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이청준의 자전적 소설 『축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장례라는 통과의례 속에서 발생하는 무형식학습의 양상을 조명하고, 이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유네스 코가 제시한 학습의 네 기둥(알기 위한 학습, 행하기 위한 학습, 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이론적 틀로 삼아, 소설 속 가족과 공동체의 감정, 기억, 침묵, 실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는 고인의 장례를 중심으로 가족 간의 감정 회복과 공동체의 재구성,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게 하는 무형식학습의 장으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은 단 순한 의례 수행을 넘어, 감정의 교류, 돌봄의 실천, 존재의 재사유 등 실존적 배움으로 확장되며, 평생교육 이 삶의 전환기와 일상 속 배움까지 포괄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장례라는 일상적이고 문화적인 사건이 어떻게 학습의 장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문학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평생교육적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informal learning that occur within the rite of passage of a funeral, as depicted in Lee,Cheongjun’s autobiographical novel The Festival, and to examine its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Using UNESCO’s “Four Pillars of Learning” framework(Learning to know, Learning to do, Learning to live together, and Learning to be) the study interprets the emotional expressions, communal interactions, silences, and recollections that unfold among family and community members in the narrativ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estival functions as a narrative space for informal learning, where the process of mourning a deceased loved one leads to emotional healing, conflict resolution, communal solidarity, and existential reflection. These learning processes occur beyond formal education systems, rooted in the lived experiences of grief, care, and shared rituals, and exemplify how lifelong education must encompass transitions in life and learning embedded in daily experiences. By exploring how the funeral setting in the novel becomes a site for affective, relational, and existential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literature as a reflective and practical resource for lifelong learning. It also suggests a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 that centers on learning for being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