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대들의 연중행사로 가장 큰 발렌타인데이의 선물 포장디자인에 콘셉을 적용한 포장디자인으로 이들의 소비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09년 9월 9일 대경대학교 제과제빵학과 1학년 여학생 89명, 2학년 여학생 25명 총 114명을 대상으로 12시부터 14시까지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선물에 대한 일반적 질문에서 대부분 선물을 하는 편이었으며 구입 장소는 주로 전문매장과 할인매장이었다. 선물구입에 지출핸 금액은 1만원-3만원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선물에 있어서 98%이상이 선물 포장디자인이 꼭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비용을 부담해서라도 포장디자인을 하겠다는 응답자가 85% 이상으로 선물에 있어 포장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포장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디자인이었으며, 선호하는 색상은 빨강과 흰색, 하늘색이었다 선물 구입 시 포장디자인이 마음에 들면 비싸더라도 구입 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대부분이 구입한다는 응답을 한 결과로 보아 포장디자인이 구업에 직접적인 영향올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렌타인데이 선물포장디자인에 생화 사용이 생동감 표현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감성 질문에 있어 선물포장을 합으로 선물하는 이의 정성이 충분히 전해진다는 응답이 98%, 작품을 보고감성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자가 95%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발렌타인데이 콘셉을 적용한 선물포장디자인이 소비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als with chromaticism and dissonance as seen in Arnold Schoenberg's early Lied, 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 By espousing Edward T. Cone's idea of three dimensions consisting of harmonic language in tonal music, chordal vocabulary, succession, and progression, the paper distinguishes a radically chromatic idiom from a mild chromaticism that fits into traditional harmonic norms in the 18th to early 19th century. The former is originated from a discord between the three dimensions, whereas the latter marks an accord of the three. I have begun by summing up Schoenberg's own discussions of harmony as seen in his treatises Theory of Harmony and Structural Functions of Music for a logical clarification of his tonal idiom and then critically examined theoretical assumptions for Schenkerian background of the piece to suggest ways for modification. The opening passage shows a disagreement between chordal vocabulary, succession, and syntactical logics in stereotypical tonal idiom, while the second section features a harmony among the three dimensions. Exotic sound by whole-tone sonority proves to be adopted in traditional contexts of the tonal music. The rationales latent in harmony and disharmony among the dimensions have been cautiously considered in relation to poetic imagery of the text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