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09

        114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노실리카가 코팅된 유리 표면은 나노실리카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 수산기로 인해 방담성 이 매우 증가하나, 실외에 설치된 유리에 코팅된 경우는 비에 의해 씻겨 나가 방담 특성의 내구성이 급 격히 감소한다. 또한 나노실리카가 코팅된 유리 표면의 토폴로지는 광투과율 또는 반사방지 특성을 좌우 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나노실리카 코팅의 특성에 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교제 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TEOS)를 사용하여 나노실리카 (Ludox) 현탁액으로 친수성 나노실리카 피막을 제조하였다. 산성 또는 염기성 수용액 중에서의 TEOS의 가수 분해 최적 조건도 물에 대한 접촉 각 측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산성 또는 염기성 수용액 중에서의 TEOS의 가수 분해 최적 조건도 물에 대한 접촉 각 측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pH=4의 산성 조건에서 1.5 wt% 나노실리카-TEOS 코팅액으로 얻은 최종 투명한 친수성 코팅층은 매우 향상된 친수성에 대한 내구성뿐만 아니라, 코팅하지 않은 유리에 비해 약 2 % 포인트 정도 높은 가시광투과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4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contains anthocyanin, tannins, gallotannin, gallic acid, ferulic acid and phenolics. It brightens the eyes and protects the liver and kidneys. It was effective for anti-ag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the excellence of black raspberry and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In this study, bioactive compounds in black raspberry were determined. Additionally, black raspberry was extracted by CM (chloroform:methanol, 2:1, v/v), 70% methanol and 70% ethanol, an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vitro method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compare each different solvents.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were th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s,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When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aspberry was supposed to affect by the anthocyanin,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4,000원
        114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 CO를 생산하기 위해 저급 석탄-CO2 촉매 가스화 실험을 수행하였 다. 제조된 CO가스 특성은 키데코 탄과 신화 탄에 KOH, K2CO3, Na2CO3 촉매들의 화학적 활성화 방 법을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CO 제조공정은 석탄과 화학약품 활성화 비율, 가스 유량, CO2 전환 반응온 도와 같은 실험 변수 분석을 통해 최적화되었다. 제조된 합성 가스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에 의해 분석 되었다. 실험조건 T = 950 °C, CO2 유량 100 cc/min에서, 20 wt% Na2CO3가 혼합된 키데코 탄 에 대해 98.6%, 20 wt% KOH가 혼합된 신화탄에 대한 98.9% CO2 전환율을 얻었다. 또한, 저급 석탄-촉매 가스화 반응은 동일한 공급 비와 반응 조건에서 97.8%, 98.8%의 CO 선택도를 얻었다.
        4,000원
        114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reusability of costly guard column by ultrasonic. It also investigated various effects that affect to guard column generation by ultrasonic. When investigated 30 KHz of frequency, area of ascorbic acid is 73.0% compared to unused guard column.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effect of pH, guard column by ultrasonic is effective at alkali area.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solvent effect, when ethanol is used, generation rate is 81.9% as of peak area compared to the case of analysis in un used column. From the result, it indicates that regenerated guard by ultrasonic is reusable.
        4,000원
        114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tergency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mixed anionic surfactants with amphoteric and nonionic were investigated.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d ammonium dodecyl sulfate (ADS) as anionic surfactants and cocamidopropyl betaine (CAPB) as an amphoteric surfactant were used. Nonionic surfactants, which are butyl glucoside (BG), octyl glucoside (OG), decyl glucoside (DG), lauryl dimethylamine oxide (AO) and saponin were also used. To study the synergy effects of mixed SDS/ADS anionic surfactant systems, amphoteric and nonionic surfactants were added into the mixed anionic surfactants. Investigated properties of surfactant mixtures wer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surface tension (γ), wettability. In addition, based on these properties, detergency of each sample was examined. Surfactant mixtures are anionics (SDS/ADS), anionic/amphoteric/nonionic (SDS/ADS/CAPB/ saponin), and anionic/nonionic (SDS/ADS/BG/saponin, SDS/ADS/OG/saponin, SDS/ADS/ DG/saponin, and SDS/ADS/AO/saponin). With the addition of amphoteric and nonionic to mixed anionic surfactants, CMC and γ were decreased. Addition of CAPB, which is amphoteric, showed the best property at CMC and γ. Furthermore, as the chain length of hydrocarbon in alkyl glucosides was increased, the CMC and γ were enhanced. However, the wettability did not exactly match up with CMC and γ. The surfactant mixture, which contained DG,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t wetting time. Detergency was measured at various temperatures (15 oC, 30 oC, 50 oC). The cleaning performance was enhanced by increasing washing temperature. Moreover, detergency was influenced by not only CMC and γ but also wettability. Although CMC and γ were not minimum at surfactant mixture that included DG, the best cleaning performance showed in that sample.
        4,000원
        114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리 아연 금속합금의 산화 환원 반응과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흡착 반응을 이용한 폐수 중 중금속 처리에 관한 연구이다.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구리 아연 금속합금이 수용액 중에 서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아연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중금속은 환원 처리되고, 이온화 된 아연 및 미 반응 중금속은 흡착 처리하여 제거하는 연구이다.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금속합금 물질은 표면적이 커서 1회 처리만으로도 반응 평형에 도달하게 하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크롬(Cr+3)은 redox 반응 1 회 처리만으로도 100.0 % 제거 되었으며, 수은은 98.0 %, 주석 92.0 %, 구리는 91.4 % 정도 제거되었 다. 카드뮴, 니켈, 납도 각각 40.0 %, 50.0 %, 58.0 %가 제거 되었다. 크롬(Cr+3)은 아연과 이온화 경향 차이가 거의 없지만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3가 크롬은 이온 상태로 존재하면 redox 반응에서 발생한 OH- 이온과 결합하여 수산화물 침전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dox 반응 후 증 가한 아연 및 미반응 중금속 농도를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1회 통과하여 거의 100.0 % 제거할 수 있었 다. 이는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비표면적이 크고 금속 이온의 흡착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반응 후 알루미늄 이온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온 교환이 아닌 흡착으로 아연 및 중금속 이 온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4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eptozotocin(STZ)을 45mg/kg, body weight(b.w)의 용량으로 흰쥐의 미정맥에 투여 한 후 유발된 당뇨 흰쥐에게 우엉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1일 1회 7일간 1,000mg/kg,bw의 용량으로 투여하고 항산화작용에 관여하는 glutathione-s-transferase(GST), catalase(CAT), glutathioneperoxidase (GSH-Px)활성과 malondialdehyde(MDA)와 glutathione(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우엉 뿌리 에탄올 추추물 투여군에서 MDA 함량, CAT와 GSH-Px 활성 등의 유의적인 감소(p<0.05)를, GSH 함량과 GST 활성은 유의적인 증가(p<0.05)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우엉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개선효 과를 갖는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4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알킬체인의 길이가 서로 다른 benzyltrialkylammonium chloride계 화합물을 합성하여 리포좀 제조에 응용하였다. 제조된 리포좀의 평균 입도분포, 제타전위, 방출거동 및 항균성을 조사하였으며, 사슬 길이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리포좀의 평균 입도는 120~140 nm의 크기분포를 가졌으며 소수성 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큰 입 자크기를 가졌다. 리포좀 용액의 제타전위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enzyltrialkylammonium chloride를 첨가함에 따라 +80~90 mV의 값을 가지며 향상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방출거동에서는 사슬 길이에 따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긴 사슬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리포좀은 증가된 서방형 방출특 성을 보였다. 또한, 리포좀의 포집효율은 25.9~27.5% 이었다.
        4,000원
        114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sized hollow silica was prepared by Stӧber method in the presence of aluminum isopropoxide. The mixture of polyelectrolytes such as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PSS) and polyacrylic acid(PAA) were used as templates. Tetraethylorthosilicate(TEOS) and aluminum isopropoxide were used as precursors for silica and alumina, respectively. The function of aluminum isopropoxide is to increase the porosity of silica shell. The characterizations of hollow silica were examined by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BET(Brunauer Emmett Teller),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 and FT-IR spectrum. It was found that the shell thickness of hollow silica was around 8 nm and the core diameter was around 20 nm by TEM.
        4,000원
        115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rinking water containing trimethyl glycine or ascorb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arameter profiles of duck exposed to scorching heat stress. A total of 480 du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eight experiment groups for 42 days : control group C with general water, treatment group 1 (T1)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100 ppm ascorbic acid, treatment group 2 (T2)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200 ppm ascorbic acid, treatment group 3 (T3)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300 ppm ascorbic acid, treatment group 4 (T4)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400 ppm trimethyl glycine, treatment group 5 (T5)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800 ppm trimethyl glycine, treatment group 6 (T6)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1,200 ppm trimethyl glycine, treatment group 7 (T7) with electrolytes of KCl (0.5%) + NaHCO3 (1.0%)+NaCl (0.5%).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body weights and feed intakes of treatment groups, especially T3 and T6,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 as the feed conversion ratios of treatment groups were decreased (p<0.05).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 glucose, AST, ALT and pH in treatment groups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Blood levels of red blood cell, platelets profiles, electrolyte and gas in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4,000원
        115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속 산화물과 혼합한 Pt-Sn/Al2O3 촉매의 프로판 탈수소 반응 성능의 향상 가능성에 대해 서 연구하였다. 금속 산화물로서 Cu-Mn/γ-Al2O3, Ni-Mn/γ-Al2O3, Cu/α-Al2O3를 제조하여 Pt-Sn/Al2O3 촉매와 혼합하고, 프로판 탈수소 반응 성능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들을 불활성 물질인 glass bead를 혼합한 Pt-Sn/Al2O3 촉매를 기준샘플로 삼아 비교하였다. 촉매와 금속산화물을 환원처리 하지 않고 반응 실험한 경우, 576.5℃에서 기준샘플의 전환율 8% 대비, Cu-Mn/γ-Al2O3를 혼합한 Pt-Sn/Al2O3 촉매가 14.9%의 높은 전환율과 96.8%의 선택도를 보였다. 촉매와 금속산화물을 환원 처 리하여 반응활성을 측정한 경우, Cu/α-Al2O3과 Pt-Sn/Al2O3의 혼합촉매가 기준샘플대비 초기에 높은 수율을 보였다. 그러나, 촉매를 환원 처리한 경우 전반적으로 전환율 상승이 크지 않았고, 이것으로 Cu-Mn/γ-Al2O3의 격자산소가 탈수소반응의 전환율 증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5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including mineral, vitam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in Korean yam (Dioscorea batatas DECNE.). Carbohydrate (68.1%) possessed the large single constituent of yam. Small amounts of crude protein (16.9%), crude ash (5.8%) and crude fat (2.0%) contents were found. Yam was found to be good sources of essential minerals such as K (1295.5 mg/100 g), Mg (115.3 mg/100 g), Na (99.0 mg/100 g) and Ca (56.5 mg/100 g) but Zn (0.3 mg/100 g) content was low. Relatively abundant vitamin B1 (11.5 mg/100g) could be observed while vitamin A, B3 and B6 were not found. The amino acid analysis revealed that the yam was superior with respect to glutamic acid (1770.6 mg%), lysine (1210.6 mg%) and urea (550.9 mg%). Essential amino acids were calculated to be 2954.5 mg%. The amino acid profiles showed that yam to be limiting in valine and leusine. Palmit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the most predominant fatty acids with the value of 31.5% and 41.5%, respectively. And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cluding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present in a large quantities in yam. And it also contained higher amou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compared saturated fatty acids.
        4,000원
        115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에서 나노 알루미나와 마그네지아의 첨가에 의한 304 스테인레스 스틸에 170 ℃ 2시간 열 경화시켰다. 레이저유도 분광학에 의한 코팅된 시료를 전하결합 장치와 SEM을 활용한 장치를 설계 하여 시험 측정하였다. 이 결과 나노 알루미나와 마그네지아가 함유된 세라믹 코팅이 나노 무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보다 부착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산용액속에서 시료의 질량감소의 변화가 매우 작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304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부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료가 코 팅되었으며, 분석공정이 설계되어 고분해능 CCD와 함께 분석되었다. 요즈음, 스테인레스 스틸의 코팅은 산업에 특이응용이 발전됨에 따라 위생학, 우주항공, 기기장치, 관측 등의 분야 등에 산업적 요구가 증 가되고 있다.
        4,000원
        115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기오염에 관한 관심은 국내·외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자동차와 연료분야 연구자 들은 청정 (친환경 대체연료) 연료와 연료품질 향상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엔진 설계, 혁신적인 후 처리 시스템 등의 많은 방법으로 차량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배출 가스 및 가솔린 차량의 PM 입자 배출 두 가지 이슈로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미규제 물 질, PM (입자상 물질) 입자는 환경오염과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자동차 배 출가스의 주요 물질인 입자상 물질은 작은 입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은 크기 때문에, 흡입된 입자는 쉽게 폐 깊숙이 침투 할 수 있다. 이 입자의 거친 표면들은 대기중에서 다른 독성 물질과 결합하기가 쉽다. 따라서 입자흡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함산소 연료첨가제 유형 (MTBE, 바이오 ETBE, 바이오 에 탄올, 바이오 부탄올)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가솔린 자동차 배출가스 및 미규제 물질, 나노입자 배출에 산소함량의 영향을 토론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두 가지 시험모드를 사용하여 배출가스 특성을 평가하 였다. 시험모드는 FTP-75 및 HWFET 모드이었다.전체 측정항목에서 배출가스 규제 값보다 적게 배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산소함량이 증가하 면서 측정항목에 따라 증감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115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암의 치료제로 사용된 약초인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 성과 항노화 효능을 검증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0 g 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2 g의 높은 caffeic acid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총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100 g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7 g의 quercetin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와송 추출물 1%의 농도에서 79.7%의 높은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와송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측정 결과 25 μg/mL, 50 μg/mL 농도에서 control과 유사한 MMP-1 발현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임상실험결과 와송 추출물 함유 화장품 사용군의 수 분함량은 오른쪽 볼과 코, 턱의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상적인 피부의 유분 함량 과 pH를 유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와송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노화 효능을 가진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4,500원
        115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불용성전극을 개발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 하였다. 이리듐을 주촉매로 사용하여 하수슬러지 가용화에 적합한 촉매를 선정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하수슬러지 전기분해에 적합한 기능성 전극 실험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극의 코팅 소성온도를 주 촉매인 Ir의 질량감소가 적고, 흡열반응 구간인 300℃부터 500℃까지의 범위로 선정하고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350℃에서 촉매의 효율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왔다. 각각의 바인더 별(Ta, Sn, W) 실험에서도 350℃에서 가장 큰 촉매효율성이 나타났다. 바인더로 사용한 탄탈럼, 주석, 텅스텐 중 탄탈럼이 다른 금속보다 주 촉매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며 전극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 였다. 50%IrO2 전극의 경우 1.4 V(vs. Ag/AgCl) 약 29 mA/cm2 의 전류가 발생하여 전극의 효율을 평 가하였다.
        4,000원
        115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active compound and antioxidant property of Korean yam (Dioscorea batatas DECNE.) were studied using in vitro methods. Yam available in Korea was analyzed for lycopene, chlorophyll a, b, tannin, phytic acid and total saponin contents. 70% Methanol, 70% ethanol and chloroform–methanol mixture (CM, 2:1, v/v) were used to extract yam. Then the antioxidant activity evaluated through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β-carotene bleaching metho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itric oxide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0%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M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on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evaluated by β-carotene bleaching assay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ssa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yam is a potential active ingredient that could be applied in antioxidation as well as bio-health functional food to take a good part in prevention of human diseases and aging.
        4,000원
        115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수유 종자 추출물의 천연 방부제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활성 및 화장품 방부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산수유 종자는 각각 1,3-부틸렌글리콜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Paper disc method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산수유 종자 1,3-부틸렌글리콜 추출물(COS-A)이 여드름균에대해 26.7±4.0mm로 가장 높았다. 최소저해농도(MIC) 측정 결과 산수유 종자 에탄올 추출 물(COS-B)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S. epidermidis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에멀션에서의 방부효능 평가 를 위해 Challenge test를 실시한 결과 COS-A와 COS-B를 첨가한 에멀션에서 균 접종 7일 후 피부상 재균이 100% 사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수유 종자 추출물이 화장품에서 합성방부제를 대체할 천연 방부제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5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yam (Dioscorea batatas DECNE.) by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including 70% methanol, 70% ethanol and chloroform–methanol mixture (CM, 2:1, v/v). Raw yam was analyzed for its color property,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Yam possessed high L* value and H° value, which were 81.64±2.59 and 83.36±0.15, respectively. Raw yam was found to have great antioxidant activity evaluated through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Total phenol contents of various extracts from raw yam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70% methanol extract (37.62±0.88 mg CAE/g), 70% ethanol extract (43.38±0.66 mg CAE/g) and CM extract (67.17±0.12 mg CAE/g), respectively. The same trend was also could be found i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s. These results implied that Korean yam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oxidation and serve as the bio-health functional food to take a good part in prevention of human diseases and aging.
        4,000원
        116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금의 주요 성분인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인 이소플라본의 피부 미용 측면에서 생리활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을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 및 항염증을 확인하고, HPLC을 이용하여 대두 추출물의 성분분석과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과 유분, 홍반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커큐민이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8주 동안 커큐민과 대두 추 출물이 함유된 화장품과 식이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을 때 수분함량 변화, 유분함량 변화, 홍반 지수의 감 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여드름 피부에 유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 사용 시 여드름 피부 개선에 효과적인 화 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