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ntain Fortress as Capital Cit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oguryŏ history
고구려 초기 왕도(王都)인 졸본의 오녀산성은 평지에 있는 중국의 도성(방어성이자 도읍 성)과는 달리 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고구려는 산성을 방어성이자 치소성으로 삼아서 중 국의 침략에 대항하며 그 효율성을 증명하며 국세를 펼쳐 나갔다. 고구려 왕도 연구는 일본 인 학자들이 20세기 초에 주로 많이 하였는데 그들의 연구는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14년 세키노 다다시(關野貞)는 그의 논문에서 고구려 도성은 평상시 거주하는 평지성과 비상시 들어가 농성하는 산성의 세트로 이루어졌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 설은 한국과 일본과 중국 학자들 사이에서 100여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통설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 근 래에 여러 한국의 신진 학자들에 의하여 세키노 다다시의 고구려 왕성의 평지성-산성 세트 론에 대한 의문과 비판이 여러 번 나왔다. 양시은(2021)은 이러한 도식화된 이론의 시작과 정착과정 및 어떻게 일본, 중국, 한국의 학자들이 이 이론을 수용하게 되었는지를 체계적으 로 토의한 뒤, 산성과 평지성의 세트이론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일반 시민을 위한 한국사 서술이나 다른 학술 논문에서는 이 산성과 평지성의 세트 이론이 보편화 되어 있는 형편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고구려의 왕도는 산성과 평지성의 세트가 아니고, 산 성에서부터 시작하였고, 산성을 위주로 하여 외부 침략을 방어하고 나라를 경영하였다는 것 을 다음 다섯가지 고구려 왕도의 특징을 들어 검토하고자 하였다.(1) 고구려는 건국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산성이 주로 제1차적인 왕도이었다.(2) 고구려에서 왕도로서의 산성은 토속신앙 적 성지聖地이자 성전聖殿이었다.(3)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의 목책성(木柵城)과 비교해 보 면 한 부족이 대체로 목책으로 요새화된 성 하나를 방어성이자 거주성으로 하고 나머지 인구 는 목책성 주위에 방어벽이 없는 마을에 흩어져 살다가 위험시(외부 침략이 있을 때) 목책 요 새지에 들어가 함께 농성하였다.(4) 고구려의 외국침략자에 대한 방어 전술이 청야입보淸野 入保-게릴라전술이었는데 이러한 전술에는 산성이 평지성보다 더 큰 이점이 있었다.(5) 근 래 많은 고고학적 산성의 발굴 결과는 고구려의 산성-평지성 세트 방위체제를 뒷받침하지 않는다. 졸본에는 아예 평지 왕성이 없었고, 그 다음 고구려의 수도 두 곳(집안, 평양) 모두 왕 도가 산성에 위치해 있다가 힘이 축적되고 필요를 느꼈을 때 평지성을 쌓아 왕도의 역할을 분담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산성이 곧 방어성이자 치소성(도성)의 역할을 하였다.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의 평상시 거주하는 평지성과 비상시 들어가 농성하는 산성이란 세트이론은 받아 드릴 수 없 다. 여기에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의 목책방어성과 고구려 산성의 비교연구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early Koguryŏ capital in Cholbon is located on the top of a high mountain, unlike the capital cities in China. For Koguryŏ Kingdom, a mountain fortress was a defence citadel as well as an administration centre for governing the nation. Japanese historians carried out extensive research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the capital cities of Koguryŏ Kingdom, and their works made critical impacts on the later investigations into Koguryŏ capitals by the succeeding historians. Japanese historian Sekino Tadashi presented in 1914 a set theory arguing that the Koguryŏ dynasty adopted twin capital cities made up of a walled city on flat land for living and a mountain fortress for defence. For more than 100 years this theory was widely accepted by Korean, Japanese and Chinese scholars. However,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criticisms over Sekino’s theory by the new generation Korean scholars. Yang Si-Eun (2021) documented and reviewed the process of accepting Sekino’s set theory of Koguryŏ capital and argued that the theory is now outdated, not supported by evidence and thus is not acceptable as a valid concept for use in future research. Some scholarly research works as well as government publications still accept Sekino’s theory. That is why this paper presents my view that Koguryŏ adopted sansŏng (mountain fortress) as the main defence base as well as the main administration centre for governing the country. I have suggested the following 5 points to support my view that Koguryŏ had only one mountain fortress as their capital city: (1) From the beginning of the Koguryŏ dynasty, the mountain fortress has been the primary capital city. (2) the mountain fortress as the capital city meant that the place was a sacred religious site. (3) A comparison of Koguryŏ mountain fortress with New Zealand’s Maori pa -fortress or stronghold suggests that Koguryŏ capital had only one mountain fortress with multiple small villages outside their citadel. (4) Koguryŏ’s defence strategy emphasised a guerrilla warfare by retreating to their mountain fortress until the enemy had to retreat due to the lack of food, etc and then striking the enemy. (5) The recent archaeological excavation does not support Sekino’s set theory of Koguryŏ capital simultaneously having a mountain fortress for defence and a walled city on a plain for living. For Koguryŏ Kingdom, the mountain fortress was the defence fortress as well as the administration centre for governing the country. New Zealand Maori pa-palisaded stronghold with scattered small villages (kainga) in the country can suggest that the Koguryŏ Kingdom also had one mountain fortress as its capital with scattered small villages having little or no defenc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