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ven 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 tidal current in the East China Sea rotates clockwise, few report can be found about the precise pattern of it. To furnish some information available for the stow net fishermen, the author carried out the observation over 235 semidiurnal tidal cycle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he set and the rate of tidal current in the Korean fishing section 250 and 494, by reading the current meter and by tracing the corner reflectors with radar onboard the anchored obsen'ation vessel, from May 12, 1984 through February 27, 198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ean semidiurnal tidal cycle was 12 h 20 m during spring tide, and 12 h 30 m during neap tide. 2. The mean interval from the calculated time of high water until the current began to set north was 2 h 30 m and 2 h 15 m in the fishing section 250 and 494 respectively, and the mean interval from the time of low water current began to set south was about 2 h 0 m in both sections. 3. In comparison of the occupied times to vary the set from one of 8 principal bearing points to the neighboring one, the shortest was while the set varied from N to NE and S to SW in the section 250 and 494 respectively. Contrary the longest was while the set varied from SE to S and from W to NW in the section 250 and 494 respectively. 4. In comparison of the rate while the set varied from one of 8 principal bearing points to the neighboring one, the fastest was while the set varied from SE to Sand NW to N in the section 250, and E to SE and W to NW in the section 494. Contrary the slowest was while the current set to NE and S W in the section 250, and N, NE and S W in the section 494.
        4,000원
        22.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토로올어선들이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어장에 출어하여, 1975년 5월부터 1976년 4월까지, 이 해역의 중심어장으로 알려진 22˚00'~25˚30'N의 연안에서, 연 16,725척이 252,609회 예망하여, 살오징어 3,754,786kg, 대형갑오징어(체중 300g 이상) 7,540,532kg 소형갑오징어(체중 300g 미만) 9,539,570kg, 문어 11,130,462kg, 서대 2,010,540kg, 돔류 2,360,970kg, 기타 어종 15,951,250kg을 어획하였다. 이들이 어획된 해역을 경위도 30분간의 소해구로 분할하고, 이 소해구별 월평균 예망당 어획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어종별 어획량 분포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종별 예망당 어획량을 비교하면, 살오징어 14.9kg,, 소형갑오징어 대형갑오징어 37.8kg, 문어 44.1kg, 서대 8kg, 돔류 9.3kg 기타어종 63.1kg의 비율로 혼획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살오징어는 23˚00'N 이남과 24˚3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8~11월이었다. 3) 갑오징어는 대형은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12~5월이었으며, 소형은 23˚3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4~6월과 11~1월이었다. 4) 문어는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3~4월과 9~1월이었다. 5) 서대는 23˚0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6~11월이었다. 6) 돔류는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1월이었다. 7) 기타어종은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0월이었다
        4,200원
        23.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트로올선 No.85 Ptaro가 1975년 9월부터 1976년 8월까지 대서양 아프리카 연안 어장에서 조업한 어획상황을 분석한 결과 예망당 어획량의 일주기변동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오징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54:17로 획간에 많았다. 2. 갑오징어는 개체중량 300g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다소 많고 일몰후에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비는 45:28로서 획간에 많고, 개체중량 300g 미만의 소형어는 주야간의 어획량비가 40 : 32로서 큰 차이가 없다. 3. 문어는 개체중량 700g 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적으며, 오전보다 오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43 : 31로서 획간이 많으나, 개체중량 700g 미만의 소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32 : 44로서 야간에 많았다. 4. 서대류는 일출후에 현저하게 적고 일몰후에 월등하게 많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16 : 41로서 획간에 많았다. 5. 돔류, 기타 A, B 잡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돔류 51 : 19, A 잡어류 50 : 19, B잡어류 42 : 25로서 획간에 많았다.
        4,000원
        24.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deals the fishing condition of the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Atlantic coast of Africa. The datas are gathered from the Korean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area from June, 1975 to May, 1976.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catch per haul are calculated as, cuttle fish 14.5kg, large size squid(more than :lOOg of body weight) 28.2kg, small size squid(less than 300g) 36.4kg, octopus 47.0kg. 2. Small size cuttle fish(less than5OOg of body weight) are caught much during after spring tide in July to September, yet, large size ClIttle fish(more than 500g) are caught much during neap tide in October to January. 3. Small size squid(less than 300g of body weight) are cBught much during after spring tide in October to December, yet, large size squid(more than 3OOg) are caught much during before spring tide in October to March. 4. Octopus are caught during neap tide in July to August.
        4,000원
        25.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서양(大西洋) Africa 연안어장(沿岸漁場)에서 조업중(操業中)인 태창수산(太倉水産) 소속(所屬) Stern trawl 선(船) No. 85 PARTO(499S)에서 사용(使用)하고 있는 PT-4 형(型) 어구(漁具)의 조정한계(調整限界) 및 적정(適正)한 예망속도(曳網速度)와 주기(主機)의 운전상태(運轉狀態)를 판단(判斷)하기 위(爲)하여 warp에 작용(作用)하는 장력(張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어구조정(漁具調整)의 한계(限界)는 warp에 작용(作用)하는 장력(張力)의 크기가 약(約) 7,500kg, 강약(强弱)의 범위(範圍)가 약(約) 1,000kg을 초과(超過)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判斷)했다. 2. 예망속도(曳網速度)는 주기(主機)의 효과적인 운전상태(運轉狀態)와 어획성능(漁獲性能)을 고려(考慮)하여 3.6~4.0 knot로 판단(判斷)했다. 3. 주기(主機)의 운전상태(運轉狀態)는 유량소모(油量消耗)가 급증(急增)하는 r. p. m. 290, propeller pitch 각도(角度) 13.8를 초과(超過)하지 아니하고 13.5˚~13.8˚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判斷)했다.
        4,000원
        26.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curacy for determining fishing ground and for setting fishing gear location, and the repeatability of ship position vary depending on fishing methods. Especially, Loran-C has been served to give fisherman highly accurate ship's position, and a number of fishing vessel are equipped with it's receivers.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Loran-C fix of Korean chain in Korean southeast coast, the authors examined and analyzed the data of the receiver of Loran-C(LC 90, Furuno) and GPS(AccNav SportTM, Eagle) measured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for 2 seconds at interval of 5minutes during 2hours from 11th to 21st, July, 1996 at six observed points, that is, Pusan, Wolnae, Pangojin, Chongja, Kampo and Kuryongpo in Korean southeast coast. As the result obtained, Loran-C signals showed little fluctuation with good reprodutibility. Good stability of Loran-C signals was indicated by the small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0.064~0.094μ s. Although determination of the observed position could not be completely accurate, the extent of the error was estimated smaller than 0.35 nautical mil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