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Unique Shapes of Lotus Patter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2,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연화문의 모습은 자연 상태와 가깝고 닮은 경우와 닮지 않은 먼 모습 즉 모습이 특이한 경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우리 겨레는 이 논문에 소개하는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들도 여느 연화문과 더불어 삼국시대 초(기원후 1세기경)부터 약 2 천여 년간 보편적으로 다양하게 줄곧 표현하였다. 이 연화문들은 불교 전래와 함께 유입된 외래 표현이 아니 다. 원(原) 중국 역사문화강역(현재 중국 섬서성·하남성 일대)으 로부터 영향받은 표현도 아니다. 우리 겨레의 원(原) 역사문화 강역 안 신석기시대 또는 고조선(청동기)시대부터 시작된 고유 의 표현들을 계승 발전시킨 모습이다. 우리 조상들은 이들을 분명하게 연화문으로 인식하며 표현하 였다. 이는 이 문양들이 모습이 다른 연화문들과 대부분 함께 사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음에서, 모습이 다른 연화문을 대 신하거나 대치한 경우가 많음 등에서 내린 결론이다. 현재의 학계에서는 이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들을 연화문으로 여기지 않고 있다. 추상적 문양·기하학적 문양이라 단정하거나 심지어 전혀 상관없는 잘못된 이름들을 부여하였다.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들은 첫째 기와 생장(화생 포함)을 담 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둘째 삼국시대 이전의 여러 문양을 계 승, 수용하면서 다양하게 도안되며 더욱 확산되었다. 이 논문을 계기로 우리 겨레의 대표 표현인 다양한 연화문이 명확하게 인식, 이해되고 널리 전달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 다. 오래전부터 중국에도 전파되어 큰 영향을 끼쳤다는 위대한 역사적 사실도 함께 널리 알려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Korean people have expressed unique lotus patterns in a variety of ways along with other lotus patterns for about 2,00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round the 1st century AD. These unique lotus pattern are not foreign expression introduced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Nor are they any expression conveyed by the original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 currently located in Shaanxi and Henan provinces of China. They were created solely by inheriting unique expressions developed from the Neolithic Age or Gojoseon Period, Bronze Age, within the original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 Our ancestors clearly recognized these unique patterns and expressed them in lotus patterns. This study is a conclusion drawn from many cases in which these unique patterns are mostly used together with other lotus patterns 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ntire shape replaces other lotus patterns or appears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form. Until now, academic researches do not regard these unusual lotus patterns as lotus patterns. They either assumed it was an abstract pattern or a geometric pattern, or even gave it completely unrelated, incorrect names. The unique lotus pattern spread further as it was designed in a variety of ways, firstly in the process of containing and expressing gi(氣, vitality) and growth(including the birth in lotus) and secondly, by accepting various patterns befor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unique lotus pattern will be clearly identified and that the fact that it was spread throughout Chinese region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 will also be known.

목차
Ⅰ. 머리말
Ⅱ. 모습이 특이한 연화문의 예
    1.첫 연화문
    2.세 갈래 (첫) 연화문
    3.덩굴 연화문
    4.겹겹 첫 연화문
    5.불로초·난초 모습처럼 보이는 연화문
    6.뇌형문雷形文(번개 모습의 문양)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연속 네모 연화문
    7.삼국시대 나무 모습 연화문
    8.모란문으로 잘못 불리는 고려·조선시대 연화문
    9.인삼잎사귀무늬·삼엽문蔘葉文으로 잘롯 불리는 연화문
    10.원문으로 표현한 연화문
    11.연주문連珠文·어자문魚子文·연환문連環文·동심원문으로 불리는 연화문
    12.'원문 안 작은 원문・원문 안 작은 점문'은 연화문
    13.’연판 안 작은 원문·곡옥 안작은 구멍·덩굴 연화문의 굽이안 작은 원문'은 모두 연화문
    14.태극문 안 작은 원문
    15.칠보문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16.귀목문(鬼目文)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17.딸기 또는 포도처럼 보이는 연화문
    18.직선문으로 표현한 연화문
    19.어골문(魚骨文)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20.귀갑문을 수용하여 표현한 연화문·육각 연화문
    21.파문(巴文)・파형문・바람개비문으로 불리는 연화문
    22.만자문(卍字文)으로 표현한 연화문
Ⅲ. 모습이 더욱 특이한 연화문의 예
    1.삼재(三才: 하늘·땅·사람)와 태양을 표현한 연꽃
    2.태양문으로 사용한 원문·동심원문에서 유래한 연화문
    3.태양문으로 사용한 나선문(螺旋文)에서 유래한 연화문·고사리문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4.화염문으로 잘못 불리는 연화문
    5.중앙・중심에서 외곽을 향한 방사형放射形연화문
    6.중앙・중심에서 외곽을 향한 네방향의 방사형放射形문양대文樣帶를 동반한 연화문
    7.산 모습 연화문·산을 화생하는 연화문
Ⅳ. 특이한 연화문이 여럿 표현된몇 예와 그 해석
Ⅴ. 형태에서의연꽃
Ⅵ. 결론
<參考文獻>

저자
  • 조원교(前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 Jo Won gyo (Former Curator, National Museum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