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혼화재 조합에 따른 UHPC의 기존연구 고찰 및 강도특성 평가 KCI 등재

State-of-the-Art Research and Assessment on Strength Properties of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UHPC) according to Admixtures Comb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5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는 높은 압축강도를 위해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시멘트 및 바인더 함량을 가지고 있다. UHPC 의 시멘트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중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는 각각 20%, 50% 수준까지는 강도 저하 없이 적용 가능하다는 연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UHPC 배합에서 시멘트를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로 치환하여 강도변화 및 유동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압축강도는 플라이애시 치환 실험체가 가장 낮으며, 고로슬래그는 치환 전과 유사한 강도를 보였다. 휨강도 는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치환 실험체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동성은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실험체 모두 향상되면서 고성능감 수제 저감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UHPC) has higher cement and binder contents than normal-strength concrete for exhibiting high compressive strength.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o reduce the amount of cement in UHPC and to confirm that fly ash a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BFS) can be employed as alternatives for cement without reducing the strength by up to 20% and 50%, respectively. Herein, changes in strength and fluidity were analyzed by replacing cement with fly ash and GBFS in the UHPC mix.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 fly ash– substituted specimen was the lowest, and a GBFS-substituted specimen showed a strength similar to that before substitution. Overall,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GBFS and fly ash–substituted specimens were lower than before substition. However, their fluidity was higher, requiring less superplasticizers.

목차
1. 서 론
2. 기존 연구 고찰
3. 혼화재 조합에 따른 강도특성 평가
    3.1 실험 변수 설계 및 실험체 제작
    3.2 미니 슬럼프 플로우
    3.3 압축강도
    3.4 휨강도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정현주(국립금오공과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수료) | Jung Hyunjoo (Ph.D. Candidat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Korea)
  • 김승기(국립금오공과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수료) | Kim Seungki (Ph.D. Candidat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Korea)
  • 김우석(국립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Kim Woosuk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