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 살아온 생물이다. 우리 나라 미술에서 호랑이 도상은 선사시대 암각화에서부터 등장할 정도로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호랑이 도상이 다 양한 미술작품에 활용되고 있어 호랑이 도상에 대해 연구할 가 치가 충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호랑이 도상 중에서도 조선 후기 성행한 민화에 나타난 호랑이 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 후기 호랑이는 민화에서 인기 있는 화제(畫題)였다. 호랑이 그림은 대부 분 한 장짜리 그림으로 그려져 대문 등 집 안에 붙여놓는 방식으 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호랑이가 지닌 벽사의 의미 때문이다. 이처 럼 호랑이 도상은 단순한 감상용으로 그려졌다기보다는 분명한 목 적과 의미를 가지고 그려진 것이었다. 그래서 현대에 와서도 호랑 이는 민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며, 빠뜨릴 수 없는 중요 한 화제(畫題)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우선 한국 미술 속 호랑이 도상의 변화 과정을 선사시대, 삼 국시대, 고려시대, 조선 전기, 그리고 조선 후기로 나누어 살펴 보고자 한다. 이어서 조선 후기 민화 중에서도 특히 호랑이 도 상이 많이 등장하는 <벽사도>, <신선도>, <화조도>, <문자 도>, <인물도>를 살펴보고, 민화 속 호랑이 도상과 상징을 연 구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호랑이 도상의 변화를 불러온 역 사적,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도 함께 살펴본다. 호랑이는 우리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곳에서 우리 민족을 대 변해 주는 존재로 존재했으며, 우리 민족의 멋과 기상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동물임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본 고를 통해 한 국 형대 민화 속 호랑이 도상의 의미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길앞잡이(Cicindela chinensis)의 장에서 다양한 공생 미생물들을 분리하였다. 그중 다양한 곰팡이 성장 을 억제하는 세균을 동정하였고 “Ch-1”이라 명명하였다. 우리는 Ch-1 균주를 사용하여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 이와 2종 곤충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8종의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동시 에, 본 균주의 genomic sequence를 수행하였고 유전적, 생화학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Ch-1균주는 특허등 록과 친환경 미생물제제로 등록하였고 향후 생물학적 방제제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Epididymal sperm cryopreservation provides a potential method for preserving genetic material from males of endangered species. This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reezing method for tiger epididymal sperm. We evaluated post-thaw sperm condition using testes with intact epididymides obtained from a Siberian tiger (Panthera tigris altaica ) after castration. The epididymis was chopped in Tyrode's albumin-lactate-pyruvate 1x and incubated at 5% CO2, 95% air for 10 min. The Percoll separation density gradient method was used for selective recovery of motile spermatozoa after sperm collection using a cell strainer. The spermatozoa were diluted with modified Norwegian extender supplemented with 20 mM trehalose (extender 1) and subsequent extender 2 (extender 1 with 10% glycerol) and frozen using LN2 vapor. After thawing at 37℃ for 25 s, Isolate® solution was used for more effective recovery of live sperm. Sperm motility (computerized assisted sperm analysis, CASA), viability (SYBR-14 and Propidium Iodide) and acrosome integrity (Pisum sativum agglutinin with FITC) were evaluated. The motility of tiger epididymal spermatozoa was 40.1 ± 2.0%, and progressively motile sperm comprised 32.7 ± 2.3%. Viability was 56.3 ± 1.6% and acrosome integrity was 62.3 ± 4.4%. Cryopreservation of tiger epididymal sperm using a modified Norwegian extender and density gradient method could be effective to obtain functional spermatozoa for future assisted reproductive practices in endangered species.
A 19-year-old male Siberian tiger was presented with inappetence and paralysis of hind limbs. In a computed tomography (CT) scan, intervertebral disk disease at L3–L4 was detected. Cardiac arrest occurred during the surgery. At autopsy, myxomatous mitral valve degeneration (MMVD) and eccentric hypertrophy of the left heart were noted. The diagnosis was congestive heart failure caused by MMVD. Microscopically, myocardial and pulmonary fibrosis were observed in addition to the disintegration of the fibrosa layer and accumulation of glycosaminoglycans and proteoglycans in the spongiosa layer of the mitral valve. This is the first case of congestive heart failure with MMVD in a Siberian ti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