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1

        36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follows in quality and sewage exclusion method of the investigation objective sector and the Combined Sewer Overflows which is suitabl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fluence area against the rainfall initially a flow and the medulla and measurement - it analyzes the initial rainfall outflow possibility control plan which is suitable in the domestic actual condition and it proposes the monitor ring plan for the long-term flow and pollution load data accumulation.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 Infiltration water/Influent water and CSOs investigation it passes by the phase of hazard chain and Namwon right time 4 it does not hold reverse under selecting, Measurement it used the hazard automatic flow joint seal Sigma 910 machine and in case 15 minute interval of the I/I, it measured a flow at case 5, 15 minute standing of the CSOs. The water quality investigation for the water leakage investigation of the I/I and the sewage from the point which is identical with flow measurement during on-the-spot inspection duration against 6 items which include the BOD sampling and an analysis, when the rainfall analysis for CSOs fundamental investigation analyzed against 18 items which include the BOD sampling. Consequently, for the optimum interpretation invasion water / inflow water of the this investigation area day average․the lowest flow - water quality assessment veterinarian optimum interpretation hazard average per day - lowest flow - it averages a medulla evaluation law department one lowest flow evaluation technique and it selects, it presentation collectively from here it gets, position result with base flow analysis of invasion water / inflow water.
        36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복수의 충격응답함수를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복수의 충격응답함수를 유도하기 위해 경쟁적 충격응답함수라는 개념을 이용하였다. 이 개념에 따르면 각 충격응답함수는 관측된 유출의 모의에 선택되기 위해 서로 경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쟁적 충격응답의 개념은 정선, 영월, 영춘 및 충주댐 등 4개의 유역에 적용하였다. 각각의 유역에 대해 하나에서 세 개까지의 충격응답을 유도하고 아울러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
        36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의 유량 측정은 대부분 홍수 예보지역, 댐 상류지역, 대하천 및 유역내 주요 지점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중소하천과 소유역에 대한 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에서는 유역의 지형학적 매개 변수를 기반으로 강우-유출 현상을 해석하고 있으며, 특정 지점에 대해서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유역 내 모든 지점에 대한 유량을 모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GRM(Grid based R
        365.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ban watershed can be found in the visible changes in technology, the most realistic satellite images is to use the data. Satellite image data on the indicators for progress on the nature of the change of land use is consistent and repetitive information, regular observation makes possible the detailed analysis of space-time. These remote sensing techniques and the type of course and, by using the time series history, the past, the dynamic model and the randomized prediction methodology for the conversion process if the city and river basin cooperation of the space changes effectively will be able to extrapolate. For each of the main changes in river flow, depending on the area of urbanization as determined according to reproduce the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ization of the area and runoff can be represented as a linear polynomial expression was, if a linear expression in the two fast slew rate of 0.858 to 0.861 showed up, and fast slew rate of 0.934 to 0.974 for the polynomial are reported. Change of land use changes in the watershed of the flow is one of the most affecting elements. Therefore, changes in land use of the correct classification of rivers is a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the floodgate. In particular, using the Landsat images through the image of the land use category, land use past data and calculated using the Markov Chain model and predict the future land use plan in the water control project will be used for large likely.
        36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수자원 분야에서는 미래의 기후변화 및 용수이용 증대에 따른 안정적인 물공급이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한강수계의 경우, 수도권의 취수원인 팔당호 상류유역의 약 10 %에 해당하는 유역의 수자원량이 북한의 임남댐(저수용량 27억) 건설로 인하여 동해안으로 유역변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북한강 수계의 하천유량이 감소되었으나, 그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장기유출해석모형인 SWAT-K
        367.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정된 기간의 짧은 유출량 기록을 갖는 댐 유역에서의 수자원 시스템 거동예측은 수문학적 지속성여부에 대한 판단이 선행 되어야 하며 가용한 시계열자료에 대한 추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형 ARIMA모형을 통하여 안동댐 유역의 강우량, 증발량 및 유출량 시계열자료로 월별 수문시스템 거동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결과를 토대로 TANK모형과 ARIMA+TANK결합모형에 의한 장기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측자료의 특성을
        36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유출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되는 강우 관측 자료의 불확실성이 유량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형변수 검정의 불확실성 연구에서 사용하는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방법을 입력 자료 부분으로 확장하여 적용 하였다. 독일의 Weida 유역의 강우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적 및 비구조적인 불확실성 부분을 각각 구조적인 오차 수정 과정과 DUE (Data Uncertainty En
        36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Jeju island has depended a water resource on the underground water because of a poor development of the surface flow, Jeju island is in need of the surface resource development to prevent the future shortage of the underground water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and use of it. The study shows that the SWAT model(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is applied to estimate the outflow in the drainage watershed area, where it has been urbanized through the change of the land, such as a tourism development, cultivation, housing, and impervious layer road development. Near Oaedo watershed area in Jeju island, weather and topographical SWAT input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the outflow change of past and present.
        370.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scharge within the basin in Jeju Island was calculated by using SWAT model, which a Semi-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to the important rivers. The basin of Chunmi river of the eastern region of Jeju Island, as the result of correcting as utilizing direct runoff data of 2 surveys, appeared the similar value to the existing basin average runoff rate as 22% of average direct runoff rate for the applied period. The basin of Oaedo river of the northern region showed R2 of 0.93, RMSE of 14.92 and ME of 0.70 as the result of correcting as utilizing runoff data in the occurrence of 7 rainfalls. The basin of Ongpo river of the western region showed R2 of 0.86, RMSE of 0.62 and ME of 0.56 as the result of correcting as utilizing runoff data except for the period of flood in 2002~2003. Yeonoae river of the southern region showed R2 of 0.85, RMSE of 0.99 and ME of 0.83 as the result of correcting as utilizing runoff data of 2003.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runoff for the long term about 4 basins of Jeju Island from the above results, SWAT model wholly appears the excellent results about the long-term daily runoff simulation.
        37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pollutant runoff characteristics from non-point sources in Joman River basin. The present study contains analyzed results of rainfall and SS, BOD, COD, TN, TP runoff from Joman River basin. This study contains a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that affect the simulation results of rainfall and pollutants runoff. Result of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s that proportion of watershed and impervious areas is the most sensitive to peak discharge and total flowrate for rainfall runoff and that WASHPO is the most sensitive parameter for pollutants runoff. For parameter estimation and verification, flowrate and water quality is measured at the Kangdong Bridge in Haeban stream. A single rainfall event is use to perform parameter estimation and verificat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otal pollutant loads of Joman River basin is 11,600 ton of SS, 452 ton of BOD, 1,084 ton of COD, 515 ton of TN, and 49 ton of TP,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contribution ratio of non‐point source and total source is 89% of SS, 63% of BOD, 61% of COD, 21% of TN, and 32% of TP, respectively.
        372.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도시화 시험유역에 대한 기존 토사유출공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도시 시험유역의 실측자료와 모의기법 적용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용된 토사유출량 산정 모의공식으로는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 -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 -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활용하였다. 시험유역은 유역면적 약 3.81 로 면적대비 56 % 정
        373.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뢰도 높은 수질 모의를 위해서는 유역 내 정확한 유출 모의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방정식과 운동파 근사에 의한 Manning의 식이 결합된 비선형 저류방정식에 근거한 하도추적법과 금일 강수량을 고려하여 시간적으로 가중 평균된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도록 개선된 지표유출계산 모듈이 수질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대표적 준분포형 모형인 SWAT에 탑재하여 충주댐 유역에 적용하여 각 개선모듈별 독립적인 분석과 전체 개선의 효
        37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과 실시간 유출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개발한 분포형 강우 유출모형의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안동댐과 남강댐 유역에 대해 각각 우량계 관측자료와 레이더 관측 우량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전의 호우사상에 대한 유역 매개변수 보정 실시 후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다른 호우사상에 대해 모형을 적용하였다. 안동댐 유역에 대해 흐름 군집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다방향 흐름
        375.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과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의 적용과 분포형 모형 적용상의 약점인 계산시간 개선을 위해 비교적 간단한 수문과정 지배 방정식들을 이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작성하였다. DEM(Digital Elevation Model)를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변화에 따른 지형정보와 흐름정보의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모의수행 전처리 과정으로 가용한 고해상도 DEM 자료를
        376.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탱크모형과 PRMS(Precipitation Runoff Modeling-modular System) 모형으로 섬진강댐 유역의 유출량을 1981년부터 2001년까지 모의 발생하였다. 적용된 각각의 단일모형인 Tank 모형과 PRMS 모형에 의하여 모의된 유출량은 서로 상이한 모의 양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Tank 모형과 PRMS 모형과 같은 단일모형에 의하여 모의되는 유출량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관측유출량에 보다 잘 부합되는 유출모의결과를 생산하기
        377.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상 이변과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국지성 집중 호우 및 돌발홍수, 대형급 태풍 빈발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홍수예보와 방재 대책에 가장 기본이 되는 각 유역 특성별 수문 기초자료의 축적 및 분석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홍수시 큰 피해를 가져오는 도시지역의 수문 모니터링이 부족한 실정을 고려한다면 도시하천별, 소배수구역별 수문 관측 및 제공이 필요하다.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에서는 도시하천 유역의 수문현상 규명을 위한 기초정보 축적을 위
        378.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지(on-site) 빗물관리에 필요한 지붕면 누적유출용적 예측을 위한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건축물 지붕면은 좁은 면적으로 인해 기존 유출해석 기법의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지붕면 유출조건을 고려한 강우깊이(D)-누적유출용적(V)간의 이론적 관계식을 수립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실제 강우량과 지붕면의 유출용적을 측정하여 이론적 관계식으로 계산된 누적유출용적과 실측 누적유출용적 자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실측자료의
        379.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에 대한 준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 개의 다변량 통계기법인 주성분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연계한 매개변수 지역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109개 중권역 유역에 대해 7개 유역특성인자(유역면적, 평균표고, 평균경사, 산림면적비, 포화토양수분량, 포장용수량, 영구위조점)를 추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1, 2 성분이 전체자료의 82.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성분은 유역위치, 제2성분은 유
        380.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임진강유역은 유역의 2/3가 북한에 위치하고 있어 신뢰성 있는 강우 및 수문정보를 획득할 수 없었다는 점이 지금까지 홍수 피해를 가중시킨 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적으로 홍수피해를 겪고 있는 임진강유역의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임진강유역에 설치된 수문레이더를 활용하여 임진강 수계 전체에 대한 홍수유출을 모의하고자 하였다. 강우 및 최근 토양자료 등의 수문자료 확보가 곤란한 유역에 대하여 자체 개발한 분포형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