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볼링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볼링선수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234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 12.0을 통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위해 다중회기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남자가 스스로 연습방법과 의사를 결정 할 수 있는 민주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대학부는 훈련지도성요인과 민주성요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부는 배려성과 긍정적 보상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2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그룹이 긍정적보상성 리더십요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권위적인 지도행동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요인이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지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가 높아지고, 권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는 낮아진다. 그리고 선수와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효과가 많을수록 지도자선호도도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는 리더십 행동유형, 커뮤니케이션효과, 지도자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 하였다.
최근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층 더 수준 높은 디지털 영상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가상현실에서 캐릭터는 사용자를 대신하거나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캐릭터의 움직임은 캐릭터에게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고, 이를 통해 캐릭터는 각종 의사와 감성을 드러낸다. 캐릭터의 감성적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laban이 제안한 움직임의 속성 요소인 시간, 공간, 흐름의 변화를 바탕으로 근원적인 움직임 재료를 만들고, 이를 Plutchik의 정서 동그라미 내에 배치함으로써 움직임 요소와 그에 따라 전달되는 감성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움직임을 구성하는 9개의 동작요소들이 각각 특정한 정서를 일관되게 드러낸다는 것과 표현하는 정서의 강도에도 단계적으로 뚜렷한 영향력을 드러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