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육군 지휘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 군 리더십코칭을 받은 지휘관 74명을 대상으로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 도에 대해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 설문은 이끌기, 리더다움, 품성, 역 량개발, 군사 전문성, 성과달성 6개 분야로 측정하였으며, 만족도는 코치 적극성, 코칭 필요성,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5개 분야로 측정하였다. 설문자료는 일표본 T검정, Kruskal-Wallis 일원배치분 산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 전문성과 성과달성 측면에서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코치 전문성 향상, 다양한 리더십 성향을 고려 한 코칭, 코칭 대상 계급 재검토, 리더십코칭 계량화 및 코치인력 다양화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육군 리더십코칭의 질적향상과 지휘관들의 리더십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군 전투력이 한층 더 높아질 것 으로 기대된다.
K1A1 tank commander’s primary thermal sight is a device that enables tank commanders to detect, identify, aim and track the target by observing targets in all directions during day, night and in situations of smokescreen and fog through 360° rotation independent from the gunner’s primary thermal sight and stabilizing the line of sight even under the vibrations occurring when the tank is standstill and moving. The main function of this device is to detect and process visible and thermal images and deliver the final images to the tank commander. One of the core parts to that end is the observation window (daytime/ thermal image window). This core part is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optical path for observing the target and plays the role of making visible light during the daytime and infrared light during the night pass through the target and transmitting the resultant images to the internal optical system of the tank commander’s primary thermal sight. Such core parts have been selected as depot maintenance items so that they are replaced by new parts instead of being recycled when they are subjected to maintenance in most cases. That is, the military budget is wasted because such parts are replaced by new parts despite that they can be recycled for maintenan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ounting tool for polishing and coating observation windows (daytime and thermal image window) using planar polishing equipment and DLC (Diamond-Like Carbon) coating equip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n amendment (proposal) of the Depot Maintenance Work Request (DMWR) already publish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recycled produc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inspection standards for recycling processes.
K-1계열 전차의 전차장 열상조준경은 주야간 및 연막, 안개 등의 상황에서 포수조준경과 독립적으로 360°회전을 통한 전 방향의 표적 관측과 전차가 정지 및 기동 간 발생하는 진동에서도 조준선을 안정화하여 전차장이 표적의 감지, 식별, 조준 및 추적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장치 의 주요기능 중 하나인 가시상 및 열상을 감지하고 처리하여 최종 영상을 전차장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핵심 부품은 주간 및 열상 창이다. 이 핵심 부품은 목표물을 관측하는 광행 로 입구에 장착되어 있으며, 목표물에 대해서 주간에는 가시광, 야간에는 적외선을 통과하여 전 차장 열상조준경의 내부 광학계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핵심부품에 대한 정비는 창 정비 품목으로 선정되어 대부분 재생정비가 아닌 신품 교환 정비를 하고 있는 실정 이다. 즉, 재생정비가 가능한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신품교환에 따라 군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면연마장비와 DLC(diamond-like carbon) 코딩장비를 활용하여 주간 및 열상 창을 연마·코팅할 수 있도록 장착치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재생공정에 대한 검사기준 정립을 포함하여 재생품에 대한 성능검증을 위해 기 발간된 창 정비작업요구서(DMWR) 수정(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의 현장지휘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해양재난 발생현장에서 현장지휘관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능성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결론을 도출하였고, 여러 관점의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해양사고 대응 조직체계와 같은 구조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의사결정과 같은 비구조적인 측면을 이론과 분석을 통해 비효율적인 조직체계,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실패, 현장과의 소통 부족과 같은 문제점을 밝혀냈으며, 선진형 현장 지휘체계의 모색, 효율적인 조직, 전문인력의 양성, 개방적인 조직문화의 조성과 같은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세월호 침몰사고 초기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구조대응 실패에 대한 원인 중 하나로 현장지휘관의 판단실패를 지적하고 있다. 아직까지 최종적인 사고원인분석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으나 사고현장에서의 초동대응은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바다는 육지에 비해 위험성, 고립성, 제한된 정보, 전통적인 바다라는 권위적 조직문화 속에서 현장지휘관들은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지금도 바다에서는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