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물군집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4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28~52년 된 식생으로 TWINSPAN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결과 먼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때죽나무군집 등 총 7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상대우점치와 흉직경급별분포 분석결과 동백동산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었다. 먼나무군집과 종가시나무-때쭉나무군집은 교목층이 훼손된 식생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종인 6개 군집은 0.8745~1.3018이었으며, 먼나무군집이 0.7619로 가장 낮았다. 7개의 군집 모두에서 제주도 상록활엽수림의 전형적인 아교목 및 관목성상 수종인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먼나무, 마삭줄, 백량금 등이 출현하였다. 또한 조사구내 난대기후대의 극상수종으로 추정되는 육박나무, 생달나무 및 참식나무가 출현하였으며 생달나무의 상재도는 80%이상이었다.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혼생하는 식생으로 그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며, 천이방향은 상록활엽수림의 극상수종으로 보고되고 있는 육박나무, 참식나무 등의 세력 이 약하며 하층에 동백나무의 세력이 강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였다.
본 실험은 고품질의 콩나물 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식물생장조절제를 이용한 세근발생 억제 및 하배축비대촉진을 위한 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식물생장조절제 중 GA3나 NAA 처리는 세근발생 억제효과가 미약하였다. 반면 BAP처이믐 세근발생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고 하배축의 비대를 촉진하였는데, 저농도인 10mg·L-1 및 15mg·L-1 처리에서도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BAP의 처리시간은 짧을수록 하배축 비대가 촉진되었고 하배축 비대를 촉진하는 처리시간은 6시간 처리였다. BAP 처리 후 24시간 간격으로 관수는 세근 발생율이 낮았고 하배축 비대는 촉진되었다. 인돌비는 적정농도로 알려져 있는 4.2%보다 낮은 농도인 1.1%용액을 처리하더라도 세근 발생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발아율이 저조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와 Tall fescue종자를 식물생장조절제인 GA3와 BAP를 처리하여 발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였다. Kentucky bluegrass 초종에서는 GA3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BAP 단독 또는 및 GA3와 BAP혼용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으며, 처리기간은 6일 처리가 3일 처리보다 좋았다. 따라서 최적 처리조건은 GA3 1000μM농도로 6일간 처리였으며, 무처리보다 발아율을 10~38% 향상시킬 수 있었다. Tall fescue 종자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면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이나 현저한 수준은 아니었다. 최적 생장조절제 처리조건은 GA3 1000μM용액으로 3일간 처리였는데, 무처리 종자에서 비해 발아율을 10%증진시켰다. GA3 처리된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8~9% 향상되었고, 묘출현속도는 1.2일 빨랐다. 또한 건물 중, 초장 및 뿌리생장 등 초기생육이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Fukuoka 지진 시 국내 및 일본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반운동 감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 및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거리감쇄식을 이용한 예측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국내 강지진동 예측 시 일본에서 개발된 감쇄식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동일 거리에 위치한 국내 및 일본 관측소에서 측정한 기록이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국내 및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거리감쇄식의 예측값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 국내에서의 강지진동 예측 시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감쇄식을 200km 이상의 비교적 원거리에 대한 국내 감쇄식의 평가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 구조물 및 주요기기의 지진 안전성 평가에서는 내진성능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취약도 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지진취약도 분석은 격납건물의 설계 시 반영된 보수성을 배제한 실질적인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수성을 성능 및 응답에 관련된 확률론적 변수로 고려하여 평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지진 해석으로부터 얻은 구조물의 변위응답을 기초로 한 지진취약도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원전부지에서 선정된 발생가능한 근거리지진, 원거리지진, 설계지진 및 확률론적 시나리오지진을 시나리오지진으로 선정하고 이들 지진동에 대한 비선형 지진해석을 통하여 한국 표준형 원전 격납건물의 지진취약도를 평가하였다.
The deficiency of competent native English speaker raters and the inherent problem with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oral proficiency interview (OPI) has precluded the full-fledged implementation of English performance testing, inevitably ushering in the computer- based oral proficiency interview (COPI) as its viable alternative with the help of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The plausibility and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SR-based COPI has recently been investigated with favorable results, which warrants more sophisticated research focusing on development of desirable test methods that will meet the rigorous criteria required by high-stakes language tests. In this respect, employing varied statistical methods as correlational, regression analyses, and ANOVA,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plor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est method facets and to identify valid test methods to maximi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R-based COPⅠ.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cative language components to be measured, the statistical findings reveal that some test methods prove to be more effective than others in producing COPI test results with better discriminability and reliability. The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also suggest their favorable attitudes toward utilizing the COPI for in-class evaluation. Both findings strongly corroborates potential of the COPI in question as a valid performance testing tool to measure overal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current research is expected not only to shed light on advancement of performance testing, but also to serve the purpose of enhancing communicative English teaching.
구강암의 발생원인 중 하나인 인간유두종바이 러스(HPV)로 불멸화시 킨 구깅 각화세 포(1 HOK) 외 정상 인긴 구강각화세 포 (NHOK) 의 표지자를 비 교 연구하는 것은 정상과 그 전암냉소의 생화학적 및 세 포회 학적 띤호l을 평가히는 적젤힌 모탤이지띤 떤 구된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구강 각화 세 포의 형 질전환을 조절히는 분자적 상태를 연구하기 위 해 익 6000711 의 유전자가 pri nt된 cONA mì croarray를 이용하여 인간 정상 구강각화세 포(NHOK) 와 HPV16으로 불띨회한 각화세 포(J HO K) 간에 유전지 발현을 비교하였다, NHOK외 IHOK세포는 96%의 유전자가 유사한 발현을 보였으며 2배이 상의 발현을 보이 는 경우-는 NHOK가 IHOK에 비해 85개 유전지가‘ IHOK가 쩌OK에 비해 1477H 의 유전자 발현이 u p-regul at i on되 어 총 4%미 만이 발현차이를 보 였고 반복된 hybridì zation 으로부터 얻은 선택된 spot의 Pearson 싱관계수는 074 에서 091로 냐티 났다 NHOK외 IHOK간의 유전자 발현을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주요 발현 유전자 그룹을 확인하였는데 세포부착 및 인식 세포주기 초칠인지 세 포자떨사, 전사인지- 성장인자 및 수용기 , 세포골격 및 세 포외기질 단백 . 신호진달 조절자 및 기 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IHOK에서 는 세 포인식 인자 중 endothelin 1, collagen IV, fibronectin , SPR1 이 발현증가 되었고 CK7, POG1"2, F'G1"1"R2가 세 포골격 및 성장인지중에서 upregulation 되었지만 신호전달 인지중 발현증가된 것은 없었고 동일힌 유전자를 나타내 는 cJ ustered gene map을 그릴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힌 Illicroan‘ay를 이 용한 분자학적 표지자 얀구가 구강 임 빌임과정 에서 유전지발현 을 확인히는데 큰 도웅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전자 조절에 의힌 진단 에 후. 치 료의 정획성을 개선시 킬 수 있으리리 여겨진다
In developing criteria for establishing workstation reach limits, it is essential to select the appropriate anthropometric stereotype for solving a specific design problem.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omfortable workstation is to eliminate trunk flexion from the neutral (upright) posture. A solution to this design can be developed using population stature and link length data. This paper provides a methodology for design of comfortable workstation using anthropometric stereotype. Application of this methodology can be utilized in various designs for work space including standing and sitting workpla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are measured by some parts on body such as stature, arm length, wrist height, elbow height, and shoulder hight.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Kangnung during sixteen months (2003.3-20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