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Behavioral Strategies for the Social Practice of Buddhist Precepts : Focusing on Early Buddhist Precepts (vinaya)
윤리의 상실은 사회 및 구성원의 혼란으로 이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자산을 발굴하여 활용하는 것이 오류를 예방하고 문화적 친숙함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오랜 전통 속에서 전해 내려온 불교 윤리는 이런 점에 부합하지만, 그 특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불교 계율에서 윤리적으로 타 당하며, 실천 가능한 항목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중심으로 초기불교 팔리어 계본을 중심으로, 초기경전, 학술지 및 태국 숲속의 전통의 사례를 결합하여 진행하였다. 팔리어(pāli) 계본을 선택한 이유는 동남아 승가에서 유지, 실천되며, 붓다의 가르침에 제일 근접한 문헌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논의 범위는 팔리어 계목 중에서 종교적인 색채가 드러나지 않으며, 윤리적 보편적 타당성을 지닌 실천 가능한 항목들이다. 일차적으로 불자 및 일반인들도 무리 없이 수용,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 항목들을 추출하 고, 초기불교의 윤리적 항목 중에서 현대인이 전반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추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계(戒)가 아닌 율(vinaya)의 실천 가능한 항목을 추 출하여 ‘행위 매뉴얼’ 구성하자는 제언이다. ‘행위 매뉴얼’을 통해 불교계 의 발전 및 실천윤리를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Loss of ethics leads to disruption of society and its members. As a way to overcome this, identifying and utilizing existing assets will be advantageous in terms of error prevention and cultural familiarity. Buddhist ethics, which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a long tradition, fits this bill, but its characteristics are underutilized. In an effort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thically valid and practicable elements of Buddhist precepts. This paper will proceed by integrating literature centered around the early Buddhist pāli’s Paṭimokkha, combining early scriptures, theses, academic journals, and traditional cases from the forests of Thailand. The selection of the Paṭimokkha is due to its maintenance and practice in Southeast Asian monasticism, deemed as the most proximate literature to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he scope of the discussion will be the non-religious, actionable items from the pāli’s Paṭimokkha that have ethical and universal relevance. The primary objective is to extract items that Buddhists and laypeople should be able to accept and practice without difficulty, and to extract ethical items from early Buddhism that are generally practiced by modern people. Exploring 'conduct manual' within Buddhist culture, discussing ① persuasive language use, ② benefits through repetition three times, and "language actions based on etiquette," while discussing the benefits obtained through ③ speaking softly and ④ maintaining a "quiet and calm" mindset, with the expectation that this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actual conduct man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eation of a 'conduct manual' by extracting practicable items of vinaya, not sīla(械), and organizing them. This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world and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