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재배 딸기에서 작은뿌리파리의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위하여 2년간 수행하였다. 피복재로 배지를 피복하고, 고리형 점착트랩을 설치하면 효과적이었다. 피복재 종류별 작은뿌리파리 발생정도는 무피복에서 트랩 당 67.1마리로 가장 많았고, 흑백필름 등 나머지 피복재에서는 2~5마리로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피복재 종류별 딸기 생육특성에서 초장, 엽장, 엽폭은 처리간에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화방수는 무피복에서 9.7개로 가장 적었고, 수량은 적색필름과 흑백필름 피복이 무피복에 비해 14.6~9.2% 증수하였다. 하절기 피복재 종류별 근권 온도는 흑백필름과 적색필름이 주야간 편차가 적고 안정적이었으며, 동절기에도 적색필름은 다른 피복재보다 근권 온도가 높고 안정적이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작은뿌리파리 유살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고, 트랩 형태별에서는 고리형이 원반형보다 다소 많았고, 설치 노력이 57.1% 절감되었다.
매실에서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대한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위해 2년 동안 수행하였다. 낙과된 매실 핵을 수거하여 보관 장소를 달리하였는데, 장마전에 수거해서 노지에 방치한 경우는 10.7%가 월동하여 모두 성충이 되었다. 수거한 매실 핵을 온실에 보관하다 10월에 노지에 방치한 경우에는 23.3%가 월동하였고, 이 중 77.1%가 성충이 되었다. 그러나 수거 당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온실에 보관한 경우는 월동률이 42.4%로 매우 높았지만 단지 3.1%만이 우화에 성공하였다. 피해 매실 핵에서 발생한 곰팡이균 Fusarium sp., Geotrichum candidum 2종을 동정하였는데, 매실 핵이 빨리 부식된 경우에는 유충이 핵내에서 곰팡이에 감염되거나 물이 스며들어 사망하였다. 곰팡이 종류는 Fusarium sp.이 더 효과적이 었고, 피복작물로 헤어리베치를 재배하면 더욱 부식이 빨라 핵의 무게와 경도가 낮아져 유충의 월동을 제한하였다. 한편 품종별 피해과율은 옥영품종이 88%로 가장 높았고, 천매품종은 피해가 없어 단일품종보다는 여러 품종을 섞어 재배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벗초파리는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해충으로 인식되지 않아 발생 기간 및 패턴, 기주 범위 등의 생태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모니터링을 위한 우수 유인제 및 트랩의 연구도 제한적으로 수행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사과식초 함유 유인제 2종과 화학적 루어 2종 그리고 트랩 2종에 대한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선발 시험은 사육중인 벗초파리를 이용한 choice test와 함께 수목원, 딸기 농장, 블루베리 농장에서의 6반복 유인력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인력 비교 결과 ACV + wine의 포획량이 높았으며, 블루베리 농장 인근 결과값은 전체 조사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트랩 선발 실험 결과 모든 실험 장소에서 Dreves 트랩이 높은 포획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CV + wine과 Dreves 트랩 조합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월동 발생 조사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or economic effect on an import prohibition for the buff-tailed bumblebee, income of the bumblebee products, function, economic effect of pollinating insects and bumblebee were analyzed. The largest incremental gain was observed when using domestic bumblebees. Incremental revenue showed a larger incremental revenue in pollination than artificial pollination, the cost of artificial pollination was lowest for incremental cost, followed by domestic bumblebees, honeybees and imported bumblebees. Consequently, higher economic value can be achieved when domestic bumblebees and honeybees are used. According to this study, as it is used to make policy decisions on the prohibition of import of buff-tailed bumblebee, other alternative plan can be utilized due to its import prohibition.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causes devastating damage to pines worldwide. To develop new agent for controlling PWN, alkyloxyalcohols(A-H) were synthesized and nematicidal activity was tested against PWN. As a control, monochamol, which reported to have nematicidal activity was also tested. The nematicidal activity was diffferent according to carbon chain length in compounds. LC50 values of F, G and H were as same as that of monochamol. However A-E which have shorter carbon length than F-H showed weak nematicid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susceptibility of field populations of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exigua larvae to four diamide insecticides—chlorantraniliprole, cyantraniliprole, cyclaniliprole, and flubendiamide. All the four diamide insecticides induced 100% mortality in the populations from Seongju (SJ) and Geochang (GC) when treated at a concentration recommended for P. xylostella. However, a very low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population from Pyeongchang (PC) with 42.3% 3 d after treatment with chlorantraniliprole. Further, the populations of S. exigua from Cheongju (CJ), Jindo (JD), and Yeonggwang (YG) were not completely controlled by the 4 diamide insecticides. A comparison of susceptibility of S. exigua larvae to chlorantraniliprole between 2014 and 2017 showed that chlorantraniliprole induced 100% mortality in all populations in 2014, whereas a very low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among the populations in 2017.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to control pests effectively using diamide insecticides.
본 연구는 감귤의 해충인 귤굴나방의 기생성 천적의 종류와 기생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3~2014 제주 감귤원에서 발견된 귤굴나방 기생봉 천적은 좀벌상과에 속한 총 7종이 발견되었다. 그 중 좀벌과에 속한 Sympiesis striatipes가 73%, Quadrastichus sp.가 22%로 대부분을 점유하였다. 나머지 종은 Neochrysocharis sp., Ageniaspis sp., Pnigalio sp., Holcopelte sp., Trichomalopsis sp.(Pteromalidae) 등이었다. 천적의 평균 기생률은 관행재배에서 10.7%, 무농약 과원에서는 32.2%를 나타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총채벌레 발생 증가와 Neonicotinoids계, Pyrethroids계, Spinosyns계, Avermectins계 약제의 과다 살포, 중복 살포로 인한 저항성 발달로 총채벌레 방제가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채벌레의 약제저항성 관리 및 효율적인 방제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 연구로 곤충성장저해제(insect growth regulator, IGR)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 알, 1령 약충, 2령 약충, 성충으로 나누어 시험 약제를 처리하고, 조사는 약충의 경우 168시간까지 생충수, 알과 성충은 144시간까지 생충수와 부화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클로르플루아주론 유제는 1령 약충, 2령 약충에 대하여 접종 168시간 후 각각 100%, 8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약제를 성충에 처리 시 산란에 대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곤충성장저해제의 꽃노랑총채벌레 령기별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채벌레 적용약제의 계통을 다양화하여 저항성 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oleoptera: Cerambycidae) is a well-known as vector species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in the northern areas of South Korea. In 2017, larval parasitoids of M. saltuarius and their parasitism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Pinus koraiensis forests with consideration of sentinel logs positions (height: 0 m vs. 1.8 m), distances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forest (0, 20, 40, 60, 80m), and damage degrees of the pine wilt disease (infested area, buffer area, and uninfested area). In total six of larval parasitoids were collected: Spathius verustus, Sclerodermus harmandi, Cynopterus flavator, Heydenia testacea, Heydenia sp., Braconidae sp. The parasitism rate to larvae of M. saltuarius larvae was not affected by sentinel log positions. However, the parasitism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fested areas compared to the buffer and uninfested areas. In the infested area, the parasitism rate was increased with distance from forest edges.
허리노린재과(Coreidae)에 속하는 Leptoglossus gonagra (가칭: 기장허리노린재)는 북미 원산으로 현재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등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가해하는 광식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2016년 부산시 기장면의 호박 재배지에서 약충과 성충이 확인되었으나, 이듬해에는 현장조사에서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MaxEnt 모형과 세계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L .gonagra의 서식 및 생존과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및 국내 서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위치자료는 GBIF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DISCOVER LIFE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총 99지점을 이용하였고 환경변수로는 WorldClim의 생물기후 (bio)를 19개를 활용하였다. 예측 모델은 평균 AUC 값 0.928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등온성(bio3)과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bio18), 기온의 계절성(bio4), 가장 습한 분기의 강수량(bio16)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다. 고온다습 한 열대성 기후 지역에서 출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has potential of serious damage to various vegetables or fruits, especially genus of Citrus, such as mandarin orange and tangerine in Korea, where its larvae do damages. Animal and Plant Quarantin Agency of Korea and Animsl Systematics Laboratory of Kunsans National University have collected the samples of oriental fruit fly in East Asian countries, Vietnam, Philippines, Myanmar, China, Cambodia, India Nepal and Laos. To confirm genetic differences and structure of B. dorsalis population samples collected from those countries, we analyzed 192 individuals from 28 locations over 7 countries using 15 microsatellite loci. In total samples, number of different alleles, number of effective alleles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were 6.421±0.364 (standard error, SE), 3.664±0.137 (SE) and 0.902±0.030 (SE), respectively. Grand means (±SE) of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y over all loci and populations were 0.534 (±0.018) and 0.597 (±0.017), respectively. Among all populations, Fst values ranged from 0.016 to 0.705 with averaging 0.194 (±0.026).
The citrus leaf miner (CLM) is a of important citrus pests in Jeju island, but it’s not clear about ecology of over-wintering in Jeju.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stage to know how the CLM overwinters in 20 sites. And we investigated the mortality of larvae, pupae and adult stage of CLM in open citrus cultivated field December, 2017 to April 2018 and growth chamber conditions(from –10 to 5 ℃). As a result, no larvae and adult survived open field during winter. We concluded that the CLM usually overwinters as pupa during winter.
The citrus leaf miner (CLM) is an important citrus pest.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bi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CLM are essential for development of reliable pest population prediction system.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the species under ten constant temperature schemes (12.5℃~39℃). Furthermore, we established a development model of CLM, based on the result of a laboratory experiment. The immature developmental duration of CLM at constant temperatures were 63.5 days at 15℃, 23.9 days at 21℃, 15.6 days at 27℃, and 12.3 days at 33℃,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mperature regimes.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rmal constant were 11.3℃ and 243.7 DD, respectively, for immatur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emperature, non-linear development models were established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of CLM.
본 조사는 채집방법에 따른 곤충군집을 비교하기 위해 공검지 습지보호지역 내에서 쓸어잡기, 함정트랩, 버킷트랩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 시기는 5월 15~16일, 8월 3~4일, 11월 6~7일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조사는 보호지역 중심부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세 방법으로 총 7목 51과 110속 120종 14,717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로 쓸어잡기에서 4목 25과 36속 37종 331개체, 함정트랩에서 3목 12과 18속 19종 30개체, 버킷트랩에서 6목, 38과 76속, 84종, 14,121개체가 조사되었다. 군집 분석결과 다양도 지수는 쓸어잡기가 3.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풍부도 지수는 버킷트랩이 8.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사도 지수는 세 방법이 서로 0.2이하로 매우 낮았다.
2016년도에 조사를 수행한 경상북도 내 위치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3개 지역(봉화・영주・울진)의 곤충 군집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5월에서 9월까지 함정 트랩(pitfall trap)을 이용하여 5회씩 3반복하여 각각 상대적으로 비교 하였다. 채집된 딱정벌레류는 딱정벌레과 등 22과 141종 2,415개체가 확인 되었으며, MRPP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분석 결과 서식지간의 군집구조차이가 있음을 확인 하였고(p < 0.001), Bray-cutis 분석결과 군집간의 차이와 함께 신갈나무 군락이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종 풍부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나무군락 은 비교적 낮은 영향을 받았다. 식생유형에 대한 지표종 분석결과 신갈나무 군락에서 붉은칠납작먼지벌레(Synuchus cycloderus Bates, 1873)를 포함한 4종, 자작나무 군락에서는 노랑털검정반날개(Ocypus weisei Harold, 1877)를 포함한 3종, 소나무 군락에서는 홍딱지반날개(Platydracus brevicornis Motschulsky, 1862)를 포함한 3종의 지표종 변화를 확인 하였다.
Nosema disease caused by the microsporidia Nosema apis and Nosema ceranae are a honey bee pathogen parasitizing. Nosema disease symptoms include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because the spores damage epithelial tissue and potentially causing colony death. Recently, N. ceranae has been reported as an important threat to honey bee health. Turmeric (Curcuma longa L.) Curcuma tonga L. belongs to the family Zingiberaceae and is a perennial, tropical herb. Turmeric, the powdered rhizome, i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urmeric (Curcuma longa L.) for the control of N. ceranae in honeybees. For the study, we infected with N. ceranae spore through dosed and fed with the turmeric extraction at difference concentration. The data show that the turmeric extraction was not toxic for bee at least at 1% and the bees fed with 0.5 % turmeric extraction had significantly lower infection rates. This data suggest that turmeric could be useful in alternative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N. ceranae.
외래 병해충의 유입이 증가 하고 있고 이들의 유입 및 확산 경로 규명을 위하여 분자 유전학적 분석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본 연구는 외래 해충인 Reticulitermes kanmonensis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초위성체마 커(microsatellite)를 문헌을 통해 탐색하였고, NGS(Next-Gen Sequencing) 기술을 통해 새로운 초위성체마커를 개발하였 다. 문헌을 통해 Reticulitermes속에서 개발된 마커29개와 NGS를 통해 선발된 25개의 마커를 탐색 하여, 이중 증폭 및 유용성이 있는 18개의 마커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단일 마커들을 이용하여 6개의 multiplex PCR set 및 증폭 조건을 수립하여 집단유전학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Drosophila melanogaster and Drosophila suzukii are the species of the family Drosophilidae. Although these two fruit flies are taxonomically close species, D. suzukii is thought to be evolutionally adapted to the flesh or maturing fruits, whereas D. melanogaster is adapted to more fermented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several environmental toxins, such as acetic acid, ethanol, methanol and phenylacetate, ect., have been identified from rotten fruit and fermentation procedure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distinct habitat between two flies, D. melanogaster is hypothesized to exhibit higher tolerance to the chemical toxins than D. suzukii.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olerance and susceptibility of two fruit flies to three chemicals (acetic acid, ethanol, 2-phenlyethano).
Honey bee has been widely used as a model insect for biological sciences because of its sociality and specialized labor divis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seasonal and labor-dependent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putatively involved in its sociality,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can be applied to quantify gene expression level and selection of reliable reference gene(s) for normalization is an accurate step. In this study, using three softwares (geNorm, NormFinder and BestKeeper), we evaluated seasonal expression stabilities of four reference genes that have been widely used for qRT-PCR in forager and nurse heads. Among four candidates, two genes, rpS18 and gapdh, were suggested to be the optimal reference genes for qRT-PCR.
Henryana Yoshimoto, 1983 is a rare genus in Tetrastichinae, Eulophidae with only one species known from USA and Brazil. A species of the genus is newly recognized in South Korea. The genus has peculiar characters for a tetrastichine species. The genu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 by following characters: head with postgenal sulcus and with strongly swollen gena; vertex extending much higher that dorsal margin of eye; submarginal vein with usually 3 short dorsal setae that are in distinct contrast to the very long setae on marginal vein; entire body extremely elongated. Images and description of diagnostic characters are given in the present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