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에 사용하는 십이지장경은 겸자 올림장치와 복잡한 내부 채널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위장관 내시경과 구조적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의 체액이나 유기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아 감염 전파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인 내시경 소독 지침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십이지장경 재처리에 특화된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없어 감염 관리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췌장담도학회 자격질관리위원회 산하 ERCP/EUS 연구회에서는 십이지장경에 특화된 전세척, 세척, 소독, 헹굼, 건조 및 보관에 대한 세부적인 재처리 지침을 개발하였다. 본 지침은 임상 진료 현장에서 십이지장경 재처리 절차를 표준화함으로써 감염 전파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자 안전을 향상시키며, 지속적인 질 관리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Duodenoscopes, which are used fo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structurally differ from gastrointestinal endoscopes due to their elevator mechanisms and complex internal channels. These features increase the risk of contamination with patient fluids and organic debris, posing significant infection risks. Despite multiple revisions of general endoscopic disinfection guidelines, specific guidelines tailored for duodenoscope reprocessing do not exist in our society and leaving gaps in infection control. Thus, the ERCP/endoscopic ultrasound (EUS) Research Group under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s Quality Management Committee developed dedicated reprocessing guidelines focusing on pre-cleaning, cleaning, high-level disinfection, rinsing, drying, and storage procedures specifically for duodenoscopes. Recommendations are graded by strength (“strong” or “weak”) and based on evidence levels (A to D). These practical guidelines aim to enhance patient safety by standardizing duodenoscope reprocessing practices, minimizing infection transmission, and promoting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within clinical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