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101.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마리의 24개 지역집단으로부터 PCR을 통한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PCR을 통해 증폭된 RAPD절편들은 200-1, 9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총 16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184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rkers를 확인하였다. RAPD 분석결과를 기초로 UPGMA 방법에 의한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고마리 개체군은 교란형 하천(도시하천, 농촌하천)과 자연적 수환경으로 유집되었고, 교란형 하천 보다 자연적 수환경의 고마리 개체군끼리 유전적 유연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적 수환경과 교란형 하천에 생육하는 고마리 개체군간에 뚜렷한 유전적 한계를 나타내어 이들 사이의 유전적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02.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과식물 2속 2종에 대한 30개 지역별 개체군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bp에서 2,0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총 16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156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2종의 종내 개체군 군집에 대한 UPGMA phenogram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 유집형태에 근거하여 재배지 개체군과 자연집단 개체군과의 구분이 가능하였고 또한 지역별 개체군들끼리 유집되는 결과를 보였다. 2종 모두에서 지역별 개체군중 경남의 개체군과 제주도의 개체군이 전남의 개체군에 비해 유연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삼백초과 식물의 개체군별 유연관계를 분석하거나 재배집단과 자연집단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실험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103.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03년 4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95과 279속 392종 53변종 5품종등 총 450분류군으로 관찰되었다. 본 지역에서 조사된 451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372종류의 자원식물이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91종류(51.0%), 초지자원(P)은 181종류(48%), 약용자원(M)은 153종류(41.0%), 관상자원(O)은 54종류(14.0%), 목재자원(T)은 18종류(5.3%)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0과 13속 13분류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총 450분류군 중 약 2.9%이며, 특정식물 중 III IV V등급 식물은 6과 6속 6분류군로 소산식물 450분류군의 약 1.3%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11과, 22속, 2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25종류의 11.1%이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