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ular leaf spot(CLS) disease causes considerable economic damage to persimmon(Diospyros kaki) in South Korea. Mycosphaerella nawae ascospores are the primary inoculum for CLS epidem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fluctuation of spore release and its relationship to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spore trapping. We evaluated the seasonal pattern of released M. nawae ascospores in South Korea. During three persimmon growing seasons(2010 to 2012), we recorded the release of ascospores in two regions, Jinju and Gimhae, which are major producing regions of sweet persimmon in South Korea. The release of CLS ascospores was from the first week of May to the end of July. The maximum release of spores was observed in late June. A computer model used accumulated degree days to simulate ascospore release. The overall mean accumulated degree days, from 01 May to 50% ascospore release for the observed data(1174℃ day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dicted value of 1144℃ days.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and observed release percentages for the sampling perio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The Sakhalin pine longicorn,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oleoptera: Cerambycidae), is an insect vector of the pine wilt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Nickle,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central Korea. M. saltuarius is a forest pest that seriously damage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forests. We examined the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mating, DNA damage and ovarian development of M. saltuarius adults and sought to identify the optimal dose for sterilizing insects. Our results suggest that pine wilt diseas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f a large number of sterilized M. saltuarius adults are released into the field.
2018년 6월 28일부터 산림보호법 개정에 따라 수목진료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수목진료의 주체가 나무병원이기 때문에 나무병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2018년 3월 30일 기준, 전국적으로 576개의 나무병원이 등록되어 있으며, 1인 이상의 나무의사(수목보호기술자 또는 식물보호기사)가 소속되어 있다. 수목진료의 시행에 따른 나무의사의 수요는 약 5천명으로 예측되고 있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수목진료업의 산업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로 국가나 학교와 같은 공공기관 및 공동주택에서 관리하는 공공성의 수목들이 진료의뢰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산업으로서의 나무병원은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수는 대상이 많지 않고, 문화재수리기술자가 진료토록 되어 있어 사업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이 기술자자격을 취득한 이가 많지 않아 당분간은 나무병원에서 관리하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도시 생활권 내 수목병해충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전문화된 생활권 수목의 진료체계는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청에서는 관련 법령인 산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이 공포(2016.12.27.)됨에 따라 생활권 수목의 전문적 진료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수목진료 저변확대를 위한 수목진단센터 운영 및 민간컨설팅을 실시하고 있다. 생활권 수목병해충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은 나무의사 제도 도입 등 전문화된 수목진료 기반을 구축하고, 생활권 수목진료 민간컨설팅 지원을 통해 진단・처방서비스를 제공하며, 국・공립나무병원의 내실화 및 지역거점 수목진료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산림청에서는 나무의사 자격시험 및 나무병원 제도 시행을 위하여 하위법령과 행정규칙을 마련 중(2018.6.28. 공포 예정)이며, 수목진료 전문화, 청년일자리 창출 등 나무의사 제도 조기정착을 위한 대국민 사전홍보에도 힘을 쏟고 있다.
Sampling insect pest population is often a necessary component of a proposed pest control strategy. Insect populations are poikilothermal animal and readily applied to model systems in several ways. When insect population immigrate to new possible habitats, they should be related with biotic and abiotic environments for survive and settle down.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invasive insect species would be overcome its geographical limitation as well as local distribution of well-known species should be changed in near future. In this study,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native and invasive species were developed, compared and discussed for developing sampling strategies for invasive insect pest populations.
Currently,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Bombycoidea have been reconstructed using molecular data, but generated several hypotheses on among-familial relationships [(especially, “Satruniidae+Bombycidae+Sphingidae” group)] within Bombycoidea. Thus, in this study, we sequenced 39 mitogenomes from both Bombycoidea and Lasiocampoidea. Consequently, one topology was obtained on the basis of ML and BI methods. It suggested the monophyly of the two superfamilies (Bombycoidea and Lasiocampoidea) consistently with a high nodal support; the sister relationship between Saturniidae and Sphingidae in “SBS”; and the sister relationships between Bombycidae and the Saturniidae + Sphingidae group.
동남아시아에 발생하던 등검은말벌은 최근 국내 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일본,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전 세계 양봉 산업에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등검은말벌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방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말벌 유인제에 대해 국제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 역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 유인제와 최근 (주)다목에코텍에서 새롭게 개발한 신규 개발 유인제에 대한 효능 검정을 수행하였 고 양봉장에 출현하는 국내 발생 말벌속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담양 1개소와 곡성 2개소에 기존 유인제과 신규 유인제를 장착한 포획기를 각 3쌍씩 설치하여 2016년 9월부터 11월말까지 주 1~2회 관찰하였다. 그 결과 국내 발생 말벌속 중 등검은말벌(7,787 개체)이 가장 많이 포획되었고, 다음으로 장수말벌, 말벌, 좀말벌, 꼬마장수말벌, 털보말벌 순으로 포획되었다. 두 유인제의 포획력 검정 결과, 신규 개발 유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1) 등검은말벌 포획력이 높음을 보였다.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메뚜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70%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식사료용 곤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풀무치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중사육 관련 연구는 미흡하여 사육방법 정립, 먹이원 선발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풀무치의 연중사육을 위한 방법으로 사육밀도에 따른 생육 특성과 최적 산란처를 찾기 위해 상토, 오아시스 등을 이용하여 산란 특성을 조사하였다. 풀무치의 생육 온도는 28℃, 습도는 65% 내외로 유지하고 처리구별 생존율, 탈피횟수, 크기, 무게 등을 측정하였다. 사육밀도별 약충 기간은 32일 소요되었고, 생존율은 82~90 %였으며, 성충 기간은 110~120일 소요되었다. 산란처별 난괴 길이는 33~49mm였으며, 부화 후 생존율을 72~82%였다.
벼메뚜기의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일본의 Konno식 먹이를 대조구로 하고, 28개의 배합비율별 인공사료를 제작하여 급이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Konno식 보다 6주 후 1마리당 체중은 22개 처리에서 높았고 우화성공율은 23개 처리에서 높았다. 폐사율은 부화입식 후 45일까지 Konno식 대비 24개 처리에서 높았다. 1마리당 체중, 우화성공율, 폐사율을 종합해 볼 때 탄수화물원으로는 옥수수 건조잎 분말 또는 통밀가루와 단백질원으로는 2~5%의 탈지대두분 또는 어분의 배합비율이 벼메뚜기의 인공사료로서 가능성이 높았다.
The susceptibility of Dermanyssus gallinae adults, collected from poultry farms in 5 regions, to 11 acaricides was investigated. When bifenthrin and formic acid with pyridaben were diluted 100 times, bifenthrin showed 100% acaricidal activity; however, formic acid with pyridaben showed less than 20% acaricidal activity for poultry farms in 3 regions (Gyeongju, Chilgok, and Geumsan) except Yeoncheon and Anseong. Clothianidin, thiamethoxam, fenitrothion, and formic acid with pyridaben showed differences in acaricidal activity among regions. Therefore, farmers should concentrate during the selection of these acaricides. However, carbaryl, cartap hydrochloride, dichlorvos, and bifenthrin showed high activity against D. gallinae collected from poultry farms in five regions. To control D. gallinae effectively, the alternation of acaricides is necessary, and indiscriminate pesticide use should be avoided. Therefor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controlling D. gallinae.
The acaricidal activity of a methanolic extract and fractions from the rhizome of Cnidium officinale against Dermanyssus gallinae adults was investigated. The C. officinale methanolic extract exhibited 100% acaricidal activity after 48 h of treatment at a dose of 4,000 ppm.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revealed (Z)-ligustilide as a constituent of C. officinale. Acaricidal activity was examined in three experimental tests (spray, fumigation and contact), with the spraying method being the most effective. The methanolic extract of C. officinale showed both contact and fumigant activities, though only fumigant activity was observed with (Z)-ligustili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officinale derived material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ntrol agent for D. gallinae.
참나무발효톱밥은 먹이원이면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서식지이며 성충의 산란처이다. 먹이원에 따라 유충의 생육 차이가 현저하여 발효톱밥 제조 시 미생물의 역할은 중요한 요인이다. 톱밥발효에 쓰이는 미생물은 고초균과 방선균을 이용한 먹이원 제조 실험을 통해 생육이 양호함을 확인한 바 있다. 더불어 곤충 유래 장내미생물인 KB3, LM1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톱밥을 제조하고 생육조사를 하였다. 톱밥의 발효과정 중 변화하는 환원당의 측정을 통해 생육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시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미생물6종을 처리한 톱밥의 발효 10간격으로 5회 채취하여 xylose, fructose, mannose, glucose, sucrose, cellbiose, lactose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glucose가 검출되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KB3 균주처리 50일 차에 111.8mg/g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