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품 사기 취약성 평가 도구와 식품공급망별 적용 사례 KCI 등재

Food Frau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s and Their Applications to Selected Food Supply Chai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4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식품 사기는 글로벌 식품 공급망에 상당한 위협을 가하 며 경제적 안정성과 공중 보건에 영향을 미친다. 이 리뷰 에서는 먼저 식품 사기 취약성 평가(food fraud vulnerability assessment, FFVA)를 조사하여 다양한 기관의 통합된 정 의와 분류를 통한 표준화된 방법론의 필요성이 강조되었 다. 네 가지 주요 FFVA 도구인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식품 사기 완화 지침’, ‘International Featured Standards (IFS) 표준 제품 사기’, ‘SSAFE 식품 사기 취약 성 평가 도구’,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와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criticality, accessibility, recuperability, vulnerability, effect, and recognizability plus shock (CARVER+Shock) 도구’의 주요 특징과 한계점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Safe Supply of Affordable Food Everywhere (SSAFE)의 식품 사기 취 약성 평가 도구를 적용하여 우유, 향신료, 오일, 유기농 식 품, 육류, 해산물 및 알코올의 공급망에 대한 취약성 평가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약성을 평가할 때 원자재 나 제품이 브랜드 또는 상표 위조에 덜 취약한 경우 평가 설문에서 위조 관련 질문을 제외하는 등 식품 공급망 특 성이나 조사 대상에 따라 평가 항목이 조정되었다. 또한 식품 사기 행위의 기술적 탐지 난이도, 기업의 윤리적 문 화,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정도가 식품 사기 취약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러한 평 가도구들은 귀중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식품 사기 의 진화하는 본질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통합적이고 적응 가능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식품 사 기 예방을 위한 강력하고 글로벌한 표준을 수립하기 위해 서는 향후 FFVA 방법론을 개선하고 산업, 규제 기관 및 학계 간의 협력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Food fraud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the global food supply chain by affecting both economic stability and public health. This review first examines food fraud vulnerability assessments (FFVAs), highlighting the need for standardized methodologies through unified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from various organizations. Four primary FFVA tools ‘food fraud mitigation guidance’, ‘standard product fraud’, ‘food frau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and ‘criticality, accessibility, recuperability, vulnerability, effect, and recognizability plus shock (CARVER+Shock) tool’ were evaluat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identifying vulnerabilities in diverse food supply chains and facilitating prevention strategies. Case studies of the supply chains of milk, spices, oils, organic foods, meat, seafood, and alcohol illustrate the methodology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outcomes of the tool.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unterfeiting-related questions are excluded when raw materials or products are less susceptible to brand or trademark counterfeiting. Additionally, the results show that technical fraud thresholds, corporate ethics, and monitoring systems significantly affect vulnerability to food fraud. Although the current tools provide valuable frameworks, our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more integrated and adaptable approaches to address the evolving nature of food fraud. This review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FFVA methodologies and encouraging collaboration among industries, regulatory bodies, and the academia to establish robust global standards for food fraud prevention.

목차
ABSTRACT
식품 사기와 취약성 평가
식품 사기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
SSAFE 식품 사기 취약성 평가도구를 적용한 사례들
    1. 식품공급망별 취약성 평가 방법
    2. 다양한 공급망에 대한 요인별 취약성 평가 주요 결과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국문 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이현수(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식품공학과) | Hyeon Soo Lee (Schoo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 박수빈(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식품공학과) | Su Been Park (Schoo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 전향숙(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식품공학과) | Hyang Sook Chun (Schoo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