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

        121.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 pheromone을 이용한 이화명나방의 교미교란효과를 구명하고저 합성 성 pheromone, (Z)-11-hexadecenal과 (Z)-13-octadecenal을 4,5 : 1로 공시하여 본 시험을 야외에서 수행한 결과 1화기에는 30a당 합성성 pheromone 29.3g 처리한 구에서 의 교미교란효과가 인정되었고 2화기에는 당 합성 성 pheromone 33mg 처리까지도 교란효과가 있었다.
        4,000원
        122.
        201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ontaneous resolution of aortic dissection is extremely rare and only a few cases have reported. We report on the case of an elderly man who presented with DeBakey type III aortic dissection, which was resolved spontaneously over two years after antihypertensive treatment. We also discuss the possible mechanism and the role of conservative management.
        123.
        2013.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ikuchi-Fujimoto disease (KFD) is a hist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of cervical lymph node, which is usually combined with tenderness and fever presents mainly in women in their thirties. KFD has been rarely associated with SLE and the microscopic features of KFD can be similar to SLE. We described the case of a young man, originally diagnosed as having KFD by lymph node histology, who subsequently developed SLE with a skin rash, oral ulcer, hematologic and immunologic disorder and high titer of ANA. We recommend study of sexual and age-specific differences in clinical progress of KFD, and a long-term follow-up evaluation is also needed.
        124.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멀리뛰기 기록에 관여하는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학년별로 비교 분석하여 체육교사의 멀리뛰기 실기 지도 능력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각 학년별 신장과 체중, 실기능력이 평균치에 근접한 중1, 중3 남녀 각 5명과 고2 남녀 각 4명씩 총 28명을 대상으로 3차원 영상분석 장비와 지면반력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학년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남학생들은 기록의 향상을 위해 구름발 이지 시 도약속도를 높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수평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저학년을 지도할 때는 발구름 도약 시 발뒤꿈치로 착지하여 앞꿈치로 이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근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학생들은 기록의 향상을 위해 수평속도 증가를 통한 구름발 이지 시 도약속도를 높이고, 발구름 소요시간을 짧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학년을 지도할 때는 발구름 시 뒤꿈치로 착지하여 앞꿈치로 도약할 수 있도록 마지막 보폭을 다소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근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126.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에 큰느타리버섯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버섯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pH를 측정 한 결과 대조구보다 버섯첨가구의 pH가 전반적으로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는 pH와 반대로 버섯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적정산도가 높았다. 큰느타리버섯 첨가에 따른 김치의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숙성 18일경에 모두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였다. 특히 버섯 처리구는 총균수 및 유산균수 모두에서 미생물 억제현상이 관찰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