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웅취는 돼지고기의 이취로서 소비자의 소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웅취는 거세를 하지 않은 수퇘지의 지방조직에 안드로스테 논, 스카톨 및 인돌과 같은 호르몬의 축적으로 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웅취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과 성장 및 번식 형질간의 유전상관도 를 추정하고 동물복지측면에서 웅취 호르몬이 낮은 수퇘지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3개 품종, Duroc, Landrace, Yorskhire 517두를 공시돈으로 수행하였다. 웅취 호르몬 분석을 위한 샘플채취는 수퇘지의 목부위 지방을 바이옵시 방식으로 채취하여 각 품종별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및 인돌을 분석하였다. 안드로스테논 분석 결과, Duroc 품종이 1.684 ug/g으로 가장 높았고, 타 품종은 0.875-0.920 ug/g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스카톨의 농도는 Yorskhire가 0.095 ug/g으로 가장 높았고 인돌은 Duroc이 0.058 ug/g으로 가장 높았다. 품종과 개체에 따라서 3종류 웅취 호르몬의 농도 차이는 매우 컸다.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및 인돌의 유전력은 0.40, 0.17 및 0.01으로, 안드로스테논의 유전력이 가장 높았다. 웅취 호르몬 농도와 다른 경제 형질(성장 및 번식 형질) 사이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나, 웅취 농도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았다. 웅취 호르몬의 농도가 유전력도 높고 개체별 차이가 크고 다른 경제 형질과의 유전적 상관도가 낮기 때문에, 육종을 통한 저 웅취 부계 종돈 작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latability index for evaluating taste quality of pork through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fatty acids and taste related factors.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taste evaluation among varieties showed that the taste quality of Duroc pork was the best.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ty acids and taste evaluation factors. Saturated fatty acids (SFAs) and oleic acid increased the sweetness and savory taste, the preferred flavors, while sourness and bitterness, the non-preferred flavors, decreased, and thus positively affecting the tast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aste by decreasing their preferred taste while increasing their non-preferred taste.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between fatty acid and five taste factors showed that stearic acid and oleic acid increased the sweetness and savory taste, while myristic acid decreased the bitterness. Linolenic acid was found to be negatively affecting the taste by increasing non-preferred flavors. In conclusion, SFAs,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found to b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taste of pork.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ex to produce delicious pork for pig producers as well as help consumers to trust and purchase high quality domestic pork.
        4,0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6년동안 전남 영광소재 N종돈장에서 검정된 23,213두의 산육형질을 활용하여 유전모수 및 유전적 추세를 추정하므로서 돼지 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유전모수는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품종별 성장형질에 대한 유전력의 범위를 살펴보면, 일당증체량은 0.30~0.31로 추정되었고, 등지방두께는 0.39~0.60 및 90kg 도달일령은 0.37~0.45로 추정되었다.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 및 90kg 도달일령의 유전상관의 품종별 범위는 각각 -0.07~0.13과 -0.98~-0.90으로 추정되었다. 등지방두께와 90kg도달일령은 -0.16~0.04로 추정되어 저도의 상관도를 보였다. 특히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는 2009년 이후에 태어난 개체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90kg도달일령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4.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의 정장은 정관, 정소상체와 부생식선으로부터의 분비물로 구성된다. 정자는 정소에서 생성되어 정소상체에서 성숙하고, 사출되는 과정에서 부생식선으로 분비되는 다양한 성분 들 과의 접촉 한다. 자연교배시 정장은 사출된 정자와 같이 암컷의 생식기도에 도달하여 생리 학적 및 면역학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장성분의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정자의 수정능 획득 기작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과 프로테옴(단백질체학)의 연구기법들을 활 용하여 수정율에 증가에 관련된 marker들을 발견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궁극적으 로 종모우의 수정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정자의 수정능 획득시 정자의 세포막에는 지 질 구성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정자의 세포막에서 콜레스테롤이 배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되어 왔다. 배출되는 콜레스테롤은 정장 단백질이나 난관세포로 이행된다. 본 연구는 수정 능 획득과 콜레스테롤의 배출 기작에 관련된 정장 단백질들을 한우와 칡소의 정장에서 동 정하여 수정률향상을 위한 marker들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정장단백질 중에서 정자의 콜레스테롤 배출과 관련되어 수정능획득에 영향을 미치 는 정장단백질들로서 BSP-30 및 spermadhesin Z13 등이 보고되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 우 4 두와 (3 두: 한우시험장, 1 두: 전라북도 축산시험장)와 칡소 3 두 (2 두: 전라북도 축 산시험장, 1 두: 유전자원시험장)에서 정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분리하였다. 정장은 단백질 정량 후 SDS-PAGE 방법으로 1차원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분리된 단백질들 을 비교하였고, 특이 단백질 밴드를 동정하였다. 그 이후 2차원 전기영동으로 정장 단백질 을 분리하고 PDQuest 프로그램으로 spot들을 분석하였으며, 특이 단백질들을 동정하였다. 1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 후 동정된 소의 정장 단백질은 plasma serine protease inhibitor 였고, 2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 후 동정된 소의 정장 단백질들은 Pdc-109, BSP-30, seminal plasma protein A3, spermadhesin Z13 및 spermadhesin-1(aSFP)이었다. 일부 동정된 단백질들은 발현된 양과 위치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들 단백질 중에서 Pdc-109, BSP-30, seminal plasma protein A3는 수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spermadhesin Z13와 spermadhesin- 1(aSFP)는 수정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 반으로 이들 정장 단백질의 발현양상과 유전자들의 변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 장 단백질의 작용기작을 조절하면 소의 수정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는 농촌진흥청 차세대 바이오그린21사업(과제번호: PJ008047)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 진 것임.
        5.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mixed probiotic on the immunity, productivity index and mortality rate in the broiler. Total of 120 one-day-old Ross broilers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treatments (control dietary group and probiotic-treated group) with three replications of each treatment. The probiotic group broiler had a lower mortality rate than contro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productivity index in the probiotic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The weight of the bursa of fabricius was high in the probiotic-treat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ctivated the immunity level after fed the probiotic mixed die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probiotic die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aturated fatty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probiotic mixed diet increased the unsaturated fatty aci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ward, the diet including probiotic induced positive impact on broilers immunity level. This indicates that a probiotic mixed diet could be protecting the intestine from the invasion of a pathogenic organism. It would be beneficial to the poultry industries by decrease the broiler mortality rate with elevated the immunity.
        6.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light-emitting diode (LED) is most efficient in terms of economic benefi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ED lighting intensity on milk production, milk composition, and the immune response of Holstein cows. Thirty-eight lactating cows were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groups: control group (exposed natural daylight without LED light) and three LED treatment group (50 lux; natural daylight and 6 h LED light of 50 lux intensity, 100 lux; natural daylight and 6 h LED light of 100 lux intensity, 200 lux; natural daylight and 6 h LED light of 200 lux intensity).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ratio in milk production in 200 lux group. Lacto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0 lux than the other LED treated groups. In addition to the hemolytic biochemical analysis, AST and β-H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50 lux than the other groups. Prolactin and IGF-1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0 lux compared to other groups. Besides, cortis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0 lux and lowered in the 200 lux than the control, while IgA and IgG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LED lighting intensity had some impact on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s in dairy cows with increased milk production.
        7.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is an essential and powerful element to animals. A light-emitting diode (LED) is most efficient in terms of economic benefi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ED lighting time on milk production, milk composition, and the immune response of Holstein cows. Forty lactating cows were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groups: control; natural daylight, treatment; am3-6, pm6-12 and pm6-am6. We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ratio in milk production among the groups. Milk urea nitrogen (MU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m6-am6 and pm6-12 than the control. With regard to the hemolytic biochemical analysis, GLU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RE, T-BI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m6-12 than the control. IGF-1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m6-12 compared to other groups. Besides, cortiso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pm6-12 than the control, while prolactin, IgA and IgG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pm6-12 than the control. However,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LED lighting time had some impact on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s in dairy cows without any changes in milk production.
        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microbial effects, growth inhibition and cytotoxicity of herb extracts were determined to screen alternative antibiotics. Hot water extracts of 10 species herbs (Origanum vulgare, Monarda didyma, Echinacea purpurea, Ocimum basilicum, Mentha piperita, Melissa officinalis, Thymus vulgaris, Stevia rebaudiana, Rosmarinus officinalis, Matricaria recutica) were u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ll herb extracts was ranged from 31.4-49.9%, and significantly great activties were found at Rosmarinus officinalis, Origanum vulgare and Matricaria recutica (P<0.05). Hot water extracts of monarda didyma, origanum vulgare, thymus vulgaris and rosmarinus officinalis showed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ies compared to others. Additionally, those four extracts represented relatively low cytotoxicity compared to oth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riganum vulgare and Rosmarinus officinalis which possessed grea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with less cytotoxicity. So these two herb extract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of antibiotics for organic farming.
        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hemical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und of blueberry, bokbunja and mulberry and their pomace were determined to develop them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Water content of individual whole berry was ranged from 84.25-86.20%, and water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 in whole berries rather than their pomace (p<0.01). Additionally, each berry and its pomace’s pH was 3.32-5.18. Among them, whole mulberry showed the highest pH which is 5.18 (p<0.01).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greatest in blueberry pomace and they were 24.81 mg/g and 2.13 mg/g, respectively (p<0.01). However, mulberry pomace generated the greatest anthocyanin content compared to others (p <0.01). In phenolic compound profiles, cyanin chloride was detected in mulberry and bokbunja.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 and isorhamnetin were found only in blueberry. Catechin (hydrate) and epicatechin were greater in pomaces than whole berries except blueberry (p<0.01), otherwise, significantly great rutin (trihydrate) and quercetin contents were found in whole berries as compared to their pomace except blueberry (p<0.01). Gallic acid was significantly greatest in mulberry (p< 0.01) and quercetin 3-D-galactoside was significantly greatest in blueberry (p< 0.01). Apigenin and luteolin were traced in mulberry, and mulberry pomace showed greater apigenin and luteolin contents than whole mulberry (p<0.01). Naringenin was greater in pomaces than whole berries (p <0.01).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berry extracts used in this study were able to be applied as
        1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반추위 메탄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을 위해 각기 다른 종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세신 추출물의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접종된 균주들의 성장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생균수측정 결과 L. curvatus NJ40 균주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균주성장을 나타냈다(p<0.05). 항균활성측정 결과는 대조구 대비 L. curvatus NJ40 및 L. plantarum NJ45 균주와 발효된 세신 추출물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실험에 세신 및 발효 세신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대비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반추위 미생물 활력 및 사료이용 효율을 대표할 수 있는 휘발성 지방산 생성효율에 대한 부정적 효과 없이, 오히려 휘발성지방산 생성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키토산올리고당의 음수 내 급여가 따른 육계의 혈액성상, 면역력 및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일령 Arbor Acre종 약 2만 8천수를 대조구와 키토산 음수 급여구로 나누어 5주 동안 실시하였다. 육계의 혈액 성상에서 Glucose의 농도는 대조구보다 키토산올리고당 음수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농도에는 대조구와키토산올리고당 음수 급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간 손상에 대한 인자인 GOT농도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GPT농도는 대조구보다 키토산올리고당 음수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내 면역글로블린 농도 중, IgG 농도는 대조구와 키토산올리고당 음수 급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IgM 농도는 대조구보다 키토산올리고당 음수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력과 SOD의 농도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의 농도는 대조구보다 키토산올리고당 음수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키토올리고당의 음수 급여로 인해 육계의 당대사, 면역기능 및 1차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켜 육계의 강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사람섬유아세포에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MMP-1 발현에 대한 영향 및 피부탄력 개선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DPPH radical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효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1 mg/mL에서 87.47 %와 61.71 %로 DPPH radical과 superoxide anion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100 g/mL 농도에서 95.54 %의 지질과산화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증가되는 MMP-1의 단백질 발현은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100 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4.69 % 감소하였다. 피부의 탄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500 g/mL 함유한 O/W 에멀젼을 이용한 임상실험에서 피부의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려엉겅퀴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자외선으로부터 생성되는 MMP-1의 발현을 저해하고 피부의 탄력을 개선함으로써 항노화 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3.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돌나물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 (HAS) mRNA 발현과 hyaluronan (H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돌나물추출물이 가지는 인체 피부에서의 보습력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돌나물추출물 처리에 따른 각질형성세포에서의 HAS-1, -2, -3 mRNA 발현 변화는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 살펴보았고, HA의 생성량 변화는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인체 피부에서의 수분함량 및 피부 수분 손실량에 미치는 영향은 Corneometer와 Tewa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나물추출물은 사람 각질형성세포의 HAS-2, -3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HA의 생성량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사람 피부에서는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감소시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돌나물은 피부에서 HA 생산을 촉진시키며,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화장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