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독교 소명을 통한 교사의 직무에 대한 새로운 이해 KCI 등재

A New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Job Through Christian Vo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6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현대 사회는 교사의 권위에 대한 많은 질문이 생기는 시대이다. 이러한 때에 루터의 직업윤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루터의 직업 윤리는 종교개혁의 위대한 결실이다. 그의 직업윤리는 중세의 이원론적 직업윤리를 배경으로 할 때에 잘 파악된다. 그는 구원, 목회직, 가족관계, 직업, 교회의 직분, 특별한 사명, 일상과 관련하여 7가지 의미의 “소명” 개념을 사용하였다. 1520년의 작품들에서 루터 의 직업소명론은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고 오히려 인간의 삶과 직업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모든 일을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일로 보기 때문이다. 디모데전서 3:13에 대한 주석(1527/28)을 보면, 영적 소명 과 외적 소명이 같은 자리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후자가 전자보다 상위 자리를 차지해서가 아니라 두 소명 모두 그리스도를 기쁘게 섬기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1530년대 창세기 주석에서 루터는 신자들이 감사하 면서 자신의 직업에 충실할 것을 권면한다. 여기서 루터의 의도는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삶의 자세를 제시 하려는 것이지, 직업을 바꿔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루터는 교육을 하나님께의 봉사를 위한 도 구로 보았다. 그는 신 앞에서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루터의 이러한 사상들이 오늘날 교사들에게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 그 사명감을 고취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odern society is an age in which many questions arise about the authority of teachers. At such a time, Luther􍾨s work ethics can be an answer to these questions. Luther􍾨s work ethics is a great fruit of the Reformation. His work ethics can be well understood when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dualistic work ethics of the Middle Ages. He used the concept of 􍾫calling􍾬 in seven meanings in relation to salvation, pastoral ministry, family relationships, work, church office, special mission, and daily life. In his works from the 1520s, Luther􍾨s work vocation theory does not alienate humans, but rather gives greater value to human life and work. This is because he sees all work as service to God and neighbors. In his commentary on 1 Timothy 3:13 (1527/28), spiritual and external callings occupy the same place, not because the latter is superior to the former, but because both callings serve Christ joyfully. In his commentary on Genesis in the 1530s, Luther exhorts believers to be faithful to their work with gratitude. Here, Luther's intention is to present a desirable Christian life attitude, not to say that one should never change jobs. Luther viewed education as a tool for serving God. He said that all people are equal before God, and therefore all people should be the subject of education. I believe that these ideas of Luther can help present new standards to teachers today and encourage their sense of mission.

목차
요 약
I. 들어가는 말
Ⅱ. 연구목적
Ⅲ. 이론적 배경
    1. 루터의 소명론의 배경
    2. 루터의 소명론
    3. 교사 직업에 대한 현대 이해와 루터의 소명론
Ⅳ. 루터와 공교육
    1. 루터의 인간관
    2. 공교육 사상의 근거
    3. 교육의 목적
Ⅴ. 교사의 사명과 소명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준현(루터대학교 신학과 부교수) | Kim Jun 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