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proximate composition, total dietary fiber, calories, minerals, fatty acids, and amino acids) of 10 noodle products (tteok ramyun, jjamppong ramyun, kimchi ramyun, instant udon, cup ramyun, jajangmyun, bibimmyun, cream spaghetti, ssalguksu, and milmyun), which account for 85% of the cumulative intake of one or more key nutrients,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moisture contents of bibimmyun, jajangmyun, and cream spaghetti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noodle products, whereas the crude fat,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calorie contents were the highest. Cream spaghetti had the highest mineral, fatty acid, and amino acid contents, followed by bibimmyun and jajangmyun. Ssalguksu had the lowest contents of most nutrients. These data could be used to populate a food composition database, which can provide consumers with the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frequently consumed noodle products.
        4,0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70 kinds of nutritional composition for five bokkeumbap products(spicy chicken, shrimp(saeu), haemul, nakji, and barbecue bokkeumbap) in high-frequency processed foods were analyzed. Raw data of intake amounts were colle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garding proximate composition, spicy chicken bokkeumbap had lower water content and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an other bokkeumbaps, resulting in the highest total calories.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other bokkeumbaps were all distributed within a similar range. Vitamin content differed according to ingredients added to the bokkeumbaps. Haemul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vitamins B1 and B2, nakji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vitamin C and β-carotene, and barbecue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total niacin, folic acid, and vitamin A. For mineral content, barbecue bokkeumbap showed the highest content distribution, while nakji bokkeumbap showed the lowest content distribution. Regarding fatty acid and fat content, the highest content of fatty acids, saturated fats, and trans fats was detected in shrimp(saeu) bokkeumbap. For amino acid content, barbecue bokkeumbap showed highest content distribu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salient basic data for a foo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an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consumers’ health.
        4,000원
        3.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젖산발효를 통해서 얻어진 목이버섯과 녹각 추출액 혼합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녹각 추출액의 GABA생성 최적조건에서 probiotics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목이버섯을 2.5% 첨가하여 30℃에서 7일간 젖산발효를 하였다. 발효 7일 pH 5.06, 산도 0.77%로 나타났으며 1.3×108 CFU/mL로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고 GABA를 1.4%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을 첨가했을 때 젖산균 발효물의 물성이 개선되며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각 추출액의 젖산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실험한 목이버섯 2.5% 조건에서 발효 전 6 mg/mL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나 발효 후 독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6 mg/mL 농도에서는 5.58 μM로 발효 후 NO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각 추출액과 목이버섯 혼합물의 젖산균을 이용한 정치배양을 통해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젖산 발효물은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물은 GABA, probiotic,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팽이버섯 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 및 probiotics를 강화시킨 천연 발효조미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분말에 영양성분 0.5% YE, 1% glucose, GABA 전구물질인 5% MSG를 첨가한 후 30℃에서 5일간 젖산발효를 진행한 결과 발효 2일 동안 pH는 6.1에서 4.4로 감소하다가 발효 5일에 6.2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발효 2일 동안 0.5%에서 1.3%로 증가한 후 발효 5일에 다시 0.4%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균수는 초기 젖산균 스타터 2.4×107 CFU/mL에서 발효 1일째 2.2×109 CFU/mL로 증가한 후 5일 동안 계속 유지되었다. 전구물질인 MSG는 발효 4일에 대부분이 이용되면서 약 2.31% 농도의 GABA로 전환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IC50 값이 1.24 mg/mL로, ABTS radical 소거 활성에서 IC50 값은 1.53 mg/mL로 나타나면서,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팽이버섯 발효물 30 g에 볶은 밀기울 1 g을 첨가하여 열풍 건조한 천연 발효조미료의 GABA 함량은 17%로 고농도의 GABA를 함유하여 probiotic 기능성이 강화되며 기호성을 갖는 발효조미료 및 건강소재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5.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weet pumpkin paste (SPP) was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at 25℃ for 3 days for enhancing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SPPs with 5%, 10%, and 15% solid contents (SC) were fortified with 20% sucrose and 0.5% yeast extract. The unfermented SPP with 15% SC indicated L, a, and b color values of 25.02, 4.66, and 13.35, respectively, and a consistency index of 48.6 Pa·sn. During the 3 days of fermentation, both the a and b color values decreased slightly, whereas the consistency index increased to 188.8 Pa·sn, giving the fermented product a pudding-like consistency. This fermented SPP (15% SC) showed the highest acid production and viable cell counts among samples, indicating pH 3.85, 1.30% acidity and 9.2×108 CFU/mL respectively. The added sucrose was completely utilized after 1 day of fermentation. After 3 days, the insoluble and soluble dextran contents were 8.9% and 4.5%,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ontents of mannitol and fructose were 3.11% and 1.76%, respectively. Regarding the sensory evaluation, this fermented sample also indicated the highest color, taste and texture scores, and was the overall preferred sample. In conclusion, the fermented SPP with 15% SC was carotinoid-rich a wholesome pumpkin-based product that is rich in probiotics and lactic bacteria-produced mannitol and dextran, which gave the product an acceptable viscous pudding-like consistency and good organoleptic properties.
        6.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 열매를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를 강화시 킨 오미자 젖산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오미자 열 매 추출액을 젖산 발효시킨 경우 발효 2일 동안 생균수 4.0×107 CFU/mL수준을 유지하면서 젖산균 증식이 미비하 였지만 영양성분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경우 50배 정도 증가된 2.2×109 CFU/mL생균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젖산발 효 3일 동안에 대조군, MSG, YE를 각각 첨가군에서 초기 pH 3-4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반면에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발효물은 pH가 증가되면서 pH 5.0 이상을 나타내었 으며, 초기 산도 1.74%에서 발효 3일에 0.5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물인 대조군과 2% MSG 또는 0.5% YE만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GABA로 소량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SG와 YE를 함께 첨가한 경우 젖산발효 1일째부터 GABA가 생성되면서 3일째에는 MSG 2%를 거의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PLC 정량분석 으로 0.92% GABA 생성이 확인되었다. MSG와 YE함께 첨가한 발효조건에서는 젖산발효 1일째부터 발효물은 붉 은 색이 퇴색되면서 황색으로 변화하였으며, 발효 초기에 적색을 나타내는 a값이 15.74에서 발효 후에 5.39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맛, 향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 오미자 착즙 원액과 발효물 100%인 실험군에서 점수가 각각 4.50, 4.33을 기록하여 상 대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에 발효물 50% 첨가한 실험군이 6.33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에 오미자 발효물을 50% 첨가함으로서 기호성이 우수하며 고농도 GABA와 probiotic을 함유한 오 미자 발효음료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7.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diabetic effect of a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ium (CL01) on hematological indices, as well as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the insulin-signaling pathway, in db/db mice. After CL01 was administrated for 4 weeks, blood glucose levels decreased consistently, and plasma insulin and c-peptide levels each decreased by roughly 55.8%, 40% of those in the negative control (p<0.05). With regard to HOMA-IR, an insulin resistance index, insulin resistance of the CL01-fed group improved over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by about 62% (p<0.05).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IR, pAkt, pAMPK, and GLUT4 an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kt2, IRS1, and GLUT4 in the muscle cells of db/db mice increased in the CL01-fed group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levels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L01 affects glucose metabolism, upregulates protein and gene expression in the insulin-signaling pathway, and decreases blood glucose levels effectively by improving insulin sensitivity. More than 90% of those who suffer from type 2 diabetes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hyperinsulinemia, hypertension, obesity, and other comorbidities because of insulin resist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CL01 intake c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treatment for type 2 diabetes by lowering insulin resistance, and these results may prove be useful as basic evidence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mechanisms of a cure for type 2 diabetes.
        8.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CL01)의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vitro 및 in-vivo 시험을 수행하였 다. CL01이 INS-1 세포에서 덱사메타손에 의한 세포 사멸 방지 효과를 나타냈으며 3T3-L1 세포에서는 당수송체인 GLUT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제 2형 당뇨 마우스를 4 그룹 (normal control (G1), negative control (G2), positive control (G3), CL01 250 mg/kg (G4))으로 나누어 6주간 매일 CL01 을 투여한 후 혈중 지표를 확인한 결과, CL01 섭취군은 체중, 사료 및 물 섭취량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투여 5주 후 CL01 섭취군의 혈당이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6주 경과 시 혈중 인슐린은 36% 증가하였고 혈중 C-peptide 농도는 18% 감소하였다. 경구 당 부하 시험 결과 CL01 섭취군의 혈당이 음성대조군 대비 15%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CL01이 베타 세포를 증식시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혈 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9.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지 koji를 제조하여 개량식 알메주와 0, 50, 100%비율로 혼합하여 90일간 발효시켜 양조간장을 제조 한 후 품질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금액의 염농도는 17.15∼17.22%를 나타내었으며, 비지 koji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수용성 고형분은 각각 8.73, 6.12, 2.50%로 감소하였으 며, 간장의 완충능은 알메주만을 사용한 경우에 1.25로 가 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액의 pH는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 록 낮아졌으며, 비지 koji 50%에서 4.92를 나타내었다. 알메 주, 비지 koji 50, 100% 각각 첨가한 간장의 산도는 1.09, 0.98 및 0.47%로 나타났다. 비지 koji 50%를 혼합하여 발효 시킨 간장에서 protease와 α-amylase의 효소활성은 발효 30 일에 각각 26.55, 6.41 unit/mL로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증가 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yrosine 함량은 발효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발효 90일에 275.2 mg%로 비지 koji 50% 를 사용한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발효 초기에는 알메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 60일에는 비지 koji를 첨가한 간장에서 높은 총당 함량을 보였으며 9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간장용액 갈색도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00/500 nm에 대한 흡광 비율값의 범위는 알메주 100%(1.25∼3.65), 비지 koji 50%(1.25∼3.65), 비지 koji 100%(1.25∼5.14)로 나타났다. 알메주 또는 비지 koji 50%를 첨가한 경우에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glutamine을 제외한 glutamic acid 등 대부분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비지 koij 100%를 사용한 간장은 매우 낮은 총아미노산 함량을 나타 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지 koji 50%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조간장은 짠맛과 색도에서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알메주 만을 사용한 간장의 기호도가 좋았 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알메주에 비지 koji 50%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양조간장은 일반성분, 색상과 맛 등 기호성이 양호하였다.
        10.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assis crispa was cultivated using soybean curd whey,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those of eight microorganisms that were foodborne pathogens or food-poisoning bacteria. The culture broth of soybean curd whey was superior in mycelium content (17.76 g/L) to that of the defined culture broth, and the β-glucan content was about 10.64 percent (w/w).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ulture broth were confirmed against those of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using the paper disk metho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lso maintained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alcalase treatment. The filtrate with less than 3 kDa M.W. also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ur strains: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about 1.26 mg/mL in the B. cereus and 12.6 mg/mL in the St. aureus and L. monocytogenes. The S. typhimurium showed a MIC of 62.8 mg/mL. Thus, the culture of Sparassis crispa using soybean curd whey provides a thermally stable antimicrobial agent that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the biofood industry.
        11.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effect of aging on solar salts produced in Korea,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olar salts, including their heavy metal contents, were analyzed after they were aged for one-year (OA) and for three years (TA). The average contents of the components were: sodium chloride; 81.4% (OA) and 90.9% (TA), chloride; 57.7% (OA) and 65.0% (TA), moisture content; 4.7% (TA) and 12.0% (OA), insoluble solids; 0.03% (OA) and 0.04% (TA), and SO4 ions; and 0.57% (TA) and 0.85% (OA).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however, in the heavy metal contents. Heavy metals such as As, Pb, and Hg were detected with values far below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 and Cd was not detected in the salts. The TA solar salts showed higher values of sodium chloride, chloride, and insoluble solids than the OA solar salts, but the TA solar salts had lower moisture and SO4 value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levels of heavy metals in the OA and TA solar salts that are produced in Korea are safe.
        12.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ino acid composition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were invstigated by HCI hydrolysis method. The optimum condition was obtained by hydrolysis at 110 for 24hr. As major amino acids from protein hydrolyzate, the content of tyosine, arginine and phebylalanine were 7.06%, 6.79% and 6.44%, respectively.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in Common millet, Italian millet and Sorghum were 5.73%, 5.64% and 5.46%, respectively. Glycine content was about 2.93% in three samples.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pure protein in Italian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were determined by micro-kjeldahl metho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pure protein. Protein content of sorghum was higher than those of Italian millet and Common millet. For SDS-PAGE analysis, Italian millet showed more soluble proteins including 50kDa, 30kDa and smaller proteins than other cereals. In particular, Common millet and Sorghum only solubilized proteins less than 15k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