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뿌리기업을 대상으로 조직 및 공급망 차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직 및 공급망 차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뿌리기업, 조직 및 공급망 회복탄력성에 대한 국내외 문헌 조사를 실시하여 네트워크 역량, 위기대응 역량 및 조직 역량의 3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네트워크 역량의 요소로 네트워크 유연성과 네트워크 준비성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위기대응 역량의 요소로 조직유연성과 피해식별 및 평가 요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 조직 역량의 요소로 인적자원과 유무형자산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네트워크 역량, 위기대응역량 및 조직역량의 3가지 모든 요인이 유의수준 5%에서 조직 회복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준다고 검정하였다. 둘째, 네트워크역량 및 위기대응역량은 유의수준 5%에서 공급망 회복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준다고 검정하였다. 셋째, 네트워크역량, 위기대응역량 및 조직역량은 조직 및 공급망 회복탄력성 간 조직유형의 조절효과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지 않다고 검정되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 조직 차원과 공급망 차원의 회복탄력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이가 있다. 또한, 조직의 유형에 따른 뿌리기업의 역량과 회복탄력성 간 조절효과를 파악 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This study aim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and supply chain resilience targeting root companies.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and supply chain resilience,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 on root companies, organizational and supply chain resilience was conducted, and three factors were derived: network capacity, crisis response capacity, and organizational capacity. Network flexibility and network preparedness factors were selected as network capacity factors, and organizational flexibility and damage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as crisis response capacity factors. Finally, human resources and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 factors were derived as organizational capacity factors,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ll three factors of network capacity, crisis response capacity, and organizational capacity were test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resilience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Second, network capacity and crisis response capacity were test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resilience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ype on organizational and supply chain resilienc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for network capacity, crisis response capacity, and organizational capacity.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ffer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to derive factors that can commonly affect resilience at the organizational and supply chain levels. In addition,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apabilities of root companies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