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배가 준 선물 : 문인예술 경계의 심화 − 우봉 조희룡의 임자도 유배시 그린 묵죽의 심미특성을 중심으로 − KCI 등재

Gifts given by the exile : An in-depth look at the boundaries of Literati’s Arts - Focu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amboo painting in the exile of Imja-do of Woob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35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1.10.1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2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조선 시대의 유배는 주로 정치범에게 적용되었던 형벌이었다. 정치 상황이나 죄인의 신분 혹은 죄의 경중에 따라 유배지도 결정되었다. 특히 조선 중기에 들어 당쟁이 치열해지면서 유배는 대부분 섬으로 가게 되었다. 유배는 현대와 달리 비리에 의한 것보다는 당쟁의 결과였으며 정치적인 속성을 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본 고는 이를 위하여 유배가 주는 우리의 문화유산을 긍정적으로 보는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조선 후기의 우봉 조희룡의 심미경계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그는 여항문인화가로 임자도에서 19개월간의 유배 생활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육체적 정신적 시련과 한계상황을 극복하여 자신의 예술세계를 심화시켰다. 그는 자신의 처소인 만구음관 주변에 자생하는 대숲의 자연을 통하여 묵죽의 문인화에 천착하였다. 이로 인하여 그의 묵죽 문인화는 심미경계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그의 묵죽의 심미경계는 독표성령(獨標性靈)의 심원미학(心源美 學)⋅자출기저(自出機杼)의 심장미학(心匠美學)⋅자성별구(自成別區)의 심득미학(心得美學)에 나아갔다. 심원의 미학은 조희룡의 독자적인 성령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심장미학(心匠美學)은 스스로 우러나와 이루어진 자출기저(自出 機杼)이다. 또한, 심득의 미학은 스스로 자신의 개성을 바탕으로 한 자성별구 (自成別區)였다. 이와 같이 조희룡 묵죽의 심미경계는 심화 경지에 나아가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그의 유배는 역으로 한 예술가에게 자신의 예술에 천착할 수 있는 기회도 주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 문인예술은 유배를 통하여 그 깊이의 세계에 나아갈 수 있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역으로 이러한 측면 에서 살펴보면 유배문화는 우리 문화예술에서 하나의 선물이었다.

The exile in the Joseon Dynasty was a punishment mainly applied to political prisoners. Exile was also decid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the status of the sinner, or the severity of the sin. In particular, most of the exiles went to the islands since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me fierce. Exile was the result of a party dispute rather than corruption by modern times, and it was common to have political attributes. Therefore, exile is our invisible cultural heritage in another aspect. I looked into the artistic aspects and the positive aspects of exile. There is Woobong Cho Hee-ryong as a literary art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is the modernity-oriented trend of the middle-class Literati and painter and overcame physical and mental trials and limitations through 19-month exile in Imja-do and expanded artistic world. In his place, Mangueum-gwan, he expanded his art boundary through the nature of the bamboo forest growing around him. The aesthetic boundary of his bamboo painting can be considered as aesthetics based on the mind(心源美學), aesthetics of sincerity made with the heart(心匠 美學) and aesthetics gained by heart(心得美學). Therefore, bamboo painting of Cho Hee-ryong has the holy spirit that manifests itself(獨標性靈), spreading out by oneself(自出機杼), and creating a distinct area by oneself(自成別區). The mind-based aesthetics(心源美學) is based on Hee-Ryong Cho's theory of spirit. The aesthetics of sincerity made with the heart(心匠美學) is a self-supporting foundation made by himself. In addition, the aesthetics gained by heart(心得美學) was creating a distinct area by himself(自成別區), based on his own personality. Like Cho Hee-ryong's aesthetic boundary of bamboo painting, exile gave an artist a chance to get into his art. This was the opportunity to deepen the boundaries of our literary arts. In this respect, exile culture was a gift in Korean culture and art.

목차
논문 초록
Ⅰ. 서 론
Ⅱ. 유배의 속성과 임자도 유배
Ⅲ. 임자도 유배와 시련의 승화
Ⅳ. 조희룡 묵죽의 특질과 심미경계
Ⅴ. 결 론
<참고자료>
Abstract
저자
  • 권윤희(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대학) | Kwon yun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