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움여가로서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Media Utilization as Scholē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4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배움여가로서 미디어 활용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현대인들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된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여가의 문화적 ·교육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와 관련된 올바른 방 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미디어는 경제적·시간적·신체적 제약을 넘어 여가 참여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고령자·장애인·청소년 등 사회적 취약집단에게 포용적 여가 경험을 제공하는 매개체로 작용하였다. 둘째, 미디어 활용은 단순 한 오락이나 시간 소비를 넘어 각자력, 자활력, 치유력과 같은 배움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으로 기능하였 다. 이는 개인이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능동적 참여와 성취를 경험하며, 정서적 교류와 성찰을 통해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 이 제언한다. 첫째, 정책적 차원에서 미디어 활용을 배움여가로 인식하는 사회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육적 차원에서 미래교육 현장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media utilization as scholê. Literature and statistical analyses produced two major findings. First, media reduce barriers to leisure participation by overcoming economic, temporal, and physical constraints. Second, media use extends beyond entertainment or time consumption. It serves as a process that strengthens personal capabilities, self-excellence, and resilience. Through media, individuals can reconstruct life’s meaning, significant, experience active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and engage in reflection and emotional exchange that contribute to happi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raws two conclusions. At the policy level,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ocial foundation that recognizes media as scholê. At the educational level, future education should strengthen media literacy so that individuals become active participants and contributors to collective intelligence.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1. 미디어의 변화와 이용자 역할 논의
    2. 배움여가의 일상성에 관한 논의
Ⅲ. 미디어의 일상성과 배움여가
Ⅳ. 미디어 활용과 배움역량 강화
Ⅴ. 배움여가로서의 미디어를 위한 미래교육적 제언
참고문헌
A Study on Media Utilization as Scholē
저자
  • 백혜진(연세대학교 시간강사) | Paek Hei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