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육군 리더십코칭 효과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KCI 등재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Army Leadership Coaching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육군 지휘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 군 리더십코칭을 받은 지휘관 74명을 대상으로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 도에 대해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 설문은 이끌기, 리더다움, 품성, 역 량개발, 군사 전문성, 성과달성 6개 분야로 측정하였으며, 만족도는 코치 적극성, 코칭 필요성,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5개 분야로 측정하였다. 설문자료는 일표본 T검정, Kruskal-Wallis 일원배치분 산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 전문성과 성과달성 측면에서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코치 전문성 향상, 다양한 리더십 성향을 고려 한 코칭, 코칭 대상 계급 재검토, 리더십코칭 계량화 및 코치인력 다양화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육군 리더십코칭의 질적향상과 지휘관들의 리더십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군 전투력이 한층 더 높아질 것 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leadership coaching for Army commanders and to propose strategies for improvement. A survey of 74 commanders assessed effectiveness in six areas (leading, leadership identity, character, competency development, military expertis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five areas (coach enthusiasm, necessity, diagnostic appropriateness, technique suitability, and coach expertise).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 one-sample t-test and Kruskal-Wallis analysis, were used. Results showed low effectiveness in military expertis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and low satisfaction with diagnostic appropriateness, technique suitability, and coach expertise. Proposed improvements include enhancing coach expertise, customizing coaching to leadership styles, reassessing coaching participants' ranks, quantifying coaching, and diversifying coaching personnel.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leadership coaching quality and enhance commanders' leadership skills, thereby strengthening military combat effectivenes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육군 리더십코칭 개념
    2.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리더십코칭 효과
    2. 리더십코칭 만족도
Ⅴ. 결론 및 발전방안
    1. 코치 전문성 향상
    2. 다양한 리더십 성향을 고려한 코칭
    3. 코칭 대상 계급 재검토
    4. 리더십코칭 계량화 및 코치인력 다양화
<참고문헌>

저자
  • 김익현(강원대학교) | Yeekhyun Ki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백병호(육군본부) | Byungho Baek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수연(강원대학교) | Sooyun Ki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