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헤겔의 ‘인륜성’을 통해 본 영화 가버나움 KCI 등재

Capernaum Through the Lens of Hegel’s Theory of Ethical Life (Sittlichke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영화 ‘가버나움’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보장하는 “인륜적 이념의 현실성이자 최고의 이성의 형식”으로써 국가는 어디에 있는가를 묻게 한다. 국가는 개인의 복지를 증진하며, 가족을 보호하고 노동을 통 한 욕구의 상호작용을 보장하며 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헤겔의 이론은 공동체의 절대적 우위성이 내포하는 개인의 “비자립성” 문제를 극복하여 개인을 법적, 도덕적 주체로 섬과 동시에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시민사회의 질서와 그 구현인 국가는 개인의 자 유와 권리를 인륜성 안에 포섭해야 한다. 이로써 개인의 사회적 상호관 계에 존재적 근거를 마련해주고 생동하는 주체의 토대를 유기적으로 제 공, 보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개인의 주관적 의지문제로 계층 구조는 합리화되어 도태와 갈등, 적자생존의 혼란은 당연한 귀결이 된다. 인륜적 생동성을 개인의 정신적 자유와 권리에 근거를 두는 것을 반대하 지 않는다면, 국가적 힘은 개별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그 의무의 자발적 이고 생동적인 이행을 추구할 수 있도록 고차적 권력으로써 사용되어야 한다. 진정한 인륜성의 실현을 위해서는 궁핍과 곤란에 처한 이웃에게 이유와 책임을 묻고 따지기 전에 기회와 도움을 제공하는 제도적 보장이 중요하다. 개별적인 삶과 유기적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동시적 존재로서-인간, 존재의 토대인 인륜성 이론은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제시된다.

The film Capernaum raises the question of where the state is —as “the actuality of the ethical Idea” and “the highest form of rationality”—in protecting and guaranteeing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Hegel’s theory seek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s “non-independence,” implied in the absolute priority of the community, by enabling the individual to emerge as both a legal and moral subject within the communal whole. As the realization of civil society’s order, the state must incorporate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into its ethical totality, thereby providing an existential grounding for social relationships and supporting individuals’ flourishing as living subjects. Without this integration, social stratification is rationalized as subjective will, leading to exclusion, conflict, and the chaos of social Darwinism. For ethical life to be genuinely realized, state power—as a higher-order authority—must be directed toward institutional guarantees that support those in hardship, prior to any judgment of responsibility. As beings who simultaneously live individual lives and belong to an organic community, human beings require a theory of ethical life (Sittlichkeit), which serves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rehending the totality of human existenc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가버나움’, 그리고 자유와 제도적 보장
    2. 인륜성
    3. 인륜성과 영화 ‘가버나움’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용래(한신대학교) | Lee Yong-Rae (Hansh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