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37

        6425.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발생하고 있는 벼멸구 생태형의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고자 생태형 1, 2, 3의 단시형 암컷과 숫컷의 다리부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앞다리, 가운데 다리 그리고 뒷다리의 제3부절의 형태를 51개 부위에서 조사한 다음 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정준 판별 분석법을 도입하였다. 각 생태형간의 Mahalanobis distance는 숫컷의 경우 생태형 2와 3 사이에서 가장 짧았고, 암컷은 생태형 1과 2 사이에서 가장 길었다. Scatter plot diagram상에서 각 생태 형간 분리현상이 뚜렷하여 중심점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각 생태형에 속하는 개체는 중심점 부근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각 생태형간의 Group membership 조사에서 암수 모두 각 생태형은 각각 동일한 생텨형을 분류되었다.
        4,000원
        6426.
        1992.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429.
        1992.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430.
        1992.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431.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p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을 정리한 결과 1차로 1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중 1신종, 애기물결자나방, E. bicornuta sp. nov.를 기재 발표하고 이른봄애기물결자나방, E. clavifera, lnoue, 삼각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signigera Butler , 둥근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supercastigata lnoue , 흰애기물결자나방, E. viidaleppi Vojnits , 실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addictata Dietze , 긴점애기물결자나방, E. repentina Vojnits et Laever , 연갈색애기물결자나방, E. antaggregata lnoue , 너도애기물결자나방, E. consortaria Leech와 긴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kamedai Inoue등 9종을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4,600원
        643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멸구 수컷 정소에서 염색체의 변이정도를 생태형 별로 관찰하였다. 세포 분열 지수는 생태형 3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생태형 1, 생태형 2이었다. Agmatoploidy, aneuploidy, 성염색체의 loose pairings과 같은 염색체의 구조적 변화는 생태형 1, 생태형 2, 생태형 3순으로 높았다. 감수분열 제1분열기 중기는 성염색체가 상염색체로부터 현격하게 분리되어 있는 세포의 수는 생태형 2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6435.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ect growth regulator, juvenile hormone, antihormone, pheromone, repellent, chemical ecology
        4,000원
        6440.
        199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new approach to analysis of velocity data of globular clusters. Maximum likelihood method is applied to get model parameters such as central potential, anisotropy radius, and total mass fractions in each mass class. This method can avoid problems in conventional binning method of chi-square. We utilize three velocity components, one from line of sight radial velocity and two from proper motion data. In our simplified scheme we adopt 3 mass-component model with unseen high mass stars, intermediate visible stars, and low mass dark remnants. Likelihood values are obtained for 124 stars in M13 for various model parameters. Our preferred model shows central potential of W o = 7 and anisotropy radius with 7 core radius. And it suggests non-negligible amount of unseen high mass stars and considerable amount of dark remnants in M13.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