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cessing of medicinal plants and mushrooms plays a crucial role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otenc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processed under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120 to 180 °C) and times (10 to 20 minutes). Processe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total phenol content,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O assay, ROS scavenging capacity, and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Antioxidant potency was highest with processing at 180 °C for 10 min and at 210 °C for 10 min. This enhanced activity is likely attributed to changes in compound functional groups due to heat processing, which in turn influences antioxidant activity. In contrast to antioxidant potency,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ganoderic acid D, ganodermanonitriol, and ergosterol, show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ime.
        4,000원
        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는 청 황제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6)가 발문한 사 슴뿔 그림인 <녹각도(鹿角圖)>가 소장되어 있다. 기존 연구에서 이 그림은 건륭제가 서양의 회화 주제인 사슴뿔을 서양 화법을 적용하여 그림으로써 서양풍을 모방하고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전용하고자 한 시도로 이해되었다. 본고는 관점을 달리하여 <녹각도>의 상서적(祥瑞 的) 요소를 발견하고 청 황제들의 대표적인 사냥감이었던 사슴의 뿔이 사냥 전리품에서 산령 (山靈)이 보낸 상서로운 징표, 즉 부서(符瑞)로 변모한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북 경ㆍ심양고궁박물원에 소장된 홍타이지, 강희제, 건륭제가 제작한 녹각의(鹿角椅)를 통해 청 황제들에게 있어 사슴뿔이 만주족의 전통과 용맹함을 보여주는 사냥 전리품이었음을 확인 한다. 또한 <녹각도>에 실린 건륭제의 발문인 ‘녹각기(鹿角記)’를 분석하여 이 사슴뿔이 어떻게 부서가 되었는지 밝힌다. <녹각도>에서 건륭제는 사냥감보다 서수(瑞獸)로서의 사슴 을 강조함으로써 청 황실의 사냥 의식이 중시한 만주적 무용(武勇) 위에 한족의 전통 사상인 천인감응설(天人感應設)에 의거한 부명(符命)의 가치를 덧입혔다. 이처럼 <녹각도>에서는 사냥을 자연의 정복이 아닌 자연과의 교감으로 해석하여 만주 황권을 성군의 경지로 끌어올 리고자 한 건륭제의 의도가 읽힌다.
        6,700원
        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income mushroom crops require complex farming. Therefore, we conducted a test to identify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using the King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T-N showed 0.28% of oak sawdust and 2.2% of nutritional source. The pH of oak sawdust was 6.0, indicating weak acidity, and that of rice steel was 6.6, indicating neutrality in nutrition source.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showed that the number of days at 25°C were 5~6 and those at 30°C were 3~5; the representative length at 25°C was 57.5 mm and that at 30°C was 92.2 mm; the biological weight at 25 °C was 43 g, which was greater than that at 30°C.
        3,000원
        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medicinal mushrooms with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PC12 neuronal cell line, followed by evaluation of their antioxidant property. Extracts of medicinal mushrooms, including Ganoderma lucidum extract (GLE), antler-shaped Ganoderma lingzhi extract (AGLE), Hericium erinaceus extract (HEE), and Sanghuangporus baumii extract (SBE), were screened for cytotoxicity using MTT assay. None of the extracts up to 10 μg/ml concentration affected cell viability. These extracts were further check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Exposure to 50 μM H₂O₂ induced ROS generation in PC12 cells, which was inhibited only by treatment with AGLE. In addition, inhibition of H₂O₂-induced ROS generation by AGLE was found to be in a dose-dependent manner (2.5, 5, and 10 μg/ml). Microscopic examination of DCF fluorescence for detection of ROS showed a similar pattern. Further, antioxidant activity of AGLE was determined by ABTS radical cation assay, and its IC50 was found to be 46.90±0.31 μg/m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LE may help to alleviate oxidative stress in PC12 neuronal cells.
        4,000원
        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ipopolysaccharide (LPS)/interferon (IFN)-γ로 자극 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각영지버섯의 항산화 활성 을 확인하기 위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과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소거 활성 및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효과에 대한 IC50은 각각, 80.74, 52.28 ㎍/ml의 radical 소거능이 관찰되었으며 ROS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ROS 및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활성산소 종 ROS와 염증 매개물질인 NO는 투여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을 지닌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 료된다.
        9.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영지버섯은 두 가지 형태인 녹각형과 편각형이 알려져 있다. 최근 녹각형 영지버섯이 편각형 영지버섯보다 더 많은 양의 β-glucans 및 triterpenoids 가 함유되어있어 편각형 영지버섯보다 더 강한 생리활성이 있다고 제안되었으며, 실제로 녹각형 영지버섯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종양활성 연구에서 종양억제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종내 24균주(녹각형 5균주, 편각형 19균주)를 대상으로 미토콘드아 SSU rDNA의 염기서열을 비교 하였고 녹각형과 편각형 영지버섯을 판별할 수 있는 SNP 부위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SNP를 포함한 미토콘드리아 SSU rDNA 부위의 단편(499bp)을 증폭하여 HinfI 제한효소를 처리하였을 때 녹각형 영지버섯에서만 369bp와 130bp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제한 단편이 확인되었고 편각형 영지버섯에서는 499bp의 증폭산물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녹각 형태의 영지버섯의 자실체 발생은 CO2 농도 및 광량뿐만 아니라 유전적인 관련성이 어느 정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2%, 3% of deer young antler, deer antler, oystershell, crabshell, eggshell were add into the 5%, 10%, 15% solution of glacial acetic acid and vinegar and after incubating it for 4 days at 30℃ respectively, solubility was analyzed. The result shows the difference was minute between glacial acetic acid and vinegar. In the 2% content of deer young antler, solubility was 42~47%, in the 3% content of it, solubility was 41~47%, with the acid concentration becoming higher, solubility increased slightly. In the 2% content of deer antler, solubility was 59~63%, in the 15% content of acid, solubility rather decreased. In the 2% content of oystershell, solubility was 85~96%, in the 3% content, solubility was 95~98%, in the 15% of acid density, it decreased. In the 2% content of crabshell, solubility was 79~88%, in the 3% content, solubility was 81~95%, and in case that acid density was high, solubility increased rather slightly. In the 2% content of eggshell, solubility was 84~96%, in the 3% content, solubility was 84~93%. When young deer antler and deer antler were heated for two hours at 100℃, solubility increased 19~24%, and in the case of crabshell, 10~11% increased. The above result and condition, and the result of pH and acidity don`t have much influence on solubility. Thus, the 5% of acidity was enough to melt the 3% of sample. Highest were glacial acetic acid and vinegar in solubility to the various organic acid, and wax gourd vinegar melted the 85% of oystershell, the 78% of crabshell, the 28% of the deer young antler, and in the precipitation was made. Citric acid melted the 57% of deer antler, but it was precipitated with all other samples. Ascorbic acid melted the 92% of eggshell, and did the 37~54% of other samples.
        4,000원
        1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남 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장생녹각’영지버섯은 국내외에서 수집, 분리된 영지속 9종 48균주에 대한 배양 및 재배 특성 을 검토해 개발한 품종이다. 장생녹각의 균사는 감가배지(PDA)에서 28 배양시 (61㎜/5일) 가장 양호하였고, 균총의 모양 이 불규칙(tuft)한 반면, 영지1, 2호는 원형(smoothy)이었다. 병재시(참나무 톱밥 80%+밀기울 20%, 2,000㏄PP) 균배양 기간은 32일, 초발이기간 11일, 자실체 생육기간 54일로 영지1, 2호 보다 자실체 생육기간이 12∼14일 더 소요되었고, 자실 체는 28∼32 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장생녹각(대의 수 4.8개, 대길이 38㎜)은 영지1호(대의 수 4.9개, 대길이 18㎜ )와 영 지2호(대의 수 4.2개, 대길이 13㎜)보다 대의 길이가 길었고, 갓의 모양은 녹각형으로 신장형인 영지1, 2호에 비해 관상용으 로도 가치가 기대된다. 장생녹각의 생물전환율은 9.4%으로 영지 1호 8.7%, 영지 2호 6.8%보다 우수하였고, 면역 기능을 활 성화 시켜주는 베타글루칸(β-glucan) 함량은 건조버섯 100g 당 40.1%로 영지 1호 19.3%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14.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장해에 미치는 녹각의 효과를 밝힐 목적으로 녹각을 성분별로 추출 분리하여 급여하고 galactosamine으로 간장해를 유도한 후 녹각추축물이 간기능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활성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Cytochrome P-450은 녹각추출물이 급여로 증가하였으며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으나 neutal-ext.군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다.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으나, 논각 추출물 급여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간조직의 글루타티올 함량은 녹각추출물 급여로 유의적 변동이 없었으며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녹각 추출물 급여군에서 감소하고 특히 water-ext.군에서 감소정도가 가장 현저하였다. 간조직중의 총 지방질,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녹각추출물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water-ext.군에서 가장 많이 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녹각의 water-ext.과 neutral-ext.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간기능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합성 증가를 통해 활성증가를 유도하고, 이로써 독성의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간독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녹각추출물의 작용이 생체에 흡수되어진 xenobiotics의 해독작용과 연관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7.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젖산발효를 통해서 얻어진 목이버섯과 녹각 추출액 혼합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녹각 추출액의 GABA생성 최적조건에서 probiotics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목이버섯을 2.5% 첨가하여 30℃에서 7일간 젖산발효를 하였다. 발효 7일 pH 5.06, 산도 0.77%로 나타났으며 1.3×108 CFU/mL로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고 GABA를 1.4%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을 첨가했을 때 젖산균 발효물의 물성이 개선되며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각 추출액의 젖산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실험한 목이버섯 2.5% 조건에서 발효 전 6 mg/mL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나 발효 후 독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6 mg/mL 농도에서는 5.58 μM로 발효 후 NO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각 추출액과 목이버섯 혼합물의 젖산균을 이용한 정치배양을 통해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젖산 발효물은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물은 GABA, probiotic,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anoderma lucidum is a non-toxic, medicinal mushroom, which is known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However, the effects and mechanism of action of Ganoderma lucidum on lipopolysaccharide (LPS) and interferon-gamma (IFN-γ)-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its-related cytokine expression are not ye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on NO production and NO-mediated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 LPS/IFN-γ-induced RAW 264.7 macrophage-like cells. Methods and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Ganoderma lucidum inhibited inducible NO synthase (iNOS) expression of RAW 264.7 macrophage-like cells at non-cytotoxic concentrations probably through the re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fter pre-treatment of cells with non-toxic doses of Ganoderma lucidum;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Moreover, Ganoderma lucidum treatment suppressed LPS/IFN-γ -stimulated pro-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including interleukin-1β and interleukin-6,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in LPS/IFN-γ-stimulated macrophages might be due to abrogation of NO-dependent cytokine release by impairment of iNOS expression via ROS generation.
        1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 자극과 부식 검사에 사용되는 동물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공피부가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 본 연구진은 녹각교를 함유하는 새로운 인공피부를 구축하였다. 현재 연구에서는 녹각교를 포함하는 인공피부를 사용하여 물질의 독성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sodium dodecylsulfate (SDS) 또는 sodium carbonate를 인공피부에 도포하였고 표피의 손상 정도를 H&E와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인공피부의 표피는 SDS와 sodium carbonat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더 나아가 이들 물질에 의하여 p63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녹각교를 함유하는 인공피부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모델로써 사용될 수 있고 in vitro에서 자극과 부식 검사 시험법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