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fashion houses have recently incorporated traditional Korean motifs within their inspiration. This trend is an opportunity to showcase the color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by investing in the new design content. Products specifically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re lacking in brand awareness despite the success of Korean content.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s cultural products based on Korean folk painting that captures Korean people’s satirical sense of humor. Korean folk painting theories are analyzed, from which different types of folk paintings are classified based on research of bibliographies and online documents. Following classification, the results are dataized as different types of folk paintings and their meanings. Furthermore, images of folk paintings are categorized and scanned digitally. The digitized images of the folk paintings are processed through Adobe Photoshop CS for overall layout and Adobe Illustrator CS for detailed designs. Traditional categories of Korean folk paintings are used, including flowers and birds, letters, and study stationery. Using the main elements of the flower and birds category, designs with cultural products such as images of flowers, birds, animals, and fish are produced. The final designs are used to create fashion items that can easily be used for embellishment or self-presentation: a scarf and a necktie. The scarf and the necktie are not only merchandise; they also symbolize the story, humor, and hope that Korean folk paintings once symbolized.
전통 민화는 근, 현대 미술계에서 회화작품으로 인정받지 못 하고 공예미술의 일부로 인식되었다. 대부분의 작품에 서명이 없고 정형화된 밑그림을 바탕으로 그렸기 때문이다. 내용은 주 로 민중의 염원을 담아 필요한 곳에 걸어두는 양식이었기에 더 욱 그러했다. 이러한 이유로 전통 민화는 1970년대 후반 현대 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던 미술계에서 존재감이 미약하였다. 1980년대 한국 사회는 역사 인식의 새로운 성찰을 통한 민족 적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권위주의에 대한 국민의 저항을 시 작으로 봉건사회의 해체가 시대정신으로 자리 잡으면서 미술계 에서도 전통적 규범에 얽매이지 않은 현대적인 화풍(畫風)을 수립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미술계 일부에서 한 국의 정신성과 조형성이 담겨있는 전통문화를 연구하기 시작했 고 이 중 일부의 한국화 화가들은 전통 민화에 담긴 예술성을 발견하고 시대감각과 결합한 새로운 화풍을 개척하였다. 이 시기 전통 민화를 연구해서 작품을 제작한 대표적인 화가 로 박생광을 들 수 있다. 1970년대 후반 한국 미술계가 서양 미술에 경도되어 그들의 철학과 화풍을 추종할 때 박생광은 일 찍이 한국의 전통문화에 주목했다. 특히 시대감각이 뒤처졌다 고 터부시되던 전통 민화를 받아들여 현대적으로 변용한 독창 적인 화풍을 선보이며 한국 미술계에 큰 파란을 일으켰다. 박생광의 새로운 시도는 근대화 초기 유입된 일본 화풍과 서 양화풍으로 인해 흔들리던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정립시킬 수 있는 큰 역할을 하였다. 전통 민화를 차용하여 한국적인 화풍 을 제시한 박생광의 업적을 통해 로컬미술의 국제적 흐름 속에 한국미술이 세계에 진출할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민간회화로서 민화의 가치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민화에 관한 연구는 무명(無名)의 작가에 의해 제작된 ‘생활화’라는 이유로 미술사 안에서 연구가 부진했었다. 이러한 연유로 연구자마다 민화의 개념과 특성을 조금씩 다르게 설정하기도 한다. 이 같은 여건에서 본 논문에서는 민화의 주요한 특성을 민간회화로서 민화만이 갖는 가치가 있다고 보고 이를 주제로 설정한 후, 통속세계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민화가 유행할 시기에 중국에서는 민간 연화가 성행하였으며, 다른 동아시아에서도 민간회화가 부흥한 측면이 있다. 여기서는 우리 민화와 가장 연관성이 짙은 중국의 민간연화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민화가 지닌 민간회화로서의 미적 특수성을 찾고자 한다.
민간연화는 우리의 문배(門排)에 해당하는 문신(門神)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그림의 도상이나 내용적 측면에서 여러 비슷한 점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생산자와 향유자가 같은 층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민간의 사상이나 감성이 집약되어 있는 예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것은 문화를 독점했던 계층이 다 수의 대중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려준 것이며, 통속적인 그림의 예술성을 인 정한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화가 최초의 대중예술로 서 가치가 있으며, 이것은 민화의 본질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한 병적인 해석이 마음의 내면으로부터 만들어낸다는 말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면서 예술치료에 대한 개념이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다. 예술심리치료는 전문가의 예술작품보다 치료 개념에서 사용되어질 때, 작품성보다는 창작과정을 통해 그려지는 과정에서 내면세계를 탐구하는 심리치료의 가능성을 보고자한다.
때문에 예술을 매개체로 사람의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여 치료하려는 예술치료사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선행논문들을 살펴보면 김인수(2013)는 무속원형적 관점에서 본 민화의 시각성 연구, 한유진 (2014)은 민화의 주술적 기원과 상징연구를 호랑이를 중심으로 하였다. 신미경(2014)은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민화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치료적 가치탐색 연구 등에서 다양한 활용매체도구로 이용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임상 현장에서 예술매체의 활용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재미와 흥미를 유발해 감정표출이 더 자유로워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고는 우리의 전통적 맥락을 함께하고, 민족 신앙적 요소가 많은 무속의 원형에서 민화의 심리치료적 요소들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민화에서 심리치료적요소를 찾아 그 의미와 가능성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 전통사상 속에 내재한 무속과 민화에 나타나는 원형들의 연관성과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심리치료의 매개요소를 다루어 보았다.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Braille Painting·Munja(Character) Paint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ulturally underprivileged people for the first half of 2013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provide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process how the visually challenged people experience and apprehend traditional art through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on Hyoje Munjado(character painting),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 The <Braille Painting·Munja(Character) Painting> program helped the attendees with visual disability to learn about the folk painting, Hyoje Munjado, exhibited in the museum, and re-interpret and visualize the meaning of eight characters of Hyo Je Choong Shin Ye Ui Yeom Chi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ty, sincerity, etiquette, fidelity, integrity, and shame) based on one’s unique experience, and create an art work of their own. This program was distinct as it allowed those with visual disability to learn about the ethics and culture of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ontents of Hyoje Munjado, while at the same time helped them experience the process of art creation by making an art work of one’s own. Hyoje Munjado is a special type of painting in which eight Chinese characters of Hyo Je Choong Shin Ye Ui Yeom Chi, the key ethical virtues of the Chosun society, were written and old sayings and figures are symbolized and drawn into the strokes in the eight Chinese characters. The ethical virtues expressed in the painting are still considered socially important and the program attendee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yoje Munjado reflected in their life and create their own munjado based on such contextual understanding. The program demonstrates how suitable a contextual understanding from constructivism perspective is i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of museums for the museum visito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visually challenged. Furthermore, the program clearly indicates the effects of a constructivism education that creates a new meaning through a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in the education for the visually challenged. Although the program started out of an exploration into how to enable those with visual disability experience art, it also appears to be effective in allowing people with rare access to art and history of art experience art in their daily life experience.
The current study aims to link Korean tradition to modern culture; to re-produce patterns of lotus depicted in Minwha, The study also aims to discover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and to modernize it. The current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earches(including research papers) and the Internet searches. Through these searches, it investigates the concept of Minhwa, the origin of lotus depiction and its symbolic meanings, the traits of such pattern. Based upon this investigation, the study attempts to modernize the patterns of lotus and apply the modernized patterns to designing shirts. The process which employs the lotus patterns illustrated in Minhwa to shirt design includes four sub-processes: selecting, allocating, coloring, and selecting production techniques. The subprocess of selecting patterns is two folded: the first stage covers carbon-copy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lotus, lotus leaf, lotus bud, lotus pip, and lotus stem; the second stage is making these features suitable to shirt sizes. For the process of coloring those shirts, Piccaso’s work(Pablo Picasso, 1881~1973) has been selected and the colors in his work have been adopted to dye the rest of the shirts as well as the lotus features. The process of selecting production techniques includes ornament tail in order to modernize the patterns allocated in the shirts. Once these processes are completed, the shirts are made on a scale of real-life size. These processes of creating shirt design by modernizing traditional patterns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researchers expanding the domain of shir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