to 18 March 2022. The DASS-21 stress scale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stress among soldiers, and the over-react to situation item was rated the highest across all ranks. Only the rather touchy ite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anks and tended to increase with rank. Soldiers' mental power types were distributed in a ratio of about 3:3:3:1 among directed inwards involvement, emotional involvement, active involvement and outgoing involvement, with directed inwards involvement being higher than other types in all items, indicating that mental powe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tress. Overall stress was higher with higher rank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vate and other ranks. By mental power, directed inwards involvement was the highest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the lowes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ing rather touchy and getting agitated were found to affect overall stress. The stress cycle of soldiers is about 6 days, and the private and sergeant groups have shorter onset cycles than the private 1st class and corporal groups. The duration of stress relief is about 2 days, and the private and corporal groups tend to be shorter than the private 1st class and sergeant groups. By mental power type, active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mental type for coping with stress, with a long cycle of stress and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relief. In terms of the soldiers' performance under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such as individual performance, team performance, and living community performanc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anks or mental power types. On the side of personal competence, there was a decrease in personal competence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rms, and in terms of team compet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doing my best, striving for teamwork, and being helpful to my teammates. In regard to community competencies, the impact on group life was greater than individual lif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스트레스 개념
    2.2 스트레스 원인
    2.3 스트레스 영향
    2.4 병사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및 내용
    3.2 설문지 설계
    3.3 조사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병사의 스트레스 분석
    4.2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역량 비교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안득수(전북대학교 조경학과/장병녹색문화공간연구소) | Deugsoo 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Institute of Soldier’s Green Spac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양지인(전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 Jiin Yang (Natural history museu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심재구(전북대학교부설 장병녹색문화공간연구소) | Jeagu Shim (Institute of Soldier’s Green Space,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