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여자프로볼링선수들의 경기 전과 경기 중에 일어나는 심리적 방해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러한 방해요인에 대한 대응 극복전략으로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는지를 질적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해 여자프로볼링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한국프로볼링협회(KLPBA)에 소속되어 있는 12명의 여자프로볼링선수들로 2008년도 상금랭킹 1위에서 20위 이내선수들로 선정하였다. 여자프로볼링선수들의 경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대응 극복전략을 규명하기 위해 이우만(1999)의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여자프로볼링선수들에게 적합하도록 재수정한 64개의 질문 문항 및 개방형 문항에서 이근춘(2000)이 세부영역과 일반영역의 분류를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선수들이 다양한 방해요인 부정적 사고, 정신집중 또는 주의집중 저하, 컨디션, 시합전의 불안·긴장·흥분, 자신감 결여, 슬럼프, 지나친 자신감, 승리에 대한 압박감, 의욕상실과 동기저하, 타이밍·리듬·밸런스의 문제, 경기 중 볼링 볼 및 구질 선택의 착오, 전술 및 전략 부족 등이 있었으며, 대응 극복전략으로는 대안적 행동, 이미지 트레이닝, 자기조절, 자아대화, 신앙의지, 목표수정, 긍정적 사고, 적극적 행동, 전략, 지도자의 도움, 주의집중, 기분전환, 연습조절, 과제최선, 휴식, 전문가의 도움 등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 프로볼링선수들은 많은 심리적 방해요인들로 인하여 경기 전 경기 중에 심리적 방해를 많이 받고 있으나 선수들은 자신의 심리적 장단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에게 알맞은 대처방안을 사용하여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볼링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볼링선수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234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 12.0을 통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위해 다중회기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남자가 스스로 연습방법과 의사를 결정 할 수 있는 민주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대학부는 훈련지도성요인과 민주성요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부는 배려성과 긍정적 보상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2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그룹이 긍정적보상성 리더십요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권위적인 지도행동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요인이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지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가 높아지고, 권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는 낮아진다. 그리고 선수와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효과가 많을수록 지도자선호도도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는 리더십 행동유형, 커뮤니케이션효과, 지도자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