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4년 하반기까지 낙상예방을 위한 노인 운동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국 내 KCI등재지에서 발행된 선행 문헌 16편을 대상으로 특성, 운동프로그램 기간, 프로그램 구성, 운동효과 에 대해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서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평균연령은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피험자 수는 16명에서 30명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건강 상태는 대 부분 건강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이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된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 타났다. 둘째, 운동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12주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주당 운동 횟수는 2회와 3회 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1회 운동 시간은 60분 미만과 60분을 적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운동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무산소 운동프로그램과 복합 운동프로그램으로 구성한 논문들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체력 요인과 심리적 요인 등에서 운동 적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exercise program period, program composition, and exercise effects of 16 previous literatures published in domestic KCI-registered journals related to fall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from 2020 to the second half of 2024,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ies targeted elderly women in terms of gender, and the average age was 70 years or older, the number of subjects was 16 to 30, and most of the studies targeted healthy elderly people in terms of health status, and most of the studies consisted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econd, most studies applied 12 weeks for the exercise program application period, and the most common number of exercise sessions per week was 2 and 3 times. In addition, most of the exercise programs applied less than 60 minutes and 60 minutes per session. Third, most of the papers consisted of anaerobic exercise programs and combined exercise program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exercise application was effective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