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55

        6423.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미치는 외부영양공급(外部營養供給) 및 self-inhibitor의 영향(影響)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율은 감자한천배지 및 대두잎조각을 첨가한 증류수에서는 양호하였으나 살균된 증류수에서는 극히 불량하였다. 2.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에는 탄소원의 외부공급이 절대 필요한 것으로 보였으며 인산, 가리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가용성 전분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이 포도당, 유당 등이었으며 포도당의 경우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4. 포자발아율은 포자밀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감소하여 포자농도 이상에서는 거의 발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self-inhibitor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다. 5. 기질(基質)을 세척한 포자의 발아율은 세척하지 않은 포자의 발아율에 비해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포자농도가 이상으로 증가할 때 더욱 현저하였고 건조된 한천배양기위에는 발아율 감소가 현저하였다.
        4,000원
        6424.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엽고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밀양 30호의 이병화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밀양, 해남산에 대한 최고분얼기, 출수기엽과 기본식물에 대한 각균군의 균주별 저항성 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 년 전국에서 이병된 밀양 30호의 침해균군 비친화성으로 밝혀진 I, II균군의 균주가 다수분리되었다. 나. 산지 및 생육시기별 저항성 정도의 차는 인정할 수 없었으나 II 균군의 특수균주(병원성 분화형)에 대해 침해받았음이 원인이었다. 다. 밀양 30호의 기본식물에서도 동일 균군 균주에 의해 반응이 일치되므로 품종보다 균주의 병원성 분화에 따른 이병화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427.
        1982.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429.
        1982.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432.
        198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uminosity functions of 12 open clusters are derived for which their membership and the colors of their individual stars have been established by detailed proper motion study and high quality photometric work. The resulting luminosity functions of these cluster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4,000원
        6433.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6434.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6435.
        1981.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437.
        198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438.
        198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6439.
        198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assumptions used in interpreting the observations of hydrogen recombination lines are critically assessed to confirm the gradient of electron temperature with distance from the galactic center. The total temperature increase from 5 to 13 kpc is about 2,500 K. Among many suggestions, we have singled out the decrease of trace dement abundances with the galactoccntric distance as the most viable cause for the temperature gradient. This will impose an important constraint on evolutionary models of the Galaxy.
        4,000원
        6440.
        1980.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