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patializing Global Time: Lee Wan’s Practice as Commentary on the Network Consumer Society
본 논문은 이완의 작업, <메이드인>(2013)과 <고유시>(2017)를 중심으로, 포디즘 이후 등장한 네트워크 사회의 기술적 및 경제적 전환의 동기와 인과를 조명한다. 이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노동과 자본주의 가속도, 그리고 그 사회경제적 구조의 권력 역학이 행복의 개념과 이미 지를 개인적 이상에서 정량화된 기호의 척도로 전환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디지털 네트워크의 융합은 물질적 상품을 넘 어 기호와 데이터의 생산 및 소비가 지배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글로벌 소비사회에서 개인 행복 담론이 노동의 추상화, 시간의 공간화, 그리고 계층적 구분과 동질화의 역학 속에서 재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이완의 작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스펙터클이 초래하는 개인 행복 조건의 상품화 과정을 조명하며, 이를 통해 현대 소비사회에서 수직적 계층화와 수평적 동질화를 지속시키는 구조적 역학을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tivations and causality of the technological and economic transitions in the network society that emerged after Fordism, visualized in Lee Wan’s works Made In (2013) and Proper Time (2017). Focusing on this historical context, the study analyzes how labor’s power dynamics, capitalist momentum, and socio-economic structures have transformed the concept and image of well-being from a personal ideal into a quantifiable sign. The digital transition since the 1980s has created a networked environment dominated by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igns and data in place of material goods. Within this framework, individual well-being is reconstituted through the abstraction of labor, the spatialization of time, and the mechanisms of stratification and homogenization in global consumer society. Centering on Lee Wan’s works, this study explores how digital spectacles commodify well-being and perpetuate vertical stratification and horizontal homogenization within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