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 황실 사슴뿔 이미지의 부서화(符瑞化) -녹각의와 건륭제 발문 녹각도를 중심으로- KCI 등재

From Hunting Trophies to Omen Images -The Changing Meaning of Deer Antlers from Antler Chairs to “A Painting of Deer Antlers” in the Qianlong Re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0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는 청 황제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6)가 발문한 사 슴뿔 그림인 <녹각도(鹿角圖)>가 소장되어 있다. 기존 연구에서 이 그림은 건륭제가 서양의 회화 주제인 사슴뿔을 서양 화법을 적용하여 그림으로써 서양풍을 모방하고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전용하고자 한 시도로 이해되었다. 본고는 관점을 달리하여 <녹각도>의 상서적(祥瑞 的) 요소를 발견하고 청 황제들의 대표적인 사냥감이었던 사슴의 뿔이 사냥 전리품에서 산령 (山靈)이 보낸 상서로운 징표, 즉 부서(符瑞)로 변모한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북 경ㆍ심양고궁박물원에 소장된 홍타이지, 강희제, 건륭제가 제작한 녹각의(鹿角椅)를 통해 청 황제들에게 있어 사슴뿔이 만주족의 전통과 용맹함을 보여주는 사냥 전리품이었음을 확인 한다. 또한 <녹각도>에 실린 건륭제의 발문인 ‘녹각기(鹿角記)’를 분석하여 이 사슴뿔이 어떻게 부서가 되었는지 밝힌다. <녹각도>에서 건륭제는 사냥감보다 서수(瑞獸)로서의 사슴 을 강조함으로써 청 황실의 사냥 의식이 중시한 만주적 무용(武勇) 위에 한족의 전통 사상인 천인감응설(天人感應設)에 의거한 부명(符命)의 가치를 덧입혔다. 이처럼 <녹각도>에서는 사냥을 자연의 정복이 아닌 자연과의 교감으로 해석하여 만주 황권을 성군의 경지로 끌어올 리고자 한 건륭제의 의도가 읽힌다.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houses two paintings of deer antlers attributed to the Qianlong emperor of the Qing dynasty(r. 1735~1796). Previous studies have interpreted these paintings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Qianlong’s interest in Western painting styles and subject matters. This paper focuses on one of the two paintings, titled “A Painting of Deer Antlers(Lujiao tu),” to trace the transformation of deer antlers from hunting trophies to auspicious omens sent by the mountain spirits. The paper first examines antler chairs commissioned by Hong Taiji, Kangxi, and Qianlong in the collections of the Beijing and Shenyang Palace Museums. This examination confirms that deer antlers held significant familial and martial values for the Qing emperors. Then, by analyzing Qianlong’s inscription on “A Painting of Deer Antlers,” the paper elucidates how the deer antlers were transformed into auspicious omens through the act of pictorial representation. Qianlong emphasizes the deer as an auspicious animal rather than merely as game, thereby imbuing the Manchu hunting tradition with the Han Chinese cosmological notion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man. Thus, “A Painting of Deer Antlers” reveals Qianlong’s intention to elevate Manchu imperial authority to the level of a sage king by interpreting hunting not as a conquest of nature but rather as a communion with nature.

목차
<차 례>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건륭제 <녹각도>
    1. 내용과 제작 배경
    2. 유럽풍 모방의 관점에서 본 <녹각도>
Ⅲ. 사냥감으로서의 사슴
    1. 만주 황족에게 사냥의 의미
    2. 녹각의에 나타난 사슴 사냥의 중요성
    3. <녹각도>와 녹각의 간의 관계
Ⅳ. 서수로서의 사슴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영(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강사) | Kim Young (Lecturer at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