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 조례’ 비교·분석을 통해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피해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조례 개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및 6개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사회 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 비교 분석틀에 기초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충청북도 조례는 적용대상, 재정부담, 벌칙 구성요소에서, 충주시 조례는 권리성, 적용대상, 전달체계, 인력 구성요소에서 가장 체계적이었 다. 조례 개정 방안으로 학대피해아동쉼터 운영 조항을 ‘지정’이 아닌 ‘운영’으로 개정, 단체장의 책무로써 재정적 지원 명시 및 예산 지원 강 행규정으로 변경, 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임용 및 필수 보직기간 설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visions for the ordinance to prevent child abuse and protect victimized childre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rdinance on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Protection of Victims’. To this end, the ordinances of Chungcheongbuk-do and six local govern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The Chungju-si ordinance was the most systematic in the components of rights, allocation, delivery system, and human resources. As some revision plans, shelters for abused children was revised from ‘designation’ to ‘operation’, the responsibility of the head was specified as financial support, and the mandatory budget support, and the appointment of specialized child abuse civil servants and mandatory posi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