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기록속인 Ectopsocus를 미기록종인 E. briggsi McLachlen,1899 (외다듬이벌레; 신칭)와 함께 보고한다. E. briggsi은 한반도의 남부지 역인 거제, 진주, 울산, 제주에서 채집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 종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을 제공한다.
Mass production of high-quality carbon nanotubes (CNTs) remains a challenge,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new wetimpregnated catalyst suitable for the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CCVD) of CNTs in a fluidized bed reactor.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a new catalyst, a highly robust system to synthesize CNTs must be established. Here, w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robustness of CNT synthesis by CCVD using a wet-impregnated catalyst. We statistically tested four factors that could potentially affect the robustness of CNT synthesis system, focusing on carbon yield and IG/ID. First, we tested the effect of vacuum baking before CNT growth. F test and CV equality test concluded that vacuum baking recipe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variability of the CNT synthesis. Second, we tested the batch-to-batch variation of catalysts. The results of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bon yield and IG/ID among catalysts from different batches. Third, we confirmed that there is spatial non-uniformity of wet-impregnated catalysts within a batch when they are produced in large scale. Finally, we developed a multi-step heating recipe to mitigate the temperature overshooting during the CNT synthesis. The multi-step recipe increased the mean of carbon yield, but did not influence the variability of CNT synthesis. We believe that our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robust CNT synthesis system and development of new wet-impregnated catalysts.
본 글은 세계선교와 전도위원회(CWME, 전 국제선교협의회IMC)와 한국교회 간의 1921년에서 2021년까지 관계성에 관한 연구이다. 국제선교 협의회가 1921년 레이크 몽크(Lake Mohonk)에서 창립된 이래 2021년이 바로 백 주년이 되었다. IMC가 1961년 WCC에 합병되는 시기를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1921-1961시기에는 레이크 몽크 IMC(1921), 예루살렘IMC(1928), 탐바람IMC(1938), 휘트비IMC(1947), 빌링겐IMC(1952), 아치모타IMC(1957/8) 그리고 뉴델리WCC(1961)이 다. 두 번째 시기인 1963-2021에는 멕시코CWME (1963), 방콕CWME (1972/3), 멜버른CWME(1980), 산 안토니오 CWME(1989), 살바도르 CWME (1996), 아덴CWME(2005), 그리고 아루샤CWME(2018). 대회가 있었다. 1세기 동안의 한국교회와 IMC/CWME 관계 속에서 모교회와 신생교 회 간의 관계, 보수주의자와 에큐메니칼주의자 간의 신학적 양극성, 기독교공 동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동역자의 관계성을 회복하고, 신학적 균형을 유지하며, 변화하는 기독교의 모습을 갖는 것이 미래를 위한 대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