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정신건강과 시간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 20대 대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척도, 정신건강 평가도구, 시간 관리 척도 등이 포함되었다.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사회참여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과 시간 관리 변수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정신건강과 시간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회참여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과 시간 관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참여에 따라 정신건강과 시간 관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정신건강과 시간 관리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학 내 커뮤니티 구축 등 사회적 지지체계를 확립하고, 고립된 학생들의 신체적 상태에 주목하며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서비스를 도입해야 한다. 사회적 고립 대상자를 일상으로 복귀시키는 작업치료사의 중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mental health and time manag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An online survey involving 125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evaluated loneliness, social isolation, mental health, and time managemen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outlin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time management across social participation levels. Pearson correlation was employ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e specific impact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on mental health and time management.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levels of social particip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and time management abilities.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supportive social systems and implement systematic services to address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ventions by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ssential for re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