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변태류 곤충에 있어서 각유충기의 구분은 두폭에 의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분포의 특성이 정의되지 않는 재래적 방법으로는 객관성이 보장되지 못하며 때로 령기의 판정조차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 각 령기의 두폭분포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 "d/w"비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쌀바구미 유충의 두폭분포를 이 비를 이용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예는 다른 곤충의 경우에 있어서도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focused to reveal mineralogical and petrochemical properties and the stratigraphy of the volcanic rocks along the downstream of the Hantan River in Choongaryong Rift Valley. The geological sequences of this area are as follows: The basement of this area consists of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Yeoncheon System. The Biotite Granodiorite of Jurassic age intruded into the Yeoncheon System in the eastern side of the area. Several small exposures of the basalt of post-Jurassic age, which was maned as $quot;Tongjae Basalt$quot;occur dispersely along the west slope of the valley. A conglomerate formation overlay the eroded surface of Tongjae Basalt and contains rounded and angular pebbles and is unconformable overlain by Lapilli Lithic Tuff. A basalt outcrop exposed as small an exposure near Jangtanri creek and intruded the Lithic Tuff, maned as : Jangtanri Basalt.$quot; Granite porphyry dikes intruded into the Lithic Tuff in Tongjae area. An Alkali Loivine Basalt of the Cenozoic Era with 3∼11 different eruptions flowed on the surfaces of the abouve mentioned Precambian metasedimentary rocks, Biotite Granodiorite, Lithic Tuff and Unconsolidated in the valley and formed marrow plateaus. The Alkali Basalt consists mainly of olivine, diopside, hypersthene and labradorite, and is called in this study as $quot;Jeongog Basalt$quot;. the age of the last flow is estimated as late Pleistocene or early Holocene.
우리나라 남부해안기후의 특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안지방인 부산, 여수, 목포를 준표준 내륙지방으로 광주와 대구, 인근 해양의 가덕도, 소리도, 홍도의 수온을 선정하여 20년 간(1960~1979)의 관측자료로서 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지방(부산, 여수, 목포)은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대구, 광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의 기온보다 높고, 수온이 기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보다 낮다. 2) 수온과 기온의 차에 따라서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기온차가 결정되며(상관계수 0.9이상) 그 양적 예측도 상관관계식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3)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도 기온의 경우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목포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안지방과 다르게 나타났다. 4) 수온과 기온의 차이에 따라서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가 결정된다(상관계수 0.9이상, 목포제외), 그러므로 그 양적 해석도 가능하다. 5) 남해안지방의 강수량은 내륙지방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가지과작물의 주요해충인 감자나방이 국내에서 정착발생되는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명태별 저온처리시험과 분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은 -10℃. 처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12℃. 24시간 처리에서 부화능력을 완전상실하였다. 2. 유충은 -5℃, 처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용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7℃. 96시간 처리에서 용화능력을 완전 상실하였다.
초 록
1975년 11월1977년 11월 사이에 광주지방의 논거미의 분포상과 계절적 밀도변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주산로 논거미로서 13과 24속 58종(7미확정종포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중 한국산 논거미로 2종, 광주산 논거미로 22종을 추가하였다. 2. Cornicularia vulgaris OL(쌍코뿔 애접시거미)는 한국미기록종이었다. 3. 광주산 논거미의 우세과는 Erigonidae와 Lycosidae이며 특히 Erigonidae는 타지방에 비해 단연 우세하였다. 4. 우점종은 Gnathonarium dentatum(WIDER)가 , Oedothorax insecticeps BOES. et STR.가 로 월등한 우점현상을 나타냈다. 5. 기지 수원, 대구에서는 우세과 Lycosidae, 우점종 Pirate subpiraticus(BOES. et STR.)인데 비해 본지방에서 는 우세과 Erigonidae 우점종 Gnathonarium dentatum(WIDER)로 남북관계 내지 동서현상이 보였다. 6. 계절적 밀도 변동은 월동전인 11월이 최고이고, 월동후인 3,4월이 최저이며 7,8월이 중간 Peak인W자형 분포상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