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aning of Tiger Painting in Folk Painting
호랑이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 살아온 생물이다. 우리 나라 미술에서 호랑이 도상은 선사시대 암각화에서부터 등장할 정도로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호랑이 도상이 다 양한 미술작품에 활용되고 있어 호랑이 도상에 대해 연구할 가 치가 충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호랑이 도상 중에서도 조선 후기 성행한 민화에 나타난 호랑이 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 후기 호랑이는 민화에서 인기 있는 화제(畫題)였다. 호랑이 그림은 대부 분 한 장짜리 그림으로 그려져 대문 등 집 안에 붙여놓는 방식으 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호랑이가 지닌 벽사의 의미 때문이다. 이처 럼 호랑이 도상은 단순한 감상용으로 그려졌다기보다는 분명한 목 적과 의미를 가지고 그려진 것이었다. 그래서 현대에 와서도 호랑 이는 민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며, 빠뜨릴 수 없는 중요 한 화제(畫題)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우선 한국 미술 속 호랑이 도상의 변화 과정을 선사시대, 삼 국시대, 고려시대, 조선 전기, 그리고 조선 후기로 나누어 살펴 보고자 한다. 이어서 조선 후기 민화 중에서도 특히 호랑이 도 상이 많이 등장하는 <벽사도>, <신선도>, <화조도>, <문자 도>, <인물도>를 살펴보고, 민화 속 호랑이 도상과 상징을 연 구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호랑이 도상의 변화를 불러온 역 사적,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도 함께 살펴본다. 호랑이는 우리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곳에서 우리 민족을 대 변해 주는 존재로 존재했으며, 우리 민족의 멋과 기상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동물임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본 고를 통해 한 국 형대 민화 속 호랑이 도상의 의미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igers are creatures that have lived with our people for a long time. Tiger iconography in Korean art has a long history, appearing from prehistoric petroglyphs, and it is worth studying tiger iconography because it is still used in various works of art. Among the various tiger painting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iger paintings that appeared in folk paintings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ig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a popular topic (畫題) in folk paintings. Most of the paintings of tigers were drawn as one-page paintings and used to attach them in houses, such as gates, because of the meaning of the tiger's Byeoksa Temple. As such, the tiger's iconography was not drawn simply for appreciation but with a clear purpose and meaning. Therefore, even in modern times, tigers appear in various forms in folk paintings, and they appear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artist's intention as an indispensable topic (畫題).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iger iconography in Korean art by dividing it into prehistoric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Goryeo Dynasty,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late Joseon Dynasty. Next, among the folk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 would like to look at "Byeoksado", "Shinsando", "Hwajodo", "Hwajodo", "Hwajodo", and "Inja Island", where many tiger paintings appear, and study tiger paintings and symbols in folk paintings. In this process, we also look at the historical,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that brought about the change in tiger paintings. Tigers have existed almost everywhere in our daily lives, representing our people, and they are animals that best represent the beauty and spirit of our people. From the image of the tiger identified in this pap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iger is Korean and is the animal that best represents the beauty and spirit of our people. Even in modern folk paintings, tigers are an indispensable and important topic (畫題) and appear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artist's intention. The appearance of tiger figures in modern folk paintings in various topics can be said to be a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spirit of our people, who have given various meanings to tigers in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s.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iger figures in traditional folk painting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grasping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tiger figures in modern folk painting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