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태 신학 관점에서 본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노아> KCI 등재

An Eco-theology Reading of Darren Aronofsky’s Noa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노아>는 생태 신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유전적 죄의 확산과 피조물의 파괴에 관한 성찰을 촉구하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대홍수라는 물의 서사를 기본으로 신의 피조물 장조, 인간의 죄와 자연의 파괴, 새로운 세상의 복원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다. 인간 물질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인간사회와 자연도 황폐해지고 있는 21세기의 상황에서 모든 피조물에 대한 창조주의 사랑과 생명 사상의 회복이 미래의 인간사회에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 노아는 죄의 확장성과 자연의 파괴를 목격하며 인간이 모든 원인의 책임이 있다고 믿으며, 홍수 이후의 세상에서 인류의 멸종을 기획하는 고갈의 신학에 직면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창조주의 뜻을 오인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피조물에 대한 창조주의 사랑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달으며, 새로운 인류의 세상을 위해 후손을 축복함으로써 소생의 신학을 위한 장을 연다. 그가 마지막에 목격하는 하늘의 무지갯빛은 창조주의 피조물에 대한 사랑을 나타내며, 인간에게 불의 상상력을 제공한다.

Darren Aronofsky’s Noah is worthy for people to reflect on the eco-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movie as it portrays not only the proliferation of human hereditary sin but also the destruction of all creatures. The movie reinterprets the meaning of creation, original sin and a new world after the Noachian deluge based on the narrative of water. Noah’s recognition of sins and destruction of creatures in the world triggers some issues of the theology of exhaustion. As a result, Noah believes that the perishment of mankind after the Deluge is what the Creator wants him to do. However, he realizes the essence of God’s love and the importance of all life. His blessing of the newly born twins signifies the theology of replenishment. Noah’s witness of the light of rainbow in the sky echoes the rainbow (Revelation 10:1), the imagination of fire, and represents hope for humankind.

목차
Abstract
I. 서론: 물의 서사
II. 고갈의 신학
III. 소생의 신학
IV. 결론: 불의 상상력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한금윤(General Education at Sahmyook University) | Han Keum-youn
  • 김용성(English at Sahmyook University) | Kim Yong-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