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궁정심리자본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보육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영유아와의 긍 정적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보육교사가 영유아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and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and establish practical measures for providing high-quality childcare service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ct as mediating factors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importance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vided basic data for childcare teachers to provide high-quality childcare services to infants and toddlers by promoting positive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