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근대 한국의 천문 이변에 대한 인식과 해석 ― 천동상위고(天東象緯考)에 수록된 우주, 해, 달의 이변과 점사를 중심으로 ― KCI 등재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stronomical Phenomena in Pre-modern Korea - Focused on Phenomena and Omens of the Heaven, Sun, and Moon Recorded in the Cheondong-sangwi-g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1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1,9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한국의 전근대 시기 전통 천문 지식의 면모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 으로 천문 이변 현상에 대한 인식과 해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천동상 위고(天東象緯考)』를 대상으로 우주(하늘)와 해, 그리고 달에 나타난 이상 징 후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으며 이에 대한 해석은 어떠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천동상위고에서는 천문 이변을 그 대상과 점사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라 다시 현상을 세분하여 각각의 해석을 붙였다는 점에서 천문 지식으로서 의미가 크다. 천동상위고에 나타난 우주, 해, 달과 관련된 천문 이변의 유형 표에 따르면, 천변과 일변, 월변의 유형으로 나뉘어지며 그 하위 부류는 전체 120여 종에 달한다. 또한, 천문 이변에 따른 점사는 국가 멸망이나 왕의 사망에서부터 병란이 나 역모, 각종 재난과 재해 등 다양하다. 이러한 점사는 하나의 천문 이변에 2 개 이상의 점사가 서술되기도 하고 동일한 점사가 2개 이상의 천문 이변에 적용되기도 한다. 대체로 나라의 변고나 재난을 예고하는 내용이지만 경사스 러운 일을 예고하는 내용도 있다. 천동상위고에 나타난 구체적인 천문 이변 사례에서는 이변이 한 가지만 나 타나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현상이 같이 나타나면서 점사 역시 더욱 복잡하게 제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전근대 시기에는 우주(하늘)와 해, 그리고 달을 중심으 로 일어나는 이변 현상을 세세하게 구별하였고 이에 대한 점사 역시 그 이변 현 상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부여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근대 시기 천문 현상에 대한 지식, 즉 천문 이변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일단을 볼 수 있었다.

As part of a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in pre-modern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stronomical anomalies. The focus is on Cheondongsangwigo(天東象緯考), exploring how celestial anomalies, particularly involving the sky, sun, and moon, were perceived and interpreted. Cheondongsangwigo is significant for its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astronomical anomalies based on their subjects and divinatory interpretations, subdividing each phenomenon and attaching corresponding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stronomical anomalies related to the cosmos, sun, and moon in Cheondongsangwigo, there are types such as celestial anomalies, solar anomalies, and lunar anomalies, with over 120 subcategories. The divinatory interpretations associated with these anomalies range from the fall of a nation and the death of a king to wars, rebellions, and various natural disasters. Some anomalies have more than one interpretation, and the same interpretation can apply to multiple anomalies. While most of these interpretations predict calamities or disasters for the nation, some foretell auspicious events. Specific examples from Cheondongsangwigo show that multiple anomalies often occur simultaneously, leading to more complex interpretations. This detailed categorization of celestial phenomena in pre-modern times, particularly those involving the sky, sun, and moon, reflects how astronomical anomalies we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 into the knowledge of celestial phenomena in pre-modern Korea, particularly 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stronomical anomalies.

목차
논문 초록
Ⅰ. 서론
Ⅱ. 천동상위고의 편찬과 전통 천문 지식적 의미
    1. 천동상위고의 편찬 경위와 체계
    2. 천동상위고 의 전통 천문 지식적 의미
Ⅲ. 천동상위고에 수록된 우주, 해, 달의 이변양상과 유형
    1. 기록에 대한 DB 구축과 경과
    2. 이변 양상과 유형
Ⅳ. 우주, 해, 달의 이변에 대한 점사
Ⅴ. 우주, 해, 달의 이변에 대한 인식과 특징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천동상위고 소재 전통천문지식 DB(1~5권, 월변까지) 샘플
<부록 2> 천동상위고 소재 우주, 해, 달의 이변 점사 유형표
Abstract
저자
  • 김태우(신한대 리나시타교양대학 조교수) | Kim Tae-woo (Assistant Professor, Rinascita College of Liberal Arts, Shinhan University)
  • 민병희(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 Mihn Byeong-Hee (Principal Researcher,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박은미(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 | Bahk Uhn-Mee (PhD, Department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