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Women, Nature, Myth, and a Failed Utopia: A Study of Sundarbans Trilogy of Amitav Ghosh KCI 등재

여성, 자연, 신화 그리고 실패한 유토피아: 아미타브 고시의 순다르반 3부작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논문은 아미타브 고시의 순다르반 3부작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여성과 자연, 그리고 저항의 문제를 탐구한다. 고시는 이 3부작을 통해 여성과 자연을 상품화하는 가부장제 및 자본주의 구조를 드러내며, 환경 위기가 특히 주변 화된 공동체와 여성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헝그리 타이드􋺸(2004) 에서는 모리치자피 학살 사건을 통해 국가 주도의 보존 정책에 내재된 폭력을 고발하 며, 생태 보존이 어떻게 쿠숨과 같은 취약한 이주민들을 몰아내는 억압의 도구로 작용 하는지를 묘사한다. 􋺷건 아일랜드􋺸(2019)는 기후 변화, 강제 이주, 젠더 기반의 불안정 성을 세계 자본주의 구조와 연결시키며 비판을 확장한다. 􋺷정글 나마􋺸(2021)에서는 가 부장적 서사를 전복하고 자연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본 비비(Bon Bibi)의 신화를 소개 한다. 고시는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자연/문화, 여성/남성, 신체/정신의 이분법을 해체 하고, 공존에 기반한 대안적 생태 의식을 옹호한다. 신화, 역사, 환경 비판을 직조해내 며, 젠더화된 생태 정의에 대한 긴급한 요구를 전면에 부각시킨다. 그의 서사는 인간 중심적, 남성 중심적 패러다임을 흔들고, 인간 생존이 자연 및 주변화된 목소리들과의 윤리적 관계에서 불가분함을 상상한다. 본 논문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하에서 여성과 자연의 관계, 그리고 신화와 유토피아 속에서의 그들의 위치를 함께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women, nature and resistance in Amitav Ghosh’s Sundarbans trilogy through ecofeminist approach. In the trilogy, Ghosh presents the patriarchal and capitalist forces that commodify both women and nature, illustrating how environmental crises affect marginalised communities, especially women. In The Hungry Tide (2004), the Morichjhapi massacre exposes the violence embedded in state-led conservation policies, where ecological preservation becomes a tool of oppression, dispossessing vulnerable populations like Kusum and other settlers. Gun Island (2019) extends this critique, linking climate change, forced migration, and gendered precarity to global capitalist structures. Jungle Nama (2021) explains the myth of Bon Bibi, which challenges patriarchal narratives and reasserts nature’s agency. Through these texts, Ghosh tries to dismantle the binaries of nature/culture, women/men, and body/mind. He also advocates for an alternative ecological consciousness rooted coexistence. By weaving myth, history, and environmental critique, Ghosh foregrounds an urgent call for gendered ecological justice. His narratives disrupt anthropocentric and androcentric paradigms, envisioning a world where human survival is inextricable from ethical engagement with both nature and marginalised voices. This paper explores relationship of women and nature under patriarchy and capitalism along with their condition in myths and ‘utopia’.

목차
Abstract
우리말 요약
Introduction
Research Methods
Theoretical Frameworks: Ecofeminism
Discussion
    i. Power, Greed and the Tides of Oppression in The Hungry Tide
    ii. Climate, Capital, and the Cost to women in Gun Island
    iii. Mythic Resistance and Ethics of Care in Jungle Nama
Women, Nature and Utopia
Conclusion
Works cited
Manuscript peer-review process:
저자
  • Sushant Kumar Suman(Research Scholar in Lalit Narayan Mithila University, Darbhanga, India) | 수샨트 쿠마르 수만 (인도 다르방가의 라릿 나라얀 미틸라 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
  • Sanket Kumar Jha(Assistant. Professor in Lalit Narayan Mithila University, Darbhanga, India) | 상케트 쿠마르 자 (인도 다르방가의 라릿 나라얀 미틸라 대학교의 영어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