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정장은 정관, 정소상체와 부생식선으로부터의 분비물로 구성된다. 정자는 정소에서 생성되어 정소상체에서 성숙하고, 사출되는 과정에서 부생식선으로 분비되는 다양한 성분 들 과의 접촉 한다. 자연교배시 정장은 사출된 정자와 같이 암컷의 생식기도에 도달하여 생리 학적 및 면역학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장성분의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정자의 수정능 획득 기작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과 프로테옴(단백질체학)의 연구기법들을 활 용하여 수정율에 증가에 관련된 marker들을 발견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궁극적으 로 종모우의 수정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정자의 수정능 획득시 정자의 세포막에는 지 질 구성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정자의 세포막에서 콜레스테롤이 배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되어 왔다. 배출되는 콜레스테롤은 정장 단백질이나 난관세포로 이행된다. 본 연구는 수정 능 획득과 콜레스테롤의 배출 기작에 관련된 정장 단백질들을 한우와 칡소의 정장에서 동 정하여 수정률향상을 위한 marker들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정장단백질 중에서 정자의 콜레스테롤 배출과 관련되어 수정능획득에 영향을 미치 는 정장단백질들로서 BSP-30 및 spermadhesin Z13 등이 보고되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 우 4 두와 (3 두: 한우시험장, 1 두: 전라북도 축산시험장)와 칡소 3 두 (2 두: 전라북도 축 산시험장, 1 두: 유전자원시험장)에서 정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분리하였다. 정장은 단백질 정량 후 SDS-PAGE 방법으로 1차원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분리된 단백질들 을 비교하였고, 특이 단백질 밴드를 동정하였다. 그 이후 2차원 전기영동으로 정장 단백질 을 분리하고 PDQuest 프로그램으로 spot들을 분석하였으며, 특이 단백질들을 동정하였다. 1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 후 동정된 소의 정장 단백질은 plasma serine protease inhibitor 였고, 2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 후 동정된 소의 정장 단백질들은 Pdc-109, BSP-30, seminal plasma protein A3, spermadhesin Z13 및 spermadhesin-1(aSFP)이었다. 일부 동정된 단백질들은 발현된 양과 위치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들 단백질 중에서 Pdc-109, BSP-30, seminal plasma protein A3는 수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spermadhesin Z13와 spermadhesin- 1(aSFP)는 수정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 반으로 이들 정장 단백질의 발현양상과 유전자들의 변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 장 단백질의 작용기작을 조절하면 소의 수정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는 농촌진흥청 차세대 바이오그린21사업(과제번호: PJ008047)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 진 것임.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clusion of chromium propionate (Cr-P) and lysophopholipid (LPL) in diet on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Feeding trial was performed from late fattening period to slaughter and blood parameters (insulin, blood glucose and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concentration) and meat quality were examined. Total 4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control (no addition), T1 (Cr-P 0.2%), T2 (LPL 0.2%) and T3 (Cr-P 0.1% + LPL 0.1%) were employed. For blood parameters, insulin concentration in T1 and T3 showed an elevating patterns from 3.13 μU/mL to 3.35 μU/mL (T1) and from 4.38 μU/mL to 5.23 μU/mL (T3). The changes of NEFA in all groups were detected as a decreasing patterns according to days of feeding.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growth performance, T2 showed greater daily gain and T1 showed greater carcass yield compared to othe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difference. In meat quality, T1 showed greater yield and intra-muscular fat levels and lower sharing force compared to other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detected.
Miscanthus sacchariflorus var. No. 1 has been newly develope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eed value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different growth and harvesting time. Total 3 different miscanthus - 1y4m (first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2y4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and 2y8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8 month).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itro rumen simulated fermentation and In situ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Ruminal pH at in vitro fermentation were higher in M. sacchariflorus var. No. 1 treatments compared to the rice straw (RS). In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1y4m resulted in higher acetate production than the other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higher maturity stag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in propion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s at 9, 24 and 48 h of incubation times. Higher ammonia nitrogen productions were found as increased maturity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In situ experiment, high DMD was detected in the order of RS (60.51%) > 1y4m (57.65%) > 2y4m (57.63%) > 2y8m (46.28%).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young and early harvested M. sacchariflorus var. No. 1 are able to improve its nutrient values in the ruminant animal.