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933

        84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고수씨살이좀벌속(신칭) 및 미기록종인 고수씨살이좀벌(신칭)과 긴고수씨살이좀벌(신칭)을 처음으로 보 고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고수씨살이좀벌속(신칭)의 검색표와 두 미기록종의 재기재문 및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84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Yeongsan River is a prominent inland waterway, alongside the Han River, Nakdong River, and Geum River in South Korea. Numer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3. These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wherein 45 bacterial strains shared >98.7% sequence similarities with bacterial species not recorded in Korea thus fa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atalogue aforementioned unrecorded species and characterize them contingent upon their Gram nature, colony and cell morphologies,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s. These bacterial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phylogenetically diverse. They were categorized into nine classes, 18 orders, and 25 families. Thes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enera and classes: Chitinophaga (class Chitinophagia); Flavobacterium (class Flavobacteriia); Rhodopseudomonas, Gemmobacter, Paracoccus, Azospirillum, Sphingomonas, Novosphingobium, Sphingorhabdus, and Erythrobacter (class Alphaproteobacteria); Bordetella, Pararobbsia, Polynucleobacter, Rhodoferax, Aquabacterium, Malikia, Comamonas, Ideonella, Paucibacter, Undibacterium, Cupriavidus, and Thauera (class Betaproteobacteria); Pectobacterium, Arenimonas, Lysobacter, and Luteimonas (class Gammaproteobacteria); Luteolibacter (class Verrucomicrobiia); Mycolicibacterium, Angustibacter, Ornithinibacter, Janibacter, Schumannella, Aurantimicrobium, Luedemannella, Nocardioides, and Propionicimonas (class Actinomycetes); Geothrix (class Holophagae); and Lactococcus (class Bacilli).
        5,100원
        84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미기록종 Acronicta gigasa (큰뿔무늬저녁나방, 신칭)를 한국에 최초로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진단과 분류학적 기재문을 작성 하였고,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84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밝은 화색과 안정적인 화형의 생 육이 우수한 빨간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진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 ‘엔드리스러브(Endless Love)’를 모 본으로, 꽃잎수가 많고 안정적으로 가시가 적은 밝은 노란색 ‘페니레인(Penny Lan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37 개의 교배실생을 양성해 1, 2, 3차에 걸친 특성검정 및 현장실증 을 통해 꽃이 크고 화형이 안정적이며, 재배안정성 및 생산성, 절화특성이 우수한 ‘원교 D1-390’을 최종 선발하였다. 2023년 ‘루비레드(Ruby Red)’로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등록되었다.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R53C)을 가졌으 며, 꽃잎수가 32.8매, 화폭과 화고는 각각 10.9, 5.9cm로 대조 품종보다 크다. 절화장은 평균 71.7cm, 절화수명은 약 16.7일, 수량은 연간 168대/m2로 대조품종인 ‘레드스퀘어(Red Square)’ 대비 절화장이 길고 절화수명도 2배 이상 길며, 수확량도 1.4배 우수하다. 2023년 국내 육성 장미 품종 서울식물원 관람객 대상 공동평가회에서 스탠다드 장미 중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현 장 실증 결과 농가별로 균일하고 우수한 수량과 절화품질을 보 였다. 절화용 장미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과 우수한 화형 을 가지는 품종으로 해외 대체 품종으로 국내에서 많이 재배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45.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그물나비속(Neope)의 검은눈그물나비(Neope muirheadii)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채집지 정보와 간단 한 논평을 포함하여,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4,000원
        84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스트로메리아(Alstroemeria)는 알스트로메리아과(Alstroemeriaceae) 에 속하는 단자엽 식물로,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절 화 작물이다. 국내에서도 재배되는 대부분의 품종은 수입묘로,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어 국내 품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정 전 장벽 타파 방법 중 하나인 화주절단수분법을 알스트로메리아에 적용하여 자가수분을 통 한 착과율과 종자 결실 수를 파악하여 화주절단수분법의 가능성 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착과율은 무 절단, 20% 절단, 50% 절단, 90% 절단, 100% 절단에서 각각 80%, 60%, 30%, 10%, 0%로 나타났으며, 처리구별로 수분 전과 수확 후 자방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자 결실 수는 무 절단, 20% 절단, 50% 절단, 90% 절단, 100% 절단에서 각각 22개, 10개, 3개, 1개, 0개로 나타났다. 자방 당 종자수는 2.2개 1개 0.2개, 0.1개, 0개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를 바탕 으로, 자가수분을 통한 화주절단수분법으로는 자방 당 종자 수 의 증대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자가불화합성 계통 또는 종간교 배를 통한 품종 육성 시 화주절단수분법이 새로운 품종 육성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4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절화류 품질보증 가이드라인 기초자료 제 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산 절화류 20품목을 대상으로 소비 단계에서의 계절별 절화수명과 상업용 절화보존제 효과를 조사 하였다. 그 결과, 계절별 절화수명의 차이가 뚜렷했고 사계절 중 여름철에 46.2% 짧아졌다. 또한, 계절과 상관없이 국내산 절화류 20품목의 절화수명 품질보증 기한을 3수준(3일, 5일, 7일 이상)으로 분류 가능하였다.
        4,000원
        848.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awing on Fairclough’s three-dimensional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uth Korean newspapers represent institution-l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 initiatives in terms of genres, styles, and discourses. By analyzing discursive strategies employed in articles from eleven national daily newspapers, the paper reveals how language and discourse are interconnected in constructing and negotiating the significance of institution-led GCE in the South Korean context. The findings highlight the following key features and their implications. First, the genre analysis shows a predominance of straight news reporting, where headlines and leads emphasize institutional agency while backgrounding participants’ roles, thus perpetuating power imbalances in the GCE field. Second, the style analysis reveals contrasting quotation patterns and strategic language use by authoritative figures to legitimize GCE initiatives, which potentially narrows the understanding of GCE and diverts attention from its complex contexts. Finally, the discourse analysis uncovers contrasting strategies that reflect divergent priorities and power dynamics in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GCE across institutional contex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media representations can reshape and reinforce the implementation and outcomes of GCE programs in South Korea.
        8,600원
        849.
        202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valuate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A) in English education research in Korea and suggests improvements in methodology. A detailed coding protocol was used to review 179 FA cases from 12 major English education journals (2014-2023). The review identified several key issues, including small sample sizes and lenient criteria for sample size selection, insufficient reporting on data appropriateness and normality, confusion betwee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 overreliance on the Eigenvalue > 1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factors, inappropriate factor rotation methods, inconsistency between factor rotation and extraction methods, inadequate reporting on factor loadings and cross loadings criteria, and excessive reliance on SPSS as a statistical tool for FA.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guidelines for applying FA appropriately and reporting results accurately.
        9,500원
        85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ought is on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hibiting plant productivity and growth, leading to oxidative damag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sodium hydrosulfide (NaHS) as a hydrogen sulfide (H2S) donor in drought stress tolerance in Brassica napus. Drought-induced stress symptoms appeared eight days after treatment, showing wilted leaves and a significant reduction of leaf water potential. Drought-induced increase of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NaHS application. NaHS-treated plants mitigated stress symptoms under drought conditions by reducing hydrogen peroxide (H2O2) content, confirmed with H2O2 localization in situ. Furthermore, NaHS promotes photosynthetic activity by maintaining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thereby supporting plant growth under drought conditions. Pyrroline-5-carboxylate and prol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drought but further enhanced by NaHS treatment, indicating the important roles of proline accumulation in drought stress toler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the roles of NaHS in alleviating drought stress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promoting proline accumulation. Therefore, NaHS may serve as an effective strategy to enhance crop production under drought-stress conditions.
        4,000원
        85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Hanwoo cattle farmers aim to improve calf production and reproductive efficiency. Recovery of the reproductive tract postpartum is a critical factor influencing the postpartum period and conception of breeding cows. This study aimed to precisely analyze the recovery process of the reproductive tract in primiparous Hanwoo postpartum and to establish recovery criteria. Methods: Ten primiparous Hanwoo cows were used in this study. After parturition, estrus was examined daily using visual observations and estrus detection patches. Ovarian recovery, cervical diameter, and uterine horn diameter were examined using ultrasonography four times per week.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rst estrus occurred at 19.1 ± 6.5 days postpartum, the first ovulation at 27.1 ± 4.5 days, and the first normal estrus cycle at 39.2 ± 6.4 days. The ovulation rate during the first estrus was 40%. A normal estrus cycle occurred in 11.1% of patients at the first ovulation. The cervix diameter recovered to 42.0 ± 3.5 mm and the uterine horn diameter to 34.4 ± 7.1 mm by 24 days postpartum, with the difference in uterine horn diameter recovering to 2.6 ± 1.2 mm by 31 days postpartum. Conclusions: This study can aid in determining the optimal breeding time for postpartum primiparous Hanwoo cow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Hanwoo breeding studies.
        4,200원
        85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꼬마꽃벌과의 1종, Lasioglossum (Hemihalictus) sphecodicolor이 국내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이 종에 대한 암컷의 진단 특징과 분포, 형태적 형질 도판, 한국 내 Hemihalictus아속의 종에 대한 분류키를 수록한다.
        4,000원
        85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내 전문전시원에 발생한 이입식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이입식물 분포조사를 시행 하였다. 그 결과 자생식물 299종, 귀화식물 49종, 재배식물 13 종 총 63과 214속 361종이 조사되었다. 국화과가 63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사초과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입식물의 이입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비교 분석 한 결과 309종이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로 확인되었으며, 전 문전시원 내 식재 식물이 확산된 경우가 17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 49종을 원산지별로 구분하면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69.4%, 이입 시기별 1기와 3기의 비율이 90%를 차지하였 다. 귀화식물의 귀화도 분포 등급을 적용한 결과 4등급 이상이 면서 이입 시기가 3기인 식물 9종은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큰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에 어느 정도 귀화식물이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도시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15.0%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중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가 출현하였 다. 이입식물은 자생식물군락과 전문전시원 내 관람로에 침입하 여 세력권을 확장하고 우점하는 경향이 있어 각각의 생태적 특 성을 고려한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4,200원
        85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in the framework of a project entitled “Development of Advanced Sweet Potato Cultivation Technology for Smallholder Farmers in Paraguay” implemented by KOPIA Paraguay Center (Korea Partnership for Innovation of Agriculture) in collaboration with Paraguayan Institute of Agricultural T echnology (I PTA) d uring the period 2021-2024, r esults o f four m ain e xperiments are described in this research: selection of suitable varieties, optimal planting and harvesting times, the use of ridges, and optimal chemical fertilization doses.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varieties for Paraguay, 11 sweet potato varieties were evaluated in departments of San Pedro and Misiones. As a result, varieties Andaí, Jety Paraguay, and Chaco I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in San Pedro, while varieties Jety Uruguayo, Chaco I, and Taiwanés showed higher productivity in Misiones. The other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San Pedro only. Optimal planting and harvesting times were determined with three varieties: Andaí, Pyta Guasu, and Jety Paraguay. For Andaí and Jety Paraguay varieties, they should be planted in December and harvested at 122 days post planting (DPP). For Pyta Guasu, it should be planted in October and harvested at 124 DPP. Regarding productivity response with soil preparation methods, the use of ridges showed higher yields in all planting methods, with the curved method planting being the most productive. Finally, optimal chemical fertilization dose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total yield. The optimal nitrogen fertilizer dose (urea 45% N) was 40 kg/ha. The optimal phosphorus fertilizer dose (triple superphosphate 45% P2O5) was 80 kg/ha and the optimal potassium fertilizer dose (potassium chloride 60% K2O) was 120 kg/ha.
        4,000원
        855.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varie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named 'Alfaking' was developed between 2015 and 2023 at the Grassland and Forag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heonan, Republic of Korea. The variety was produced through artificial hybridization, with ‘Paravivo’ serving as the maternal line and ‘WL514’ as the paternal line. ‘Alfaking’ underwent field tests across four regions (Cheonan, Pyeongchang, Jeongeup, and Jinju) to evaluate its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ver two years (2022-2023). The dry matter yield of ‘Alfaking’ reached 22,516 kg/ha, which is 11% higher than the control variety, ‘Vernal.’ ‘Alfaking’ exhibited 2.1%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than ‘Vernal’ in forage nutritive value. The development of this new alfalfa variety, which exhibits excellent adaptability to challe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s expected to enhance forage cultivation and productivity in Korea.
        4,000원
        85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의 Donacia속에는 2아속에 속하는 6종이 있다(An, 2019). 이 중 Chujo (1941)는 북한 함경북도 웅기에서 채집한 표본을 D. aquatica (Linnaeus, 1758)로 보고하였고, Kimoto and Kawase (1966)는 D. japana로 표기하여 보고하였다. 그리고 Hayashi (2020)는 한국에 기록된 D. japana가 D. aquatica로 오인되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포천과 울산)에서 채집한 표본과 D. japana에 대한 기재문, 수컷생식기와 같은 형태적인 부분(Hayashi, 2020), COI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한반도에 기록된 D. japana은 D. aquatica로 대체되고, D. japana는 일본 고유종이라고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4,000원
        85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a wild boar repellent (Repellent A) consisting of tannins and plant oils (castor oil, garlic oil, and cinnamon oil). Sixty farmed wild boars (4-8 months ol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normal control group (NC, n=20), the experimental group (EP, n=20), and the comparative experimental group (C-EP, n=20), which used Repellent B consisting of guaiacol, eugenol, menthol, thymol, and indole. EP and C-EP were equipped with four repellents per feeder, while no repellents were installed in the NC feeder. The feed intake and the number of feeding approaches were measured for one week in all groups. The number of approach of wild boars in feeders was monitored daily using a CCTV camera. The daily feed intake per farmed wild boar in EP and C-E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NC (p<0.05), and E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EP (p<0.05). In the average number of daily approaches, EP and C-E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NC (p<0.05), and E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EP (p<0.05). In conclusion, Product A has been confirmed to have excellent repellent effects on wild boars, and it could be used to prevent wild boars from approaching pig farms.
        3,000원
        858.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입체시 검사법들의 재현성과 교환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적 질환과 관련된 진단을 받은 적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20/20 이상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 절이상을 확인한 후 입체시 검사(티트무스, 랑 Ⅱ, 티엔오, 프리즈비 검사)를 각각 하루 이상의 간격을 두고 두 번 검사하였다. 검사 간의 신뢰도 분석은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반복 검사를 통한 입체시 검사의 신뢰도 확인에서 프리즈비 검사(p=0.103, ICC=0.99) 에서만 높은 재 현성을 보였다. 입체시 검사 간의 비교에서는 프리즈비와 티엔오 검사(p=0.358, ICC=0.89)에서 좋은 호환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20초미만의 작은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 또한 42%로 모든 검사법들의 비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 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입체시 검사의 진행은 방문 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좋으나 검사 방법들의 특성에 따라 신뢰도와 호환성이 좋은 입체시 검사와 함께 평가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 프리즈비 검사가 신뢰도와 호환성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검사와 함께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59.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과의 과일 및 관상용 식물은 세계적으로 경제적, 원예적 가치가 뛰어나다. 장미과의 뱀딸기는 관상 및 약용 작물로써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데, 증식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 이다. 뱀딸기의 종자 종자발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내부형태 관찰, 수분흡수실험, 온도 별 배양, move-along test, GA3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뱀딸기 종자는 탈리시점부터 성숙한 배를 지닌다. 수분흡수실험 결과, 침지 3시간만에 종자 무게가 초 기무게 대비 100% 이상 증가하였다. 온도 별 배양 실험 결 과, 25/15, 20/10, 15/6, 5, 25, 20, 15°C에서 각각 8주간 배양하였을 때 88, 71, 61, 12, 89, 39, 17%로 나타났다. Move-along test의 T125/15°C(12주)→20/10°C(4주)→ 15/6°C(4주)→5°C(12주)]에서 12주차까지 72%가 발아하였고 T2[4°C(12주)→15/6°C(4주)→20/10°C(4주)→25/15°C(12주)] 에선 20/10°C까지 발아하지 않았고 25/15°C에 도달하고 나서 발아하여 최종발아율은 16%로 나타났다. GA3처리구에선 배양 3주차에 발아를 시작한 반면에 대조구에선 배양 4주차부터 발 아하였다. 따라서 한반도 자생 뱀딸기 종자는 PD로 분류하였다. 뱀딸기속과 Potentilla속 식물은 서로 근연관계이고, 종간의 종 자휴면에 차이가 나타나 종자휴면 특성에 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6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welve-year-old, spayed female Siamese cat was presented for health screening. Abdominal radiography revealed a large amount of mineral opacity substanc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long with mild gaseous dilation proximal to the lesion. Ultrasonography showed hyperechoic surface with acoustic shadowing at the ileum and wall thickening of the ileum. Enterotomy was performed to remove the foreign bodies, which were numerous hairball- and stone-like objects. Analysis of the enteroliths revealed a composition of calcium phosphate. Although enterolithiasis is considered rare in cats,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 numerous pebble-like mineral opacity lesions are observed.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