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system of regional resource circulation(RRC) of Asan-Si as a case region. So 301 farmers(members of producer organization) who are manag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EFA) are surveyed. The RRC system i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system of regional complex farming connected with the seedling farming and the livestock. The main results surveyed are as follows : First, total cultivated acreage is 574ha. Second, the total quantity of by-products of rices, beans, wheats is 983M/T. Third, the total quantity of nutrient requirement for seedling farming is 85,335.6kg This research shows how to develop the RRC system for EFA. The development model and strategies are as follows : The first model for the system of regional resource circulation can be called the scenario of the best output for the system of environmentally friendly resource circulation. It is consider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number of heads of Korean cattle and hen which can be bred simultaneously. And the second model can be called the scenario of the regional allotment for the appropriate number of heads of those. It is consider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number of heads of those which can be alloted by the individual farm or area.
계룡산(845m)은 전형적인 온대중부에 속하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으로 대표되는 2차식생이 발달한 지역으로 신원사, 갑사, 동학사등의 사찰과 관광단지 조성 후 식생의 보존상태 및 그 영향에 대하여 정밀한 조사가 미비하고, 자원식물의 분포양상과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계룡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식생의 보존상태와 귀화식물의 유입상태, 자원식물의 분포와 유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1998년 4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채집조사한 결과 소산식물은 3아문 4강 34목 100과 357속 584종 1아종 84변종 12품종 3잡종 등 총 68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유용식물자원 중 목초자원(forage source)은 277종류 (40.5%), 식용자원(edible source)은 261종류(38.2%), 약용자원(medicinal source)은 204종류(29.8%), 원예자원(ornamental source)은 80종류(11.7%), 목재자원 (timber source)은 20종류(2.9%), 공업용 자원(industrial raw material source)은 3종류(0.4%)의 기타 잡용자원 28종류(4.0%)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20과 27속 24종 5변종의 총 29종류로 소산식물의 약 4.2%이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산작약, 천마의 2종류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IV·V등급 식물은 12과 15속 14종 1변종의 총 15종류로 소산식 물의 약 2.2%이며, 또한 귀화식물은 13과 26속 30종 1변종의 총 31분류군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25종류의 13.7%이며, 소산식물의 4.5%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useful resources plants and the flora of Deogyusan. The flora of Deogyusan was investigated from April in 2002 to November in 2003.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 of total 549 taxa; 9 forma, 64 varieties, 476 species, 281 genera, 90 families. It corresponds to 13.5% of totally 4,071 taxa appeared in Korea. Useful plants of this area were investigated 399 taxa. It corresponds to 72.5% of collected plants in this area under our study. Among the useful plants, there are 205 taxa of edible source, 179 taxa of pasture source, 159 taxa of medicinal source, 70 taxa of ornamental source, 15 taxa of timber, and 17 taxa of industrial raw materials.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18 families, 23 genera, 19 species, 4 varieties and totaling 25 taxa.
본 연구는 들깨의 기내배양에서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의 최적조건의 구명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분화에 요구되어지는 생장조절물질은 다른 종 및 수집장소, 혹은 인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수집종들 사이에서도 서로 차이가 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들깨의 식물체 형성에 있어서 각 계통 간 기내배양에서의 TDZ와 BAP의 처리에 따른 재분화율은 Kocf (한국산 들깨 재배형)의 경우에서는 1.0 mg/l의 BAP와 TDZ을 처리한 경우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으나 Kowf (한국산 들깨 잡초형)은 저농도의 (0.1 mg/l) BAP와 TDZ을 첨가한 경우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다. 차조기 의 경우에서는 BAP를 첨가할 경우 고농도에서 신초형성수가 우수한 반면 TDZ을 첨가할 경우에는 저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다. 조합처리에서는 TDZ 1.0 mg/l와 IAA 0.5 mg/l를 조합처리된 배지에서 캘러스 형성율도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신초 형성이나 뿌리 유도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이 필요로 하는 탄소원 외에 배지 내의 삼투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ucrose의 농도에 따른 재분화율은 캘러스 형성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shoot 형성이나 배발생캘러스 형성에서 3%의 sucrose의 농도에서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재분화 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모든 배지에서 높은 캘러스형성율은 보였지만 완전한 식물체로의 분화는 MS 배지에서 조사되었다. Polyamine을 처리한 결과 spermine, spermidine의 경우에서는 고농도(10 mg/l)로 사용할 경우에 양호한 재분화율을 나타낸 반면 putrescine의 경우에는 5 mg/l로 첨가한 경우 가장 양호한 신초 형성수를 나타내었다. 호르몬의 첨가 없이 기본배지의 macro elements를 조절하였을 경우와 호르몬을 첨가 했을때의 재분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캘러스 형성및 shoot 형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기본배지의 macro elements를 조절한 배지에서 배발생캘러스 형성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inciple of rural village planning process based on rural resources, differently space planning process(regional planning, village planning, urban planning etc). The importance of this planning process is resources planning, facility planning, program planning. So we planed rural villages - two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planning we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consider economic value of rural resources. Second, resources we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village conditions, though same it. It is important to apply value-added it. Third, in future we have to additional studies; environment planning factor, community participation, resources evaluation in this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