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암의 치료제로 사용된 약초인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 성과 항노화 효능을 검증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0 g 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2 g의 높은 caffeic acid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총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100 g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7 g의 quercetin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와송 추출물 1%의 농도에서 79.7%의 높은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와송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측정 결과 25 μg/mL, 50 μg/mL 농도에서 control과 유사한 MMP-1 발현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임상실험결과 와송 추출물 함유 화장품 사용군의 수 분함량은 오른쪽 볼과 코, 턱의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상적인 피부의 유분 함량 과 pH를 유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와송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노화 효능을 가진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4,5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kebia quinata fruit(AQF), a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paper, polyphenols and other phenolic components of saponin also has similar or higher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well-known for soothing, anti-oxidizing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moisture, sebum, melanin, erythema content of facial skin. As a result of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examine independent anti-oxidation of AQF, there was a slight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before the usage of cream, a group who used cream with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showed a very slight in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and slight decrease in the sebum, melanin, erythema on their faces after 4 weeks of tests, indicating that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und. This study proves that the akebia quinata fruit(AQF) extra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improvement of facial skin and italso implies that the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has high potential as an ingredient of cosmetic products.
        4,300원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은행잎에서 유래된 ginkgetin과 isoginkgetin을 피부 미용 측면에서 생리활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Ginkgetin과 isoginkgetin을 분리하여 세포 독성 실험을 통해 5 μM 이하 농도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NO 저해능 실험에서 ginkgetin이 isoginkgetin보다 더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냈고 iNOS, IL-1b, IL-6 등 염증 인자의 mRNA 발현은 감소되었으나,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는 거의 없었다. MMP-1 발현 저해활성은 isoginkgetin이 더 우수했고 그 기작은 JNK 활성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멜라닌 생성 저해능은 알부틴 보다 우수하였으며, 그 기작은 MITF와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는 것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은행잎 추출물 유래 ginkgetin과 isoginkgetin은 세포독성이 다소 나타났으나, 주름개선과 미백 화장품의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4.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핵시험은 세포분열 단계 중 간기 세포의 세포질 내 소핵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유전독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이다. 최근 화장품 안전성 평가에 동물실험을 금지하거나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어 유전독성 평가에 있어서도 기존의 동물실험이 아닌 새로운 in vitro 시험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배양 인공피부모델인 KeraSkinTM을 이용하여 도포 처치된 물질의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2종의 유전독성물질인 mitomycin C (MMC)와 methyl methanesulfonate (MMS)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과 소핵 형성이 유도 된 반면, 대조물질인 4-nitrophenol (4-NP)와 trichloroethylene (TCE)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은 관찰되었으나 소핵은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소핵시험이 화장품과 같은 피부적용물질 의 in vitro 유전독성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rsythiae Fructus is an oriental medicine containing various lignans. In this study, the Forsythiae Fructus were extracted by hot water (Sample 1), hot water after bio-conversion using Lactobacillus strain (Sample 2-LP2, 2-LA, 2-LC, 2-LL, 2-BL and 2-LM) and 70% ethanol (Sample 3).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bio-conversion process using Lactobacillus strain, compared to water extract. Especially, sample 2-LL and 2-LA which had shown the hig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in antioxidant activity. Also, sample 2-LL and 2-LA showed higher melanin generation inhibitory activity as of 55%, 53% in maximum extract concentration of 100μg/ml. In the anti-inflammation test of the Forsythiae Fructus extracts, nitric oxide (NO) synthesis was inhibited. Specially, both 70% Forsythiae Fructus ethanol extract and sample 2-BL which have shown the relatively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Forsythiae Fructus extracts with bio-conversion process has effect of skin whitening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I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materials for functional cosmetics.
        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me fructus is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mume fructus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 (sample1), fermentation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ample2-LP and sample-LA) and ethanol extract (sample3).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water extract. Sample 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DPPH radical scavenging. The cytotoxicity of the sample 2-LP was in the range of 83.3% cell viability at 300μg/ml concentration. Mume fructus extra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hibited melanogenesis and NO synthesis was inhibited.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lantarum (sample2-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It suggests that sample 2-LP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materials for functional cosmetics.
        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proteoglycan)의 성분분석과 분자량 측정 및 피부보습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리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 결과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는 당 성분(%)은 galactose(46.8), glucuronic acid (27.1), rhamnose (8.7), xylose (7.6), glucose (4.9), fructose (2.3), mannose (1.8), arabinose(0.9)로 확인되었으며,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31.3 mg/g으로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mg/g)은 Asp (1.9), Glu(3.6), Ser (0.9), Gly (3.6), Thr (0.8), Arg (1.0), Ala (2.0), Tyr (0.4), Cys (4.8), Val (1.1), Phe (0.5), Ile (0.6), Leu(0.9)로 확인 되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0 ~ 250,000 Da로 분자량 분포에 의한 평균 분자량은 170,000 Da이었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적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아 씨앗의 다당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를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 oxyphenyltrizine; BEMT)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기능성 원료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UVA와 UVB의 화학적 자외선 흡수제이다. 그러나 BEMT는 실제 적용에 있어 여러 가지 결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EMT가 적용된 고형지질나노입자(BEMT- SLN)의 자외선차단제품 응용에 있다.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입도는 약 330 nm, 봉입율은 93.3 %, 결정화지표는 4.3 %였다. In vitro 방출 및 투과 실험 결과에서, BEMT는 SLN보다 O/W 에멀젼이 대체로 높았다. In vivo 실험에서 SLN의 BEMT 방출비는 80 % 감소하였다. 또한 in vitro UV 방어 효과 실험에서 SLN이 적용된 처방의 자외선방어지수(SPF) 값은 약 2.5배 증가하였다. 결국 SLN은 BEMT를 효과적으로 봉입하고 있었으며, 자외선 차단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